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작성자가 질문을 받을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AMA는 Ask me anything (무엇이든 물어보세요)라는 뜻입니다.
Date 23/09/09 17:41:19
Name   [익명]
Subject   시도교육청급 초임장학사입니다.
12년 조금 넘게 초등학교교사로 근무하다가 9월1일자 초임발령을 시도교육청급으로 받았습니다.
신상이나 정책관련 민감한 부분을 말씀드리기어렵습니다. 질문받겠습니다~



0


Beer Inside
축하드립니다.

비교적 빠른 시기에 장학사를 시작하신 사유는?
[글쓴이]
저 스스로가 학생들의 정서적인 부분을 잘 캐치하지 못한다고 생각했습니다. 그것때문에 애들한테 미안한마음도 있었고, 결정적으로 파견교사 생활을 할때 즐거웠던 추억이 있어 일찍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하우두유두
일선 교사로 근무하실때와 비교해서 장학사로 근무할때 근무난이도가 어떻습니까?
[글쓴이]
일단 현재까지는...이정도로 힘들줄은 몰랐습니다... 교사때도 엄청 이것저것 많이해서 괜찮을줄 알았는데 정말 힘듭니다ㅜ 적응되면 나아지리라 기대하며 살고있습니다..
2
Beer Inside
방학없는 삶에 적응하셔야...
[글쓴이]
방학만 없는거면 좋겠네요. 일단 일주일정도의 기간동안 주말과 저녁이 모두 없었...;
Beer Inside
어떻게든 적응하더군요.
박지운
장학사는 얼마나 높은 사람인가요? 먼 옛날 초딩 때... 막 장학사 온다 그러면 난리 나서 복도에 왁스칠 하고 그랬는데 ㅠ.ㅠ
1
딱히 높은 사람은 아닙니다. 위치에 관하여 이말 저말이 많아서 그냥 특정직 정도로 생각하는게 편합니다. 다만, 교직계옐에서 거의 승진이 확정적이고, 기관장까지도 올라가는 유리한 고지에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학교입장에서는 부담되는 사람인건 맞지만, 복도 왁스칠하던 시절은 그 시절이 서열문화와 군대식 문화가 남아있던 잘못된 시대여서 생긴 착오라고 보시는게 좋습니다.
1
눈사람
초등학교 교사라는 직업은 어떤 계기로 선택하게 되셨나요?
[글쓴이]
저는 그냥 수능을 망했는데 안정적인걸 좋아해서 교대를 가게 되었습니다.. 덕분에 거의 10년간 우울증이였어서 아이들 진로 지도할때도 자신이 잘하고 좋아하는걸 찾도록 했었네요..
...수능이 망했는데 교대를 가요...?
[글쓴이]
어...그러게요...그런데 교대에서는 학점 바닥을 찍었습니다ㅜㅜ
dolmusa
12년만에 가셨으면 거의 교육감 테크트리이신데.. 가즈아?
[글쓴이]
주목받는거 무섭습니다ㅜ 조용히 살도록 노력할겁니다ㅜ
-장학사에서 장학관-교육과장 루트를 희망하시나요? 아님 교감-교장 루트를 희망하시나요?
-더불어 전자라면... 이젠 행정직 공무원의 삶을 사시겠네요. 전 작금의 교육부의 일선 교사에 대한 공감능력 부족과 현실과 유리된 정책은 교육부에 상주하며 정책을 만드는 교사가 없어서 생기는 문제라고 생각해요. 교육청 [교육 직렬 계통] 직원이 교육부로 파견을 가거나 정책 마련의 기초가 되어야 한다고 생각하는데, 이부분의 대한 견해는 어떠신지, 지금 교육청 인적구조는 어떤지 궁금합니다.
-후자시라면 학... 더 보기
-장학사에서 장학관-교육과장 루트를 희망하시나요? 아님 교감-교장 루트를 희망하시나요?
-더불어 전자라면... 이젠 행정직 공무원의 삶을 사시겠네요. 전 작금의 교육부의 일선 교사에 대한 공감능력 부족과 현실과 유리된 정책은 교육부에 상주하며 정책을 만드는 교사가 없어서 생기는 문제라고 생각해요. 교육청 [교육 직렬 계통] 직원이 교육부로 파견을 가거나 정책 마련의 기초가 되어야 한다고 생각하는데, 이부분의 대한 견해는 어떠신지, 지금 교육청 인적구조는 어떤지 궁금합니다.
-후자시라면 학교운영에 대한 비전은 무엇인가요? 학교교육과정에 있는, 정해진 틀에 따른 바르고 예쁜 말 말고 장학사님께서 승진해서 학교운영을 이렇게 펼치겠다로 결정한, 자신이 품고 있는 비전이 궁금해요. 지금껏 제대로 답변을 받은 적이 없었는데, 항상 관리자에게, 승진희망자들에게 묻고 싶었어요.
[글쓴이]
원래는 전자 루트를 생각했었는데.. 전문직을 오래 하다보면 생각이 바뀔거라 보여서 그때 가봐야 알것같습니다.
두번째 의견은 매우 동의합니다. 다만, 이미 교육부 연구사님들도 계심에도 이렇다는건 또다른 문제가 있는거지 싶습니다.
마지막 비전은 아직 없습니다.. 원래는 학교로 아예 안나올생각이였거든요.. 다만 저는 취미를 가지는 교원과 그 자원을 활용하는 것을 잘했기에 선생님들이 지역단위 동호회를 지원하고 교원의 특기에 따른 다양한 교육과정 수립을 할거 같습니다.
즐겁게
전자시군요. 교육부 교사 출신 연구사가 있음에도 근본적인 문제가 있다는 것은 결국 교사 출신이 아닌 정책 결정권자의 문제인지, 교육부 조직 인원 대비 연구사 수의 문제인지, 연구사 개개인이 승진과정에서 현장과 유리된 시간이 길거나 소위 변질되어 생긴 현상인지 궁금하네요.
솔직히 3가지 중 2번째까지는 구조적인 문제라 개인이 어떻게 하기는 쉽지 않을 건데, 현장과 교사의 상황을 꾸준히 가까이 할 수 있는 수단은 개인적으로 있으신가요? 또는 이런 목소리를 불편하지만 다이렉트로 들을 수 있는 교원단체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이번... 더 보기
전자시군요. 교육부 교사 출신 연구사가 있음에도 근본적인 문제가 있다는 것은 결국 교사 출신이 아닌 정책 결정권자의 문제인지, 교육부 조직 인원 대비 연구사 수의 문제인지, 연구사 개개인이 승진과정에서 현장과 유리된 시간이 길거나 소위 변질되어 생긴 현상인지 궁금하네요.
솔직히 3가지 중 2번째까지는 구조적인 문제라 개인이 어떻게 하기는 쉽지 않을 건데, 현장과 교사의 상황을 꾸준히 가까이 할 수 있는 수단은 개인적으로 있으신가요? 또는 이런 목소리를 불편하지만 다이렉트로 들을 수 있는 교원단체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이번에 교육부/관리자들의 9.4 이후 대처를 보면서 "인디도 안보나? 왜 소위 눈치가 없지? 지금껏 고려할 필요가 없어서 신경도 안쓴 건가?"란 생각을 많이 했거든요. 서이초 교사 사망사건 처음부터 베르테르 효과가 뻔히 예상되는 상황이었는데, 공교육 멈춤의 날에 대한 사전 대처와 이후 후속 대처가 막타를 쳤다고 보는 사람이라서요.
최근 일련의 사건들은 둘째치고, 앞으로 교사들을 대표하여 지역의 교육정책을 마련하실 장학사님께서 현장의 감을 유지하는 방법을 어떻게 마련하시는지 궁금합니다ㅎ
Paraaaade
인디가 뭔가요? 초등교사 커뮤니티 인디스쿨 이군요
[글쓴이]
안그래도 전문직원 연수에서도 저런 얘기들을 하더라구요. 대화말고 답이 있을까 싶습니다. 다만 특정 목소리가 과대표되는 것만 경계하고 싶습니다. 그래서 그냥 지금 지내는 교원들과 지속적인 교류를 유지하려고 합니다.
교원단체는...아예 소통하는 전담팀이 따로 있습니다..일개 장학사와 이야기하려하지않고 더 높은 사람과 이야기 후 저희에게 내려온다고 생각하시는게 편합니다..
-답변하기 어려운 질문일수도 있겠다고 생각했는데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이 답 없는 현장을 탈출하셔서 축하드린다는 말과 함께 그럼에도 위로 가시는 만큼 앞으로도 현장에 너무 멀어지지 않으셨으면 하는 부탁이기도 합니다. 아무래도 위로 올라가시는(?) 분들은 이너서클로 여러모로 효율적인 테크트리를 타는 사람들이 모여서인지, 똑똑하신 분들이 시간이 흐를수록 현장의 변화를 놓치거나 시야가 좁아지는 경우를 봐서 저런 질문을 했어요.
-역시 예민한 질문이긴 한데 기왕지사 더 여쭈어볼게요. 현장도 참 답이 없지만 이쪽도 제가 아는 모습은 주말,... 더 보기
-답변하기 어려운 질문일수도 있겠다고 생각했는데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이 답 없는 현장을 탈출하셔서 축하드린다는 말과 함께 그럼에도 위로 가시는 만큼 앞으로도 현장에 너무 멀어지지 않으셨으면 하는 부탁이기도 합니다. 아무래도 위로 올라가시는(?) 분들은 이너서클로 여러모로 효율적인 테크트리를 타는 사람들이 모여서인지, 똑똑하신 분들이 시간이 흐를수록 현장의 변화를 놓치거나 시야가 좁아지는 경우를 봐서 저런 질문을 했어요.
-역시 예민한 질문이긴 한데 기왕지사 더 여쭈어볼게요. 현장도 참 답이 없지만 이쪽도 제가 아는 모습은 주말, 방학도 없이 야근과 군대 문화가 함께하는 삶이라 심심한 위로조차 사치처럼 느껴질 때가 많은데요. 본인은 스스로의 선택으로 갔다지만, 가정이 있는 경우 아무래도 한쪽이 독박육아라 가정 전체가 망가지는 경우도 많이 봤어요. 특히 장학사 남편 분의 평판은 좋은데, 아내 분은 이기적인 학교생활로 욕을 먹거나, 정말 자녀교육이 난리나는 경우요. 그래서, 혹시 가정은 있으신지요? 배우자는 교육 분야나 공무원으로 종사하시는 분인가요? 자녀 분은있으시거나 자녀계획은 있으신가요? 이런 부분에 대한 부부의 합의를 이끌어내는 과정이 원만하셨나요? 조부모님의 지원은 보장 되셨나요?
개인 신상에 불편하신 부분이나 관련 없는 부분은 신경안쓰셔도 됩니다ㅋ 저도 승진하란 소리 듣다가 이런 저런 고민 끝에 저 길은 나는 무리라고 포기한 사람으로서 이런 가정사를 포기해야하는데, 모든 각오를 짊어지고 가시는 것인지 궁금해서 여쭙니다.
-그리고 가장 먼저 쓴다는 것이 흐름상 자꾸 놓쳐서 일단 씁니다. 초등교사는 매년 운에 의한 교통사고만 아니면 비슷한 삶을 살게 되는데, 꾸준한 노력으로 지난한 시험을 통과하는 성취를 이루시고 인생의 새로운 도전을 시작하시게 된 점,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
[글쓴이]
아..이부분이 나오면 저희 쪽에서는 누구인지 알게될거 같아서요..ㅜ 결혼은 했으나 육아로는 큰 무리가 없다는 정도만 말씀드릴 수 있겠습니다.. 가정이 안정되어야 그곳에서도 더 높은 목표를 달성있다고 생각하여 더욱 열심히 살려구요.. 그리고! 축하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어려운 상황 속에서 교육에 전념하시는 선생님들과 학교를 잊지않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즐겁게
이 동네가 좀 많이 좁죠ㅋㅋ 다행입니다. 정말로 가정이 평안하시길 기도하겠습니다.
Cascade
엄브릿지 같은 삶을 사시고 계신가요?
1
[글쓴이]
엄브릿지가 뭔가 찾아봤네요. 찾아보니...아...ㅋㅋㅋ 저는 아무래도 본청이다보니 컨설팅 장학은 한동안 거의 못나가지 싶습니다..ㅜ
방사능홍차
학교에 민원이 들어오면 일선교육지원청에서 실사 조사하는게 보통 장학사이던데, 외부 민원이 많이 들어오는 부서에 근무하고 계신지요?
[글쓴이]
본청이라서 직접들어오는 민원이 많은건 아닌듯합니다. 다만 공문하나 보내면 문의 전화폭주합니다ㅜ
장학사는 세상을 어디까지 바꿀 수 있을까요?
[글쓴이]
역량에 따라 다른것 같습니다. 뛰어나신분들은 그자리에서 최대한 바꾸시는걸 봤습니다. 하지만 결국 선출직이 최고긴하죠..그분들 설득해가며 뛰어난 아이디어로 조금씩 바꿔가는 모습은 매력적입니다만...몸이 갈려나간다는게..
쉽지 않은 길로 알고 있는데 오랜시간 준비하셨겠네요. 축하드립니다.
[글쓴이]
감사합니다. 준비를 오래하긴했지만 운이 좋았습니다.
바이엘(전문가)
급여는 마음에 드십니까
[글쓴이]
아..니..요..초과근무수당과 다른 수당 붙어봐야 알겠지만 그래도 교사때 이정도 일했을때와 비교하면.. 그말싫
1
카서스
교사일때 장학사들에 대한 불만사항 중 직접 장학사가 되니 이해하게된 것이 있으신가요?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2149 AMA 2차 들어갑니다. 30 [익명] 23/12/06 1840 0
2148 연말맞이 덕담 한마디씩 나눠봅시다. 37 [익명] 23/12/04 1661 0
2147 도박중독 가족을 케어했던 사람입니다. 17 [익명] 23/11/27 2608 0
2146 모든 고민에 답을 드립니다. 47 똘빼 23/11/25 2258 0
2145 당직중입니다. 아무거나 물어보십시오 34 비오는압구정 23/11/24 2058 0
2144 너무 귀엽습니다. 26 [익명] 23/11/23 2207 0
2143 마감을 넘기고 도망다니는 불성실한 학생이외다 24 [익명] 23/11/22 1933 0
2142 요즘세상에 없다면 없고 있다면 있을 골수 좌파 학생입니다. 67 [익명] 23/11/19 3402 1
2141 월급의 절반 이상을 저축하고 있습니다 14 [익명] 23/11/19 1824 0
2140 홍차넷에서 벙개 좀 쳐봤읍니다. 43 [익명] 23/11/16 2000 0
2139 이과+기계과+건설회사 다니는 만 26세 여자입니다 36 [익명] 23/11/16 2421 0
2138 [면접] 처음으로 공채 면접 봤습니다.(면접관) 12 [익명] 23/11/09 2046 0
2137 벼수확 마무리 했습니다 38 바이엘(전문가) 23/11/06 2262 3
2136 사직서 제출했습니다. 22 dolmusa 23/11/06 2261 7
2135 폐교에서 캠핑장해요. 11 별쟁이 23/11/05 1922 0
2134 박사논문 쓰고 있습니다 54 Velma Kelly 23/11/03 2235 1
2133 해외출장 갔다가 결혼식 전날 오후 귀국했습니다 22 [익명] 23/10/30 2080 0
2132 매년 캠핑을 다닙니다. 캠핑 매니아입니다. 23 풀잎 23/10/21 2106 2
2131 방금 부모님과 의절했습니다 30 [익명] 23/10/20 3200 0
2130 크로스핏 1년차 크린이입니다. 23 비형시인 23/10/04 1937 0
2129 필라테스 등록한 30대 남성입니다 27 똘빼 23/09/17 2947 0
2128 시도교육청급 초임장학사입니다. 34 [익명] 23/09/09 2723 0
2127 부트캠프 수료하고 개발자로 취업했읍니다 33 [익명] 23/08/31 2757 0
2126 일렉기타를 만든 적이 있습니다, 질문 받습니다. 26 [익명] 23/08/30 1885 0
2125 논문 리뷰 기다리는 중인데 내일부터 휴가입니다. 10 [익명] 23/08/22 1883 0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