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0/07/17 22:44:17
Name   necessary evil
Subject   자기 객관화라는 덫
상담사씨는 말합니다. "당신은 늘 뇌와 마음을 완전히 분리시킨 사람처럼 말해요. 하지만 당신은 그런 사람이 아니잖아요." 모를리가 없죠. 그렇게 되고자 했으니까. 실은 소시오패스같다는 업계포상을 듣기 위해 정진 중인데, 요즘 보면 저 정도로는 택도 없어보이긴 합니다.

상담사씨는 종종 최근에 행복했던 적이 언제인지, 혹은 기쁘거나 슬펐던 적이 언제였는지 묻습니다. 그때마다 5분쯤 고민하고, 겨우 쥐어짜내게 되는 것은 최소 5년은 된 일들입니다. 감정의 고저차가 별로 없는 현재 모습에 만족하고 있기 때문에 그런 질문은 항상 곤란합니다.

다만 감정이 오르락 내리락 하는 일이 없도록 삶을 조정한 것 때문일까, 기억력이 매우 흐트려졌습니다. 지난 달도 겨울에도 작년 이맘 때도 3년 전에도 똑같은 나날이었으니, 다시 말해 언제 무슨 일이 있었는지를 딱히 남겨둘 일이 없다보니까요. 옛날엔 분명 넌 쪼잔하게 뭘 그런 것까지 기억하고 다니냐, 같은 말도 듣던 때도 있었는데 말이죠. 상담사씨는, 감정을 억압하게 되면 기억력이 흐려진다고 에둘러 말했습니다. 사실 요즘엔 왜 상담을 받기로 했었나도 가물가물해 대화가 지지부진하기도 하네요. 그래서 이달 말을 끝으로 종료할 예정입니다.

자기 통제와 자기 객관화. 지난 세월을 관통해온 제 인생의 신조죠. 마음을 풀어버리거나 실수로 흐트러진 모습을 보이는 순간마다 내쳐지거나 외면당한 기억은(물론 지금은 '그랬다'는 느낌만 있을 뿐이지만) 확신을 올곧게 했고, 그렇게 재미와는 담쌓은 인간이 되었습니다. 어쩌다 학창시절 친구가 연락해오기도 하지만 핑계를 대며 피하는 이유는 그때문입니다. 상담사씨는 저에게 'ㅇㅇ씨는 ㅇㅇ씨 같은 사람이 친구라면 어떨거 같냐'라고 물었던 적이 있는데, 저는 '친구는 물론 애인이나 가족으로도 극혐이다'라고 단칼에 손을 내저었지요. 자기 혐오같은 것은 아니옵고 세상에 나같은 인간은 나 하나면 족하다는 비틀린 심리의 일환이죠.

부화뇌동을 배격하고 사리분별과 자기 객관화에 몰두하며 수양한 결과 저는 꽤 현명한 사람이라고 자부합니다. 뭐 피식해도 좋습니다. 동서고금의 현인들은 분명 '남이 알아주길 바라지 말라'고 가르쳤지만 그렇게 했더니 이 모양이더라, 가 하고자 하는 말이니까요. 그들이 거짓을 가르쳤다기보단 소인의 그릇으로 감히 현인 흉내를 내고자한 말로라 생각 중입니다. 단적으로 뛰어난 사람이나 똑똑한 사람과 달리 현명한 사람은 야스를 못하도록 되어있으니까요. 동서고금으로 증명된 하늘의 섭리죠. 군인이 외계인 다음 3순위 신랑감이라는 블랙유머식으로 말하면 '현명하기만 한 사람'은 '나쁘기만 한 사람'보다 매력도가 낮은 셈이죠. 뉴스만 봐도 알 수 있는 사실이잖아요. 소인의 그릇으로 난 사람은 소인답게 사는 것이 도를 따르는 길임을 이제야 알게 된 거죠. 나는 그녀를 덜 좋아한 것도 예의를 차린 것도 아니라 밀어붙여보지도 못한 쪼다라는 자각 또한. 분별력 좀 떨어져도 되고, 내로남불 좀 해도 됐던 겁니다. 나는 군자가 될 수도 없고 실은 바라지도 않았으니까.

슬퍼본 적이 없다고 말했지만, 사실 눈물을 흘려본 적은 있습니다. 제게 있어 그래비티와 매드맥스는 그 어떤 새드 스토리보다도 가슴을 사무치게 만드는 영화죠. 두 영화는 떠나왔던 곳으로 돌아가는 이야기라는 공통점이 있습니다.  맥스는 특히 꼬집어서 말하죠. 170일을 그렇게 달려도 거기엔 아무것도 없다고. 그래비티도 그렇고, 밑져야 본전이다라는 말을 하고 있죠. 그러나 그렇게 말할 수 있는 것도 그것이 결국 영화라는 매체이기 때문입니다. 인생에는 밑져야 본전이라는 것이 없고, 그래서 그래비티도 매드맥스도 실은 감동적인 판타지로서 아끼는 것입니다. 의미심장한 대사는 좀 전에 있죠. '희망을 품는 건 실수야. 망가진 삶을 돌이킬 수 없다면 미쳐버리고 말거야.'



18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1967 스포츠여자배구 준결승 배민 이벤트 결과 발표!!! 14 Regenbogen 21/08/06 3929 18
    11521 일상/생각그냥 아이 키우는 얘기. 4 늘쩡 21/03/25 3516 18
    11439 사회섹슈얼리티 시리즈 (10) - 성노동에는 기쁨이 없는가? 36 소요 21/02/21 4965 18
    11315 요리/음식평생 가본 고오급 맛집들 19 그저그런 21/01/03 4429 18
    11191 게임체스에 대해 배워봅시다! [행마와 규칙] 33 Velma Kelly 20/12/02 4959 18
    12245 창작개통령 3화 26 흑마법사 21/11/05 3894 18
    10793 일상/생각자기 객관화라는 덫 8 necessary evil 20/07/17 3832 18
    10638 문화/예술간송미술관 두 보물 불상의 경매 유찰, 그리고 아무 소리 13 메존일각 20/06/01 4126 18
    10559 일상/생각아버지 4 호라타래 20/05/07 3293 18
    10379 역사인도에 대하여 6 Fate 20/03/13 5198 18
    10062 일상/생각집문제로 스트레스 받아서 넋두리 남깁니다. 35 미스터주 19/12/09 5633 18
    9989 일상/생각4C - 글을 쓸 때 이것만은 기억해 두자 17 호타루 19/11/15 4769 18
    9970 일상/생각반기문 전 유엔사무총장 강연 소감 4 치리아 19/11/10 4547 18
    9846 역사조선시대 향교의 교육적 위상이 서원보다 낮았던 이유? 26 메존일각 19/10/16 4696 18
    9772 영화[조커 감상문?] 웃음의 시소 9 호미밭의 파스꾼 19/10/04 4844 18
    9449 일상/생각우울함 직시하기 11 Xayide 19/07/17 4948 18
    9368 일상/생각오늘 5년 전에 헤어진 여친에게 연락했습니다 18 Jerry 19/06/30 6639 18
    9299 경제바뀌지 않는 국책사업의 이면 5 쿠쿠z 19/06/11 5098 18
    9086 사회차라리 그 악독한 자들이, 슬퍼하고 분노하도록 내버려 두었다면. 2 The xian 19/04/17 3886 18
    8823 오프모임[결렬,망함] 2/3-2/4 슈퍼볼벙 (대책x 지금부터 계획해야 됨) 57 엘라 19/01/31 5682 18
    8774 사회국가유공자등록거부처분취소 소송의 경험 3 제로스 19/01/18 3286 18
    8555 역사1592년 4월 부산 - 흑의장군 6 눈시 18/11/22 5673 18
    8024 스포츠복싱을 잘해봅시다! #3 : 펀치학개론 15 Danial Plainview 18/08/09 5886 18
    7960 여행(스압, 데이터 주의) 오키나와 여행기 ~첫째 날~ 8 소라게 18/07/27 4394 18
    7762 스포츠간단하게 복기해보는 한국 2:0 독일 23 Raute 18/06/28 5406 18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