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츠 게시판입니다.
Date | 15/10/11 14:34:22 |
Name | kpark |
Subject | 고개를 드는 \'강정호 룰(테하다 룰?)\'의 필요성 |
![]() 오늘 메츠-다저스 NLDS 2차전에서 루벤 테하다가 슬라이딩으로 다리뼈 골절상을 입으면서, 본격적으로 슬라이딩 룰 개정에 대한 목소리들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사실 강정호 선수가 부상 당했을 때도 2루 슬라이딩에 대한 규칙을 바꿔야 한다는 얘기가 많이 나왔습니다. 마침 소속팀이었던 피츠버그가 내셔널리그 2위를 할 정도로 강팀이었기 때문에 더 주목을 받을 수 있던 것 같은데요. 그보다 더 큰 주목을 받는 포스트시즌 무대에서 이런 일이 벌어지면서, 테하다의 부상이 의견 개진에 기폭제가 된 느낌입니다. 강정호의 부상을 유발한 코글란의 슬라이딩과 마찬가지로, 어틀리의 슬라이딩도 현 규정에는 어긋나지 않았습니다. 문제는 부상을 입히지 않고도 슬라이딩할 수 있는 길이 충분히 많았다는 겁니다. '야수의 송구를 막기 위해서' 거칠게 슬라이딩을 한다고들 하지만, 그렇게까지 거칠게 하지 않고도 송구를 막는 장면도 많이 있었습니다. 즉 이런 저런 목적을 다 종합해봤을 때 필수불가결한 정도의 태클은 아니었다는 거죠. [Legal, but not clean]이라는 겁니다. 결국 사무국이나 미국 언론에서 짚듯이 강제적인 규정의 개정이 필요합니다. 벌써 MLB 칼럼사이트 '팬그래프'의 수장인 데이브 카메론이 칼럼 한 편을 내놓았고(링크), 조 토레 MLB 부사장도 '그 슬라이딩은 확실히 늦게 들어갔다'고 거들었습니다. 더불어 토레는 애리조나 가을 리그(AFL)에서 '2루로 곧바로 슬라이딩 하도록' 하는 규정을 적용할 거라고 밝혔습니다. 잘 된다면 메이저리그에도 차츰 적용이 되겠지요. 0
이 게시판에 등록된 kpark님의 최근 게시물
|
어틀리는 필라델피아에서도 그렇고 다저스에서도 그렇고 메츠와 무슨 원수라도 진것처럼......
어틀리가 저런 적이 한두번이 아니었기 때문에 비판이 더한 것 같습니다.
또한 심판의 콜이 챌린지로 번복이 되었다는 것도 이슈입니다.
일단 저는 심판 콜이 번복된다면 세이프가 맞다고 보는 입장이긴 한데, 베이스에 닿지도 않았는데 심판 콜만 보고 나간 어틀리가 어떻게 세이프가 되냐고 말이 많죠.
그리고 심판이 네이버후드를 인정하지 않은 점도 문제가 되고 있구요. 다저스도 한번 네이버후드 미적용으로 피해를 본적이 있어서 이번엔 챌린지를 바로 신청하지 않았나 싶습니다.
어틀리가 저런 적이 한두번이 아니었기 때문에 비판이 더한 것 같습니다.
또한 심판의 콜이 챌린지로 번복이 되었다는 것도 이슈입니다.
일단 저는 심판 콜이 번복된다면 세이프가 맞다고 보는 입장이긴 한데, 베이스에 닿지도 않았는데 심판 콜만 보고 나간 어틀리가 어떻게 세이프가 되냐고 말이 많죠.
그리고 심판이 네이버후드를 인정하지 않은 점도 문제가 되고 있구요. 다저스도 한번 네이버후드 미적용으로 피해를 본적이 있어서 이번엔 챌린지를 바로 신청하지 않았나 싶습니다.
1) 인스턴트 챌린지에서 세이프로 번복이 되면, \'원래 심판 콜이 세이프였을 때 이후 어떻게 진행되었을까?\'라는 가정에 맞춰서 주자 배치 등이 결정됩니다. 실책으로 인한 자책점 계산하는 거랑 비슷한 가정의 영역인데요. 솔직히 저도 이 부분은 좀 의아합니다. 과연 심판이 세이프 콜을 했다고 해서 어틀리가 태그되기 전에 다시 2루베이스를 짚을 수 있었을까? 싶거든요.
2) 네이버후드 플레이를 인정하지 않은 건 \'유격수 테하다가 2루 베이스에서 벗어나 공을 잡도록 송구가 왔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즉 자연스럽게 바로 2루를 밟지 못하는 곳으로 송구가 갔고, 그 때문에 테하다가 2루에서 떨어져 스텝을 밟아야 했으니 네이버후드 플레이가 아니라는 거죠. 이건 저도 규정을 잘 몰라서 뭐가 맞는지 모르겠고, 그냥 해설해준 트위터 내용을 가져와봤습니다.
2) 네이버후드 플레이를 인정하지 않은 건 \'유격수 테하다가 2루 베이스에서 벗어나 공을 잡도록 송구가 왔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즉 자연스럽게 바로 2루를 밟지 못하는 곳으로 송구가 갔고, 그 때문에 테하다가 2루에서 떨어져 스텝을 밟아야 했으니 네이버후드 플레이가 아니라는 거죠. 이건 저도 규정을 잘 몰라서 뭐가 맞는지 모르겠고, 그냥 해설해준 트위터 내용을 가져와봤습니다.
그 조항이 여태 슬라이딩에 적용되지 않은 건 [선수를 향했다]는 부분에 심판의 주관적 해석이 들어가야 하기 때문입니다. 보통 이런 주관적 해석이 들어가는 규정은 공격 측에 유리하게 해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즉 수비방해에 대한 해석 범위를 넓히려면 지금보다 더 타이트하게 제재 범위를 명시하도록 규정이 바뀌어야 합니다.
예전에 강정호가 다쳤을 때 올린 글에 70년대인가 80년대인가 있던 몸통박치기(진짜로 몸통박치기입니다...;;) 영상이 있는데요, 이 사건 이후 슬라이딩에 관련된 수비방해 ... 더 보기
예전에 강정호가 다쳤을 때 올린 글에 70년대인가 80년대인가 있던 몸통박치기(진짜로 몸통박치기입니다...;;) 영상이 있는데요, 이 사건 이후 슬라이딩에 관련된 수비방해 ... 더 보기
그 조항이 여태 슬라이딩에 적용되지 않은 건 [선수를 향했다]는 부분에 심판의 주관적 해석이 들어가야 하기 때문입니다. 보통 이런 주관적 해석이 들어가는 규정은 공격 측에 유리하게 해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즉 수비방해에 대한 해석 범위를 넓히려면 지금보다 더 타이트하게 제재 범위를 명시하도록 규정이 바뀌어야 합니다.
예전에 강정호가 다쳤을 때 올린 글에 70년대인가 80년대인가 있던 몸통박치기(진짜로 몸통박치기입니다...;;) 영상이 있는데요, 이 사건 이후 슬라이딩에 관련된 수비방해 규칙이 제정됐습니다. 이후 현대에 이르기까지 그 정도로 \'의도가 명백한\' 즉 베이스에 손끝하나 닿지 않을 정도인 태클은 확실하게 제재사항이 됩니다.
뒤집어 말해, 그렇지 않고 손톱하나라도 베이스에 걸치는 경우 주자의 의도에 대한 심판의 주관이 판정에 개입하게 됩니다. 이 경우 보통 심판의 주관을 존중해주는 것이 관례인데 그 관례는 공격 측에 유리하게 해석하는 것이고요.
이런 맥락 때문에 현지에서는 상황을 바꾸려면 규정 개선이 필수적이라고 보고 있습니다.
예전에 강정호가 다쳤을 때 올린 글에 70년대인가 80년대인가 있던 몸통박치기(진짜로 몸통박치기입니다...;;) 영상이 있는데요, 이 사건 이후 슬라이딩에 관련된 수비방해 규칙이 제정됐습니다. 이후 현대에 이르기까지 그 정도로 \'의도가 명백한\' 즉 베이스에 손끝하나 닿지 않을 정도인 태클은 확실하게 제재사항이 됩니다.
뒤집어 말해, 그렇지 않고 손톱하나라도 베이스에 걸치는 경우 주자의 의도에 대한 심판의 주관이 판정에 개입하게 됩니다. 이 경우 보통 심판의 주관을 존중해주는 것이 관례인데 그 관례는 공격 측에 유리하게 해석하는 것이고요.
이런 맥락 때문에 현지에서는 상황을 바꾸려면 규정 개선이 필수적이라고 보고 있습니다.
위에 jsclub님에게 단 댓글에도 썼지만
- 수비방해 규칙은 공격 측의 의도가 명백해야 적용되고
- 슬라이딩에 대한 규칙은 신체 일부라도 베이스에 닿으면 공정한 것으로 보고 있으며
- 의도가 불분명한 경우(즉 심판의 주관적 해석에 맡겨야 할 때)는 대체로 공격 측에 유리한 해석을 한 것이 관례입니다.
개인적으로 과도한/터프한 2루 슬라이딩은 의도가 명백하다고(수비방해) 보는 것이 맞다고 생각하는데 그렇게 보지 않아서 이상하다고 한 것이고요.
MLB에는 이제 선수를 재산으로 보고 소중히 여기는 풍토가 번지고 있지만,... 더 보기
- 수비방해 규칙은 공격 측의 의도가 명백해야 적용되고
- 슬라이딩에 대한 규칙은 신체 일부라도 베이스에 닿으면 공정한 것으로 보고 있으며
- 의도가 불분명한 경우(즉 심판의 주관적 해석에 맡겨야 할 때)는 대체로 공격 측에 유리한 해석을 한 것이 관례입니다.
개인적으로 과도한/터프한 2루 슬라이딩은 의도가 명백하다고(수비방해) 보는 것이 맞다고 생각하는데 그렇게 보지 않아서 이상하다고 한 것이고요.
MLB에는 이제 선수를 재산으로 보고 소중히 여기는 풍토가 번지고 있지만,... 더 보기
위에 jsclub님에게 단 댓글에도 썼지만
- 수비방해 규칙은 공격 측의 의도가 명백해야 적용되고
- 슬라이딩에 대한 규칙은 신체 일부라도 베이스에 닿으면 공정한 것으로 보고 있으며
- 의도가 불분명한 경우(즉 심판의 주관적 해석에 맡겨야 할 때)는 대체로 공격 측에 유리한 해석을 한 것이 관례입니다.
개인적으로 과도한/터프한 2루 슬라이딩은 의도가 명백하다고(수비방해) 보는 것이 맞다고 생각하는데 그렇게 보지 않아서 이상하다고 한 것이고요.
MLB에는 이제 선수를 재산으로 보고 소중히 여기는 풍토가 번지고 있지만, 여전히 운동장 안에선 빈볼 불문율처럼 터프한 문화가 넘쳐납니다. 그런 맥락에서 보면 거친 슬라이딩을 방조하는 분위기가 이상하진 않습니다. 물론 이젠 바뀌어야 한다고 보고요.
- 수비방해 규칙은 공격 측의 의도가 명백해야 적용되고
- 슬라이딩에 대한 규칙은 신체 일부라도 베이스에 닿으면 공정한 것으로 보고 있으며
- 의도가 불분명한 경우(즉 심판의 주관적 해석에 맡겨야 할 때)는 대체로 공격 측에 유리한 해석을 한 것이 관례입니다.
개인적으로 과도한/터프한 2루 슬라이딩은 의도가 명백하다고(수비방해) 보는 것이 맞다고 생각하는데 그렇게 보지 않아서 이상하다고 한 것이고요.
MLB에는 이제 선수를 재산으로 보고 소중히 여기는 풍토가 번지고 있지만, 여전히 운동장 안에선 빈볼 불문율처럼 터프한 문화가 넘쳐납니다. 그런 맥락에서 보면 거친 슬라이딩을 방조하는 분위기가 이상하진 않습니다. 물론 이젠 바뀌어야 한다고 보고요.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