https://www.youtube.com/watch?v=Gntc5KpZFAA
백신 맞고 오면서 지금 맞은 백신이 연초 발표한 계획에 따라 내게 온걸까 싶었어요. 검색해보니 1월에 발표한 접종계획하고 거의 맞게 돌아가네요. 5월 들어갔을 때 1차접종이 300만명이라 9월까지 대체 어떻게 70% 국민 백신 맞출꺼냐는 기사가 인상적. 추세대로면 거의 맞을 모양. 모더나 백신은 큰 분량이 수급 이슈가 있었는데도 로드맵대로 공급하는 걸 보니 생각보다 생각이 있었구나 싶네요. 그만큼 시기를 보수적으로 잡은 거 같기도 하고요. 예정보다 늦은 물량도 있고 빠른 물량도 있고.
백신 도입에 있어서 모든 나라의 롤모델이었던 이스라엘을 1차접종에서 넘어선게 인상적이네요. 이스라엘은 물량이 남아서 AZ 계약도 취소하고 우리나라랑 스와프도 할 정도였으니까 수급문제는 아닐텐데, 접종을 못하는 계층+거부자가 저렇게 많다고 생각하니 ㄷㄷ.. 방역면에서 최고 선진모델로 평가받는 뉴질랜드는 이 짤에선 안보이지만 61%로 추이를 보면 접종이 부스트되는 시기는 좀 늦었지만 순조롭게 진행 중. 전반적인 추이를 보면 대체로 방역을 상대적으로 잘했을 수록 백신 접종이 늦었던 게 보임 ㅋㅋ 절박함이 협상력에 반영된 것일 수도 있고 안일함의 문제일 수도 있겠죠.
코로나19 예방접종 종합계획|1/28 (목)|정부 브리핑
백신 맞고 오면서 지금 맞은 백신이 연초 발표한 계획에 따라 내게 온걸까 싶었어요. 검색해보니 1월에 발표한 접종계획하고 거의 맞게 돌아가네요. 5월 들어갔을 때 1차접종이 300만명이라 9월까지 대체 어떻게 70% 국민 백신 맞출꺼냐는 기사가 인상적. 추세대로면 거의 맞을 모양. 모더나 백신은 큰 분량이 수급 이슈가 있었는데도 로드맵대로 공급하는 걸 보니 생각보다 생각이 있었구나 싶네요. 그만큼 시기를 보수적으로 잡은 거 같기도 하고요. 예정보다 늦은 물량도 있고 빠른 물량도 있고.
백신 도입에 있어서 모든 나라의 롤모델이었던 이스라엘을 1차접종에서 넘어선게 인상적이네요. 이스라엘은 물량이 남아서 AZ 계약도 취소하고 우리나라랑 스와프도 할 정도였으니까 수급문제는 아닐텐데, 접종을 못하는 계층+거부자가 저렇게 많다고 생각하니 ㄷㄷ.. 방역면에서 최고 선진모델로 평가받는 뉴질랜드는 이 짤에선 안보이지만 61%로 추이를 보면 접종이 부스트되는 시기는 좀 늦었지만 순조롭게 진행 중. 전반적인 추이를 보면 대체로 방역을 상대적으로 잘했을 수록 백신 접종이 늦었던 게 보임 ㅋㅋ 절박함이 협상력에 반영된 것일 수도 있고 안일함의 문제일 수도 있겠죠.
10
4월 중순 OECD 최악+백신도입국 중 최악의 성적을 기록하며 이런 짤이 돌아다녔을 때는, 포스트 코로나 때 국제적인 경제반등에서 우리나라만 뒤처지는 거 아니냐는 해석이 현실적으로 무섭기까지 했는데. 지금은 안심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