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츠 게시판입니다.
Date | 15/10/16 18:30:53 |
Name | kpark |
Subject | [MLB] 내년 잭 그레인키의 행보는? |
2015시즌을 마감한 다저스는 겨울에 할 숙제가 많습니다. 그 중에 하나는 옵트아웃(계약 도중 FA권리 재취득) 자격을 갖춘 잭 그레인키의 거취를 어떻게 할 것이냐, 이것인데 잡느냐 마느냐를 두고 장단이 뚜렷하게 갈리지 않는 상황입니다. 구단 입장에서 좀 풀어봤습니다. 제가 다저스 팬이 아니라 사실관계나 해석에서 틀린 부분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 1. 장 먼저 그레인키가 다저스에서 보낸 3년간 정규시즌 기록을 보면 몸값을 완벽하게 해줬고, 커쇼에 밀려서 그렇지 에이스나 다름없는 위력을 보여줬습니다. 2013: 28경기 15승 4패 2.63ERA 177.2이닝 148삼진 46볼넷 1.114WHIP 2014: 32경기 17승 8패 2.71ERA 202.1이닝 207삼진 43볼넷 1.152WHIP 2015: 32경기 19승 3패 1.66ERA 222.2이닝 200삼진 40볼넷 0.844WHIP 포스트시즌 5경기 2승 1패 2.06ERA 35.0이닝 32삼진 4볼넷 매년 소화한 이닝은 늘어났는데 그렇다고 무리한 투구를 한 것도 아닌 것이 투구수는 매년 3400개 언저리를 유지했기 때문입니다(그만큼 첫해 많은 공을 던졌다고 볼 수도 있습니다). 올해 FA 욕심에 이닝 숫자를 채우려 무리했다고 볼 수 없습니다. 경기 내적으로도 다저스에 오면서 본격적으로 구사하기 시작한 체인지업이 완벽하게 무르익으면서 올해 차원이 다른 피칭을 선보였습니다. 킹 펠릭스 스타일의 빠른 체인지업을 장착했는데 여기에 완벽한 커맨드가 조화되면서 좌우 가릴 것 없이 상대를 학살하고 있습니다. 그레인키의 BABIP과 LOB%는 모두 메이저리그 평균보다 훨씬 좋은데, 단순히 이를 행운의 결과로 치부할 수는 없습니다. 왜냐면 4월부터 9월까지 6개월 내내 같은 모습을 보였기 때문입니다. 저는 전성기 매덕스의 피칭을 직접 본 적이 없는데, 그레인키가 던지는 걸 보며 아마도 매덕스가 이러지 않았을까 상상해보기도 했습니다. 2. 단 그렇다면 이런 대단한 투수를 반드시 잡아야 하느냐 하면 또 걸리는 점이 있습니다. 역시 연봉과 나이입니다. 그레인키가 4차원 캐릭터로 유명하긴 하지만 밀워키로 이적했을 때부터 행보를 보면 우승과 경제적인 이득에 대한 갈망을 숨기지는 않고 있습니다. 현 계약 상으로는 내년부터 $24M(2400만 달러), $23M, $24M을 줘야 하는데 이를 5년으로 환산하면 대충 5년 $120M이 됩니다. 클레이튼 커쇼는 앞으로 $32~33M을 꾸준히 받게 되고, 변칙적 계약이긴 하지만 작년 겨울 최대어였던 맥스 슈어져는 7년으로 치면 연 평균 $30M을 받습니다. 그레인키 역시 최소 $25M을 요구하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하지만 25M을 넘어서 30M을 요구한다면? 그레인키는 1983년생으로 내년에는 만 33세가 됩니다. 안 그래도 30세 이상인 투수와 계약하는 게 점점 더 큰 리스크로 여겨지고 있는 추세입니다. 클래스가 다르게 여겨지기는 하지만, 그레인키보다 두 살 많은 제임스 실즈는 4년 75M, 연 평균 18.75M에 계약했습니다. 아무리 대투수라 할지라도 나이가 들면 언제 무너질지 모르는 게 야구입니다. 로이 할러데이는 필라델피아로 이적했던 첫 해(2011년) 33세에 사이영상 1위를 했고 34세에 2위를 했습니다. 그러나 그 다음 해부터 거짓말처럼 무너지더니 36세 시즌을 마지막으로 은퇴하게 됐습니다. 요즘 늦은 나이에 은퇴하는 선수들이 늘어나서 그렇지 36세 정도면 언제 은퇴해도 이상할 게 없는 나이입니다. 3. 대안 이렇게 장단이 있는 선택지를 눈앞에 뒀을 때는 대안이 무엇이 있는지도 파악해야 합니다. 당장 FA 시장에서 그레인키 수준의 투수를 찾는다 하면 역시 데이빗 프라이스와 쟈니 쿠에토가 떠오릅니다. 프라이스는 85년생, 쿠에토는 86년 2월생으로 그레인키보다 2살은 어리기 때문에 나이 면에선 걱정이 덜한 편입니다(그래도 둘 다 30세라서 도긴개긴이라 할 수도 있습니다). 살짝 기대치를 낮춘다면, 올해 폭망하긴 했지만 작년까지 대어로 평가받은 제프 사마자(85년생)가 있습니다. 작년까지의 성적을 기대한다면 올해 성적을 빌미로 흥정을 시도해볼 수도 있습니다. 항상 저평가 받는다는 소릴 들은 조던 짐머맨(86년생)도 있습니다. 어떻게 보면 짐머맨은 13-14 그레인키에 버금가는 활약은 충분히 해줄 수 있는 능력이 있는 선수입니다. 스캇 캐즈미어(83년생), 요바니 가야르도(86년생) 역시 시장에서 대접받을만한 선수들입니다. 하지만 캐즈미어는 오랜 부상 전력이 걸림돌이고, 가야르도는 절대 그레인키만큼의 성적을 기대할 수 없는 선수입니다. 4. 결 아무래도 그레인키 정도의 기대치를 바란다면 역시 사이영상 급 에이스인 데이빗 프라이스, 자니 쿠에토 정도 밖에 마땅한 대안이 없습니다. 물론 돈을 아껴서 그 아래 수준의 선발 두 명을 잡는 방법도 있습니다. 아니면 그레인키와 냅다 재계약을 해버리는 게 맘이 더 편할 수도 있습니다. 그것도 아니면 그레인키가 옵트아웃을 하지 않는다는 선택지도 있습니다. 앤드류 프리드먼 사장이 올해 보여준 행보를 보면 당장 2015년에 우승을 노리는 것이라고 보긴 어려웠습니다. 고액 연봉자를 정리하고, 돈을 써서라도 유망주를 데려와 팜을 튼실히 하고, 유망주가 올라올 때까지 빅리그에서 뛸 1~2년짜리 선수들을 로스터에 섞는 움직임을 주로 보여줬습니다. 계산대로 내년부터는 연봉 총액이 무려 $100M 가까이 줄어듭니다. 그래도 여전히 $200M에 육박하는 규모긴 하지만, 다이어트를 확실히 한 만큼 빅리그 로스터나 팜을 채우는데 훨씬 더 많은 여유가 생겼습니다. 이 돈으로 그레인키를 재계약하든, 아니면 비슷한 수준의 투수를 잡아오든 아마 큰 손실로 여겨지진 않을 겁니다. 0
이 게시판에 등록된 kpark님의 최근 게시물
|
나이가 생각보다 큰 걸림돌이 될 수도 있어요. 약물 시대가 끝난 이후에 선수들의 노쇠화 곡선이 다시 가파르게 조정되는 시점이라서... 바톨로 콜론, 마크 벌리, 에이로드 이런 선수들은 이레귤러 --;
다저스는 연봉을 퍼준 대신 빅리그 선수들과 유망주들을 거의 손실 없이 지켰죠. 올해 다저스 운영에 대해 말이 많은데 전 정말 현명하게 돈 썼다고 봐요. 유망주 가치가 미칠듯이 오르고 있는 상황인데 코리 시거, 훌리오 유리아르, 쟉 피더슨, 그랜트 홈즈 등등 다 지켜내면서 역으로 호세 페라자까지 데려왔습니다. 지출액도 죄다 일시불에... 더 보기
다저스는 연봉을 퍼준 대신 빅리그 선수들과 유망주들을 거의 손실 없이 지켰죠. 올해 다저스 운영에 대해 말이 많은데 전 정말 현명하게 돈 썼다고 봐요. 유망주 가치가 미칠듯이 오르고 있는 상황인데 코리 시거, 훌리오 유리아르, 쟉 피더슨, 그랜트 홈즈 등등 다 지켜내면서 역으로 호세 페라자까지 데려왔습니다. 지출액도 죄다 일시불에... 더 보기
나이가 생각보다 큰 걸림돌이 될 수도 있어요. 약물 시대가 끝난 이후에 선수들의 노쇠화 곡선이 다시 가파르게 조정되는 시점이라서... 바톨로 콜론, 마크 벌리, 에이로드 이런 선수들은 이레귤러 --;
다저스는 연봉을 퍼준 대신 빅리그 선수들과 유망주들을 거의 손실 없이 지켰죠. 올해 다저스 운영에 대해 말이 많은데 전 정말 현명하게 돈 썼다고 봐요. 유망주 가치가 미칠듯이 오르고 있는 상황인데 코리 시거, 훌리오 유리아르, 쟉 피더슨, 그랜트 홈즈 등등 다 지켜내면서 역으로 호세 페라자까지 데려왔습니다. 지출액도 죄다 일시불에 가까워서 내년 내후년부터는 자금 운용에 크게 숨통이 트입니다.
만약 일각에서 주장한대로 여름에 프라이스 같은 선수 데려왔다가 우승도 못했다면 끔찍했을 거에요. 설령 우승 했더라도 유망주 지출이 상당해서 2~3년 동안 A급 유망주를 보기 어려웠을 거고, 노쇠화되는 고액연봉 선수들 처리에 골치아팠을 거고요.
다저스는 연봉을 퍼준 대신 빅리그 선수들과 유망주들을 거의 손실 없이 지켰죠. 올해 다저스 운영에 대해 말이 많은데 전 정말 현명하게 돈 썼다고 봐요. 유망주 가치가 미칠듯이 오르고 있는 상황인데 코리 시거, 훌리오 유리아르, 쟉 피더슨, 그랜트 홈즈 등등 다 지켜내면서 역으로 호세 페라자까지 데려왔습니다. 지출액도 죄다 일시불에 가까워서 내년 내후년부터는 자금 운용에 크게 숨통이 트입니다.
만약 일각에서 주장한대로 여름에 프라이스 같은 선수 데려왔다가 우승도 못했다면 끔찍했을 거에요. 설령 우승 했더라도 유망주 지출이 상당해서 2~3년 동안 A급 유망주를 보기 어려웠을 거고, 노쇠화되는 고액연봉 선수들 처리에 골치아팠을 거고요.
프리드먼 특성 상 그레인키는 절대 안잡습니다.
너무 비싸기도 하고(시장에 나오는 순간 130M/5Y 내지 155M/6Y는 일단 깔고 들어갑니다.) 나이도 너무 많습니다.
올 시즌의 활약은 어마어마했습니다만, 올 시즌보다는 지난 시즌 성적이 그레인키에게 바랄 수 있는 현실적인 성적이죠. (물론 그것 만으로도 대단한 성적입니다.)
현재 다저스는 선발진이 위태위태하기 때문에 투수를 최소 2명은 노리고 있을겁니다.
야심차게 데려온 맥카시는 뻗어버렸고 류현진 복귀도 여전히 물음표가 붙으며,
비어있는 3선발 자리를 잘 막아준 브렛... 더 보기
너무 비싸기도 하고(시장에 나오는 순간 130M/5Y 내지 155M/6Y는 일단 깔고 들어갑니다.) 나이도 너무 많습니다.
올 시즌의 활약은 어마어마했습니다만, 올 시즌보다는 지난 시즌 성적이 그레인키에게 바랄 수 있는 현실적인 성적이죠. (물론 그것 만으로도 대단한 성적입니다.)
현재 다저스는 선발진이 위태위태하기 때문에 투수를 최소 2명은 노리고 있을겁니다.
야심차게 데려온 맥카시는 뻗어버렸고 류현진 복귀도 여전히 물음표가 붙으며,
비어있는 3선발 자리를 잘 막아준 브렛... 더 보기
프리드먼 특성 상 그레인키는 절대 안잡습니다.
너무 비싸기도 하고(시장에 나오는 순간 130M/5Y 내지 155M/6Y는 일단 깔고 들어갑니다.) 나이도 너무 많습니다.
올 시즌의 활약은 어마어마했습니다만, 올 시즌보다는 지난 시즌 성적이 그레인키에게 바랄 수 있는 현실적인 성적이죠. (물론 그것 만으로도 대단한 성적입니다.)
현재 다저스는 선발진이 위태위태하기 때문에 투수를 최소 2명은 노리고 있을겁니다.
야심차게 데려온 맥카시는 뻗어버렸고 류현진 복귀도 여전히 물음표가 붙으며,
비어있는 3선발 자리를 잘 막아준 브렛 앤더슨도 1년 계약이 끝났죠.
그레인키 옵트아웃은 너무 자명하고요.
결과적으로 이번 오프 시즌에서의 다저스 선발진은 커쇼 - ? - ? - ? - 우드(볼싱어) 입니다. 어찌됐든 선발을 2명은 잡아야죠.
이런 상황에서 프리드먼이 좋아하지도 않는 성향의, 그것도 엄청 비싼 선수를 잡기 보다는, 괜찮은 선수 2명 잡는게 현실적이죠.
계약기간 4년으로 그레인키를 잡는다면 모를까, 그게 아니라면 굳이 그레인키에 목맬 이유가 없습니다.
2017년이라면 모를까, 2016년에는 시장에 나오는 괜찮은 투수들이 많습니다.
너무 비싸기도 하고(시장에 나오는 순간 130M/5Y 내지 155M/6Y는 일단 깔고 들어갑니다.) 나이도 너무 많습니다.
올 시즌의 활약은 어마어마했습니다만, 올 시즌보다는 지난 시즌 성적이 그레인키에게 바랄 수 있는 현실적인 성적이죠. (물론 그것 만으로도 대단한 성적입니다.)
현재 다저스는 선발진이 위태위태하기 때문에 투수를 최소 2명은 노리고 있을겁니다.
야심차게 데려온 맥카시는 뻗어버렸고 류현진 복귀도 여전히 물음표가 붙으며,
비어있는 3선발 자리를 잘 막아준 브렛 앤더슨도 1년 계약이 끝났죠.
그레인키 옵트아웃은 너무 자명하고요.
결과적으로 이번 오프 시즌에서의 다저스 선발진은 커쇼 - ? - ? - ? - 우드(볼싱어) 입니다. 어찌됐든 선발을 2명은 잡아야죠.
이런 상황에서 프리드먼이 좋아하지도 않는 성향의, 그것도 엄청 비싼 선수를 잡기 보다는, 괜찮은 선수 2명 잡는게 현실적이죠.
계약기간 4년으로 그레인키를 잡는다면 모를까, 그게 아니라면 굳이 그레인키에 목맬 이유가 없습니다.
2017년이라면 모를까, 2016년에는 시장에 나오는 괜찮은 투수들이 많습니다.
다저스가 야수보강에 사활을 걸 이유가 없습니다.
물론 페이롤에 비하면 아쉬운 점은 있지만, 그런 점은 비단 다저스 뿐만 아니라 (토론토 제외한?) 모든 팀이 가진 문제고요.
유망주 콜업까지 가교 역할을 기대했던 켄드릭, 롤린스가 팀을 떠난 자리를 이제 시거와 리온, 페라자가 차지할 것이고 터너 역시 좋은 활약을 보여주었습니다.
푸이그가 내년에 복귀할 수 있을지, 복귀한다면 예년만큼의 실력을 낼 수 있을지와 피더슨이 어느정도 활약을 해줄지 정도가 관건이죠.
큰 무대에서 삽질한게 인상 깊어서 그런 평가를 내리시는지는 모르겠지... 더 보기
물론 페이롤에 비하면 아쉬운 점은 있지만, 그런 점은 비단 다저스 뿐만 아니라 (토론토 제외한?) 모든 팀이 가진 문제고요.
유망주 콜업까지 가교 역할을 기대했던 켄드릭, 롤린스가 팀을 떠난 자리를 이제 시거와 리온, 페라자가 차지할 것이고 터너 역시 좋은 활약을 보여주었습니다.
푸이그가 내년에 복귀할 수 있을지, 복귀한다면 예년만큼의 실력을 낼 수 있을지와 피더슨이 어느정도 활약을 해줄지 정도가 관건이죠.
큰 무대에서 삽질한게 인상 깊어서 그런 평가를 내리시는지는 모르겠지... 더 보기
다저스가 야수보강에 사활을 걸 이유가 없습니다.
물론 페이롤에 비하면 아쉬운 점은 있지만, 그런 점은 비단 다저스 뿐만 아니라 (토론토 제외한?) 모든 팀이 가진 문제고요.
유망주 콜업까지 가교 역할을 기대했던 켄드릭, 롤린스가 팀을 떠난 자리를 이제 시거와 리온, 페라자가 차지할 것이고 터너 역시 좋은 활약을 보여주었습니다.
푸이그가 내년에 복귀할 수 있을지, 복귀한다면 예년만큼의 실력을 낼 수 있을지와 피더슨이 어느정도 활약을 해줄지 정도가 관건이죠.
큰 무대에서 삽질한게 인상 깊어서 그런 평가를 내리시는지는 모르겠지만, 다저스 타선이 사활을 걸어야 할 수준의 타선은 절대 아닙니다.
올해 FA로 풀리는 타자가 대부분 1루/외야라서 굳이 데려올만한 선수도 없습니다.
다저스는 타자가 아니라 투수가 필요해요. 비어있는 선발진, 그리고 부진했던 불펜진 개선이 오히려 시급합니다.
젠슨은 좋은 모습을 보여줬고 이번 포스트시즌에서의 헤쳐 역시 괜찮았지만 그 외에는 기대되는 선수가 없습니다. (짐 존슨 네 이놈!)
내년부턴 하런 연봉보조도 끝나고 캠프 연봉보조도 금액이 줄어든 만큼 투수진 보강을 해야죠.
물론 줍줍한답시고 올해같은 쓰레기들 데려오면 안되겠지만요.
물론 페이롤에 비하면 아쉬운 점은 있지만, 그런 점은 비단 다저스 뿐만 아니라 (토론토 제외한?) 모든 팀이 가진 문제고요.
유망주 콜업까지 가교 역할을 기대했던 켄드릭, 롤린스가 팀을 떠난 자리를 이제 시거와 리온, 페라자가 차지할 것이고 터너 역시 좋은 활약을 보여주었습니다.
푸이그가 내년에 복귀할 수 있을지, 복귀한다면 예년만큼의 실력을 낼 수 있을지와 피더슨이 어느정도 활약을 해줄지 정도가 관건이죠.
큰 무대에서 삽질한게 인상 깊어서 그런 평가를 내리시는지는 모르겠지만, 다저스 타선이 사활을 걸어야 할 수준의 타선은 절대 아닙니다.
올해 FA로 풀리는 타자가 대부분 1루/외야라서 굳이 데려올만한 선수도 없습니다.
다저스는 타자가 아니라 투수가 필요해요. 비어있는 선발진, 그리고 부진했던 불펜진 개선이 오히려 시급합니다.
젠슨은 좋은 모습을 보여줬고 이번 포스트시즌에서의 헤쳐 역시 괜찮았지만 그 외에는 기대되는 선수가 없습니다. (짐 존슨 네 이놈!)
내년부턴 하런 연봉보조도 끝나고 캠프 연봉보조도 금액이 줄어든 만큼 투수진 보강을 해야죠.
물론 줍줍한답시고 올해같은 쓰레기들 데려오면 안되겠지만요.
말씀하신대로 투수 쪽이 문제긴 한데, 전 장기적 관점에서 다저스가 포스트시즌 승리를 노린다면 꼭 타선의 체질 개선이 필요하다고 봐요. 타선의 응집력 문제 역시 불펜만큼 몇년째 문제거든요. 머니볼 타입의 타선이 정규 시즌에선 먹히지만 계속 가을에 의문이 나는 상황이고, 실제로 다저스는 홈런/WAR에 비해 득점이 크게 낮은 편이고 이 문제가 하루이틀 있던 것도 아니라서요.
그레인키를 제끼고 돈을 아낀다면 올해 빠지는 페이롤을 적극 활용해서 야수진 개편을 해야하지 않을까 해요. 굳이 빅리그 로스터가 아니라도, 유망주 쪽이라도 말이죠. ... 더 보기
그레인키를 제끼고 돈을 아낀다면 올해 빠지는 페이롤을 적극 활용해서 야수진 개편을 해야하지 않을까 해요. 굳이 빅리그 로스터가 아니라도, 유망주 쪽이라도 말이죠. ... 더 보기
말씀하신대로 투수 쪽이 문제긴 한데, 전 장기적 관점에서 다저스가 포스트시즌 승리를 노린다면 꼭 타선의 체질 개선이 필요하다고 봐요. 타선의 응집력 문제 역시 불펜만큼 몇년째 문제거든요. 머니볼 타입의 타선이 정규 시즌에선 먹히지만 계속 가을에 의문이 나는 상황이고, 실제로 다저스는 홈런/WAR에 비해 득점이 크게 낮은 편이고 이 문제가 하루이틀 있던 것도 아니라서요.
그레인키를 제끼고 돈을 아낀다면 올해 빠지는 페이롤을 적극 활용해서 야수진 개편을 해야하지 않을까 해요. 굳이 빅리그 로스터가 아니라도, 유망주 쪽이라도 말이죠. 올해 다저스 무브에서 공통적으로 보이는 게 \'돈으로 선수 사오기\'라서 겨울에도 한 건 정도는 가능할 것 같아요.
정 그게 아니라면(지금 득점 수준에 만족한다면) 정말로 캔자스시티나 세인트루이스처럼 투수진 전반 그리고 수비력 보강에 모든 힘을 기울여야...
그레인키를 제끼고 돈을 아낀다면 올해 빠지는 페이롤을 적극 활용해서 야수진 개편을 해야하지 않을까 해요. 굳이 빅리그 로스터가 아니라도, 유망주 쪽이라도 말이죠. 올해 다저스 무브에서 공통적으로 보이는 게 \'돈으로 선수 사오기\'라서 겨울에도 한 건 정도는 가능할 것 같아요.
정 그게 아니라면(지금 득점 수준에 만족한다면) 정말로 캔자스시티나 세인트루이스처럼 투수진 전반 그리고 수비력 보강에 모든 힘을 기울여야...
타선도 개선은 해야겠죠. 언젠가는... 다만 저는 그게 내년은 아닐거라고 봅니다.
일단 다저스 타선의 가장 큰 문제는 외야진 포화죠. 칼크, 이디어의 자리는 반슬, 쉐블러, 루지아노 등이 있어서 메꾸는건 문제가 없는데... 문제는 보내야할 친구들로 누구를 데려오냐는거죠.
칼크는 결국 안고 죽어야할 것 같고 이디어는 남은 기간도 그렇고 (38M/2Y) 올해 반등세도 있어서 어중간한 카드 데려오느니 2년 안고 가는게 나을 수 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현재 다저스 빠따진이 대부분 정리되는 2018년 정도가 타선 개선의 시기로 적당... 더 보기
일단 다저스 타선의 가장 큰 문제는 외야진 포화죠. 칼크, 이디어의 자리는 반슬, 쉐블러, 루지아노 등이 있어서 메꾸는건 문제가 없는데... 문제는 보내야할 친구들로 누구를 데려오냐는거죠.
칼크는 결국 안고 죽어야할 것 같고 이디어는 남은 기간도 그렇고 (38M/2Y) 올해 반등세도 있어서 어중간한 카드 데려오느니 2년 안고 가는게 나을 수 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현재 다저스 빠따진이 대부분 정리되는 2018년 정도가 타선 개선의 시기로 적당... 더 보기
타선도 개선은 해야겠죠. 언젠가는... 다만 저는 그게 내년은 아닐거라고 봅니다.
일단 다저스 타선의 가장 큰 문제는 외야진 포화죠. 칼크, 이디어의 자리는 반슬, 쉐블러, 루지아노 등이 있어서 메꾸는건 문제가 없는데... 문제는 보내야할 친구들로 누구를 데려오냐는거죠.
칼크는 결국 안고 죽어야할 것 같고 이디어는 남은 기간도 그렇고 (38M/2Y) 올해 반등세도 있어서 어중간한 카드 데려오느니 2년 안고 가는게 나을 수 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현재 다저스 빠따진이 대부분 정리되는 2018년 정도가 타선 개선의 시기로 적당하지 않나 싶네요.
결론은 올해 끝나면 빠지는 페이롤이 100M이니 이걸 어느정도로 나누냐의 문제인데, 저는 선발>불펜>야수 순으로 나누는게 다저스 상황상 가장 맞다고 봅니다.
일단 다저스 타선의 가장 큰 문제는 외야진 포화죠. 칼크, 이디어의 자리는 반슬, 쉐블러, 루지아노 등이 있어서 메꾸는건 문제가 없는데... 문제는 보내야할 친구들로 누구를 데려오냐는거죠.
칼크는 결국 안고 죽어야할 것 같고 이디어는 남은 기간도 그렇고 (38M/2Y) 올해 반등세도 있어서 어중간한 카드 데려오느니 2년 안고 가는게 나을 수 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현재 다저스 빠따진이 대부분 정리되는 2018년 정도가 타선 개선의 시기로 적당하지 않나 싶네요.
결론은 올해 끝나면 빠지는 페이롤이 100M이니 이걸 어느정도로 나누냐의 문제인데, 저는 선발>불펜>야수 순으로 나누는게 다저스 상황상 가장 맞다고 봅니다.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