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0/07/05 20:30:06
Name   할머니
Subject   정부의 부동산 정책에 대한 개인적 평가
모든 시장가격은 수요곡선과 공급곡선이 만나는 점에서 정해집니다.
주식이건, 부동산이건, 우리가 사용하는 재화건 마찬가지입니다.

그래서 누군가는 서울아파트의 공급이 막혀있고, 실수요는 넘쳐나니 서울아파트가 떨어질일은 없다고 말합니다.
이건 절반만 맞는 말입니다.

서울 아파트의 공급이 정책적으로 막혀있는건 사실이지만, 실수요가 넘쳐난다고 수요가 넘쳐나진 않습니다.
집값 하락이 너무나 분명하게 예상된다면, 실수요자도 집을 사지 않습니다. 전세나 월세를 선택합니다.
고로 현존하는 투기수요를 전부 없앤다면, 수요곡선은 왼쪽으로 이동하고 부동산 가격은 하락할겁니다.

정부의 발상이 틀리지는 않았다는거죠.
그런데 왜 정부는 집값을 잡는데 실패했을까요.

1. 외부환경
- 모든 가치는 수익과 할인율의 함수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할인율은 이자율과 유사한 의미입니다.
   예금금리가 2%라면, 아파트 투자자들은 3%의 수익을 기대할 거고, 오피스텔 투자자들은 4%의 수익을 기대할겁니다.
   좀 더 이론적으로 부동산 업계의 수식으로 표현하면 V(가격) = NOI(수익) / Cap.rate(할인율) 입니다.

- 3년물 국고채 금리가 2017년 기준 1.7% , 현재는 0.85% 입니다.  
   대략 평균적으로 서울 중간수준 아파트는 3년물 국고채금리보다 0.5% 정도 만큼 위험하게 평가되는 것 같습니다.
   고로 서울 아파트의 기대 수익율은 2017년에는 2.2% , 현재는 1.35% 입니다.
   고로 월세가 100만원인 부동산의 17년 이론가격은 5.5억(= 100만원 X 12개월 / 2.2% ) 인데,
   현재는 8.8억(=100만원 X 12개월 / 1.35%) 입니다.

- 즉 평범하게 아무것도 안했어도 서울 아파트 가격은 올랐을거라는 현 정부 지지자들의 말은 아예 틀린말은 아닙니다.
    어려운 외부환경인거 인정하는 바입니다.
- 그런데 그러면 그동안 규제는 뭐한건지 의심스러워 집니다.
- 심지어 19년부터 코로나 전까지 서울 아파트의 기대수익율은 3년 국고채보다도 낮았습니다.
   그 말은 서울아파트가 3년 정부채권보다도 안전한걸로 여겨지고 있었다는겁니다.
   이건 어떻게 설명해야할까요?

2. 17년 (2017.08.02 부동산 대책)
-  17년 규제의 주요 골자는 다음과 같습니다.
     청약 가점제 확대, LTV DTI 40%, 재건축 초과이익 환수제 및 분양가 상한제, 임대사업자 등록제
-  위 정책을 보고도 아파트를 살 수 있는데도 안 산 사람은 단연컨데 부동산을 전혀 모르는 사람이라고 봅니다.
     저 또한 처음에는 정부에 기대를 했지만, 위 정책을 보고 바로 포기하고 9월에 정책효과로 가격이 떨어졌을때 매수를 했죠.

    가 . 청약 가점제 확대
      - 가점제 확대로 30대 및 자녀가 적은 40대가 분양 받을 가능성은 제로가 됩니다.
         이들은 전부 매매수요로 전환되어 18년~19년 영끌러쉬로 부동산 가격 상승에 이바지하게 됩니다.

   나. LTV, DTi 40%
     - 못사게 만드는 정책입니다. 당연히 수요 감소에 영향을 미칩니다. 그런데 안그랬어요. 왜일까요?
     - 고소득 맞벌이는 주택담보대출만큼 신용대출을 얻을 수 있습니다.  
       고소득 맞벌이는 둘이 합쳐서 4억정도까지 신용대출을 열 수 있었고, 신용대출 4억 + 주택담보대출 4억 + Equity 2억으로
       집을 사댈 수 있었습니다.
     - 즉 서울아파트 시장의 주요 소비층은 LTV,DTI 규제의 영향을 제한적으로 받았고, 따라서 정책효과는 거의 없었습니다.

   다. 임대사업자등록제
     -  아주 전형적인 매매시장 공급 축소 정책입니다.
   라. 기타 재건축 정책 등
     - 재건축은 단기적으로 매매시장에 악영향을 미치므로, 재건축을 어렵게 만든 정책이 단기적으로 집값 상승에 이바지했을지는
       의문입니다.

3. 18~현재까지 정책들
   - 결국 17년 규제의 열화카피들일 뿐입니다. 보유세를 올리고, 등등. 팔아야 할 이유와 사야할 이유 어떤것도 자극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결국 김상조 정책실장 취임전까지 정부 정책은 수요와 공급에 대한 고민이 단 1도 없었습니다.
팔아야만 하는 이유, 사지 말아야만 할 이유에 대한 고려가 없으니 정책은 전부 허상이 되고,
부동산 가격은 시장의 논리를 따라 금리 하락분을 그대로 먹고, 심지어 금리 효과보다 더 상승해버립니다.

정부 정책이 그나마 정신을 차리기 시작한건 김수현 정책실장이 물러나고
김상조 정책실장이 부동산 정책을 담당하기 시작하면서 입니다.
작년 15억 대출규제 제한 이후로, 어쨋건 정부는 수급을 고려하면서 사야할 이유 팔아야할 이유를 만들어주며 움직이기 시작했습니다.
이에 대한 이야기는 다음에..





20
  • 할머님, 춘추가..?
  • 다음두 기대하겠습니다
  • 다음편 기대되네요
  • 이해가 잘됩니다
이 게시판에 등록된 할머니님의 최근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1604 일상/생각채식에 대한 단상 16 일상생활가능 21/04/22 4694 20
11487 사회[펌] LH 직원들은 똑똑한 게 아니다 15 Profit 21/03/13 4533 20
11464 사회수준이하 언론에 지친 분들을 위해 추천하는 대안언론들 15 샨르우르파 21/03/03 4537 20
11454 도서/문학지난 두달동안 읽은 책들 간단리뷰 4 샨르우르파 21/02/28 3880 20
11381 IT/컴퓨터Github Codespaces의 등장. 그리고 클라우드 개발 관련 잡담. 18 ikuk 21/01/26 4744 20
11142 경제한국의 하우징 프라이스에 대한 생각들 35 절름발이이리 20/11/18 4333 20
10751 경제정부의 부동산 정책에 대한 개인적 평가 13 할머니 20/07/05 4286 20
10731 의료/건강인생의 마지막 체중조절을 시작합니다. 15 상성무상성 20/06/30 3909 20
10522 사회[번역-뉴욕타임스] 삼성에 대한 외로운 싸움 6 자공진 20/04/22 4092 20
10352 사회섹슈얼리티 시리즈 (1) - 성인물 감상은 여성들에게 어떤 이득을 주는가? 29 호라타래 20/03/06 6353 20
10319 일상/생각불안에 대한 단상 2 안경쓴녀석 20/02/23 3582 20
10052 의료/건강꽃보다 의사, 존스홉킨스의 F4(Founding Four Physicians) 11 OSDRYD 19/12/06 4862 20
9832 일상/생각이별의 시작 16 멍청똑똑이 19/10/13 4192 20
9684 일상/생각서울 6 멍청똑똑이 19/09/19 3335 20
9612 일상/생각조국 워너비 이야기 67 멍청똑똑이 19/09/02 6078 20
9561 정치홍콩의 재벌이 신문 광고를 냈습니다. 10 Leeka 19/08/18 4851 20
9543 꿀팁/강좌영어 공부도 하고, 고 퀄리티의 기사도 보고 싶으시다면... 8 Jerry 19/08/14 5476 20
9343 일상/생각매일매일 타인의 공포 - 안면인식장애 25 리오니크 19/06/25 4386 20
9319 과학/기술0.999...=1? 26 주문파괴자 19/06/14 6501 20
9251 일상/생각알콜 혐오 부모님 밑에서 과다 음주자로 사는 이야기 9 Xayide 19/05/29 4125 20
8785 여행혼자 3박 4일 홋카이도 다녀온 이야기 (스압) 20 타는저녁놀 19/01/21 7515 20
8666 정치스물 다섯 살까지 저는 한나라당의 지지자였습니다 (6) 5 The xian 18/12/20 3446 20
8336 일상/생각욕망하지 않는 것을 욕망함에 대하여 12 일자무식 18/10/07 4783 20
7851 여행어두운 현대사와 화려한 자연경관 - 크로아티아 12 호타루 18/07/15 4344 20
7643 기타(마감) #전직백수기념나눔 #책나눔이벤트 36 la fleur 18/06/09 5782 2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