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츠 게시판입니다.
Date | 15/09/17 21:10:39 |
Name | kpark |
Subject | 밀어치기 |
1. 으랏차차 - 야구 좀 보신 분들이면 [밀어서 친다], [당겨 친다]이런 말 들어보셨을 겁니다. - 당겨 치는건 타석에서 타자가 서있는 방향으로 공을 치는 걸 뜻합니다. 오른손 타자면 왼쪽에 서있으니까 왼쪽으로. 3루수/좌익수 있는 쪽이요. - [당기다]란 표현을 누가 생각했는지 모르겠는데(아마 미국의 어느 선조님이시겠죠)그림을 잘 그려보면 의외로 괜찮은 표현이란 걸 알 수 있습니다. - 오른손 타자가 왼쪽으로 공을 보내려면? 배트를 왼쪽으로 '잡아당겨야'합니다. 준비자세에서부터, 머리 뒤쪽 포수방향에 있는 배트를 있는 힘껏 투수쪽, 공이 오는 쪽으로 '잡아당겨야' 됩니다. - 테니스의 포핸드 생각해도 됩니다. 그/아/아/아/앗 하면서 힘을 빡 주고 치면 자동으로 당겨치기가 돼요. - 탁구는 드라이브/스매시... 아 이게 아닌데. 2. 밀당 - 반대 말은 [밀어치기]입니다. 당겼으니 밀어주기도 해야. 당기기만 하다간 될 썸도 안됩니다. 푸쉬푸쉬 베이베. - 당겨 치는게 자기 몸쪽 방향이었으니 밀어치기는 [반대 방향]으로 공을 보내는 겁니다. 오른손 타자면 오른쪽. 1루수/우익수 방향이요. - 근데 생각해봅시다. 공을 민다고? 방망이로 톡? 번트냐? - 해보세요. 안될걸요? 되면 말고. 3. 어원 - 이것도 정확한 유래는 모릅니다만, 어휘에서 예상할 수 있습니다. [당기다]의 반대가 [밀다]니까 둘이 쌍으로 만들어진 것일테지요. - 원래 영문 표현은 [당겨치기]만 있습니다. [pull the ball] 이 쯤 되겠습니다. 더이상 길어지면 영어 밑천 드러나니 여기까지. - 당겨치기 일변도의 타자를 [pull hitter]라고도 합니다(자주 쓰이진 않습니다). 근데 반대 말이어야 할 [push hitter]는 없습니다. - 즉 [밀어치기]는 근본없는 자식인 셈입니다. - 근데 실제 동작하고 아귀가 안 맞을 뿐이지, 짝이 맞는다는 점에선 괜찮은 것 같기도 해요. 4. 난이도 - 타격의 기본은 당겨치기입니다. 애초에 타격 동작이라는 게 밀어서 될게 아닙니다. - 스윙 마지막 동작은 항상 앞으로 나간 배트와 팔을 다시 몸쪽으로 감는 걸로 끝납니다. 이 과정은 누가 봐도 [당기는] 동작. - 배트를 앞으로 내는 건 미는 거 아니냐 그럼 할 말이 없는데... 아니 그냥 천조국 성님들이 그렇다면 그런줄 아세요(엄격 진지). - 여하튼 당기는 게 자연스러운 겁니다. 기술적으로 [밀어치기]는 그만큼 익히기 어려운 겁니다. - 더 기술적으로 알고 싶으시면 레슨장으로 고고.(사실 저 밑에 있음) 5. 푸쉬푸쉬 in USA - 그럼 [밀어치기]는 미국에서 뭐라고 하나요? 보통 [hit to the opposite field]라고 합니다. [반대 방향으로 친다]는 뜻입니다. - 처음 밀어치기 설명할 때 [반대 방향]으로 보내는 거라고 한 거 기억나시는지? 제가 없는 말 지어낸 게 아닙니다. 흠흠. - push, 당겨치기가 자기 서있는 쪽이랑 [같은 방향]으로 공을 보내는 거니까 그 반대말은 자연스레 [반대 방향]으로 공을 보내는 게 됩니다. 말 돼죠? - 근데 왜 하나는 '당긴다'고 별칭이 있는데 나머진 아니냐고요? 저도 모름. 그냥 미국인들이 그게 편한가봐요. 6. 왜 해요 그거?(복잡함) - 바깥쪽 공은 당겨치기가 어렵습니다. 배트 중심에 공을 맞춰야 잘 날아가기 마련인데 바깥쪽 공에다 중심 맞추려면 팔을 쫙 뻗어야 됩니다. - 근데 그러면 스윙 반경이 늘어나면서 스윙 속도가 느려집니다. 덕분에 공을 맞췄을 때 힘을 제대로 주기가 어렵죠. - 무엇보다 공을 당기려면 맞추는 지점이 상대적으로 몸의 앞쪽에 있어야 됩니다. 근데 스윙 반경 커지고 속도 느려지다 보면 앞쪽에서 맞추기가 어렵습니다. - 결국 공을 만나는 지점이 당기기에 최적인 곳보다 뒤쪽으로 밀리게 됩니다. 그 지점에선 공을 맞춰도 당기기가 어렵습니다. - (추가)사실 스윙 반경보다는, 몸에서 멀리 있는 공을 '당겨 칠 때와 마찬가지로 몸 앞쪽에서' 치려고 하면 굉장히 어렵습니다. - (추가)한번 해보세요. 한가운데 공이 왔을 때 딱 맞추는 순간의 폼을 흉내내 보세요. 그리고 그 상태에서 공이 한가운데보다 2~3개 자기한테서 먼 쪽에 있다고 가정하고 방망이 중심을 그쪽으로 움직이는 시늉을 해보세요. 아마 바깥쪽 떨어지는 공에 헛스윙 삼진 당하는 것처럼 팔이 쭈~욱 늘어나게 될 겁니다. - (추가)그 상태론 힘을 실을래도 실을 수가 없죠. 거기서 포인트를 뒤쪽, 그러니까 포수 방향으로 좀만 당겨보세요. 한결 자연스러울 겁니다. - 그래서 의식적으로 '밀어치기', 즉 '공을 반대 방향으로 보내려는' 스윙을 해서 힘을 빡 주는 지점을 조정했을 때 공을 제일 세게 칠 수 있습니다. - 이런 연유 때문에 당겨쳤을 때 공이 더 멀리 나가는 경우가 많습니다. - 뭐 대충 그렇다고요. 4
이 게시판에 등록된 kpark님의 최근 게시물
|
제가 앞뒤를 바꿔서 설명한 것 같네요. 본문에 내용 추가했는데 여기도 달아 볼게요.
스윙 반경도 반경인데 몸에서 멀리 떨어진 공을 칠 때는, 억지로 당겨 치려고 [공과 배트가 만나는 지점을 앞에 두려고 하면] 굉장히 부자연스러운 동작이 됩니다.
쉽게 말해 팔을 쭉~뻗어서 힘을 실어야 되가지고 모양새가 잘 안나와요.
그래서 공과 배트가 만나는 포인트가 자연스럽게 뒤쪽으로 이동합니다. 힘을 제대로 줄 수 있는 지점이 거기거든요.
다리는 땅에 붙이고 가만히 서서 반원을 그려보세요. 배... 더 보기
스윙 반경도 반경인데 몸에서 멀리 떨어진 공을 칠 때는, 억지로 당겨 치려고 [공과 배트가 만나는 지점을 앞에 두려고 하면] 굉장히 부자연스러운 동작이 됩니다.
쉽게 말해 팔을 쭉~뻗어서 힘을 실어야 되가지고 모양새가 잘 안나와요.
그래서 공과 배트가 만나는 포인트가 자연스럽게 뒤쪽으로 이동합니다. 힘을 제대로 줄 수 있는 지점이 거기거든요.
다리는 땅에 붙이고 가만히 서서 반원을 그려보세요. 배... 더 보기
제가 앞뒤를 바꿔서 설명한 것 같네요. 본문에 내용 추가했는데 여기도 달아 볼게요.
스윙 반경도 반경인데 몸에서 멀리 떨어진 공을 칠 때는, 억지로 당겨 치려고 [공과 배트가 만나는 지점을 앞에 두려고 하면] 굉장히 부자연스러운 동작이 됩니다.
쉽게 말해 팔을 쭉~뻗어서 힘을 실어야 되가지고 모양새가 잘 안나와요.
그래서 공과 배트가 만나는 포인트가 자연스럽게 뒤쪽으로 이동합니다. 힘을 제대로 줄 수 있는 지점이 거기거든요.
다리는 땅에 붙이고 가만히 서서 반원을 그려보세요. 배트 대신 손바닥으로 공을 친다고 생각하고요.
몸쪽에 가까운 공을 치려면 자연스레 앞쪽에서 쳐야된다는게 느껴지실 거에요. 반대로 몸에서 멀리 있는 공은 앞쪽에서 치기가 어렵습니다.
스윙 반경도 반경인데 몸에서 멀리 떨어진 공을 칠 때는, 억지로 당겨 치려고 [공과 배트가 만나는 지점을 앞에 두려고 하면] 굉장히 부자연스러운 동작이 됩니다.
쉽게 말해 팔을 쭉~뻗어서 힘을 실어야 되가지고 모양새가 잘 안나와요.
그래서 공과 배트가 만나는 포인트가 자연스럽게 뒤쪽으로 이동합니다. 힘을 제대로 줄 수 있는 지점이 거기거든요.
다리는 땅에 붙이고 가만히 서서 반원을 그려보세요. 배트 대신 손바닥으로 공을 친다고 생각하고요.
몸쪽에 가까운 공을 치려면 자연스레 앞쪽에서 쳐야된다는게 느껴지실 거에요. 반대로 몸에서 멀리 있는 공은 앞쪽에서 치기가 어렵습니다.
타구의 파워를 생각하면 당겨치는게 갑입니다. 일단 팔꿈치 붙이고 돌려서 공을 깎아서 때릴 수 있고 배트가 홈 플레이트 시작선하고 평행한 시점에서 공과 처음 접촉했을 때 정확하게 주안(보통 오른손잡이는 오른 눈이 주로 보는 눈입니다)의 각도와 맞거든요. 이상적인 타격을 로테이팅(힙드라이브와 무릎 고정을 통한 회전력->배트 스피드의 증가), 투구 궤적의 시선 추적, 충분한 접촉시간에서 찾는데 이걸 다 만족시키면 한가운데보다 약간 안쪽으로 들어왔을 때 팔꿈치를 가볍게 구부린 채로 몸을 돌려서 벨트 앞쪽에서 때리는 모양새가 됩니다. ... 더 보기
타구의 파워를 생각하면 당겨치는게 갑입니다. 일단 팔꿈치 붙이고 돌려서 공을 깎아서 때릴 수 있고 배트가 홈 플레이트 시작선하고 평행한 시점에서 공과 처음 접촉했을 때 정확하게 주안(보통 오른손잡이는 오른 눈이 주로 보는 눈입니다)의 각도와 맞거든요. 이상적인 타격을 로테이팅(힙드라이브와 무릎 고정을 통한 회전력->배트 스피드의 증가), 투구 궤적의 시선 추적, 충분한 접촉시간에서 찾는데 이걸 다 만족시키면 한가운데보다 약간 안쪽으로 들어왔을 때 팔꿈치를 가볍게 구부린 채로 몸을 돌려서 벨트 앞쪽에서 때리는 모양새가 됩니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글에서 말씀하신대로 팔을 감으면 완벽하게 힘이 전달되면서 타구가 멀리 날아가게 됩니다.
근데 이런 이상적인 배팅을 매번 할 수는 없는 것이고, 또 그러다보니 투수들도 바깥쪽 승부를 하게 되고... 수비 쉬프트도 계속 들어오고요. 결국 \'잘하는 걸 더 잘해서 문제 해결\'을 하거나, \'못할 것 같은 걸 해서 상대방의 헛점을 찌르는\' 전략을 택하는데 전반적으로 동양권 야구가 후자를 높게 칩니다. 밀어치기 자체는 미국이건 일본이건 좋은 기술로 보지만 유독 일본계열의 야구에서 이 스킬을 높게 치는 경향이 있습니다. 베테랑 타자라면 당연히 갖춰야 하는 것처럼... 어쩌면 당겨치기 vs 밀어치기라는 구도 자체가 다분히 일본야구적인 발상이 아닌가 뭐 그런 생각을 합니다. 아래 패스트볼도 그렇지만 왜 일본인들이 \'일본에서 야구는 베이스볼이 아니라 야큐다\'라고 주장하는지 좀 이해가 된달까...
근데 이런 이상적인 배팅을 매번 할 수는 없는 것이고, 또 그러다보니 투수들도 바깥쪽 승부를 하게 되고... 수비 쉬프트도 계속 들어오고요. 결국 \'잘하는 걸 더 잘해서 문제 해결\'을 하거나, \'못할 것 같은 걸 해서 상대방의 헛점을 찌르는\' 전략을 택하는데 전반적으로 동양권 야구가 후자를 높게 칩니다. 밀어치기 자체는 미국이건 일본이건 좋은 기술로 보지만 유독 일본계열의 야구에서 이 스킬을 높게 치는 경향이 있습니다. 베테랑 타자라면 당연히 갖춰야 하는 것처럼... 어쩌면 당겨치기 vs 밀어치기라는 구도 자체가 다분히 일본야구적인 발상이 아닌가 뭐 그런 생각을 합니다. 아래 패스트볼도 그렇지만 왜 일본인들이 \'일본에서 야구는 베이스볼이 아니라 야큐다\'라고 주장하는지 좀 이해가 된달까...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