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3/07/27 23:20:47수정됨
Name   김비버
Subject   필리핀 정치 이야기(1) - 학생운동과 NPA
한국으로 치면 ‘수도권’에 해당하는 필리핀 지역을 ‘메트로 마닐라’라고 합니다. 마닐라 주변에 있는 거대한 도시 클러스터 지역을 지칭합니다. 그 중 ‘퀘존’(Quezon)이라는 도시가 있는데, 그곳에는 필리핀 국립대학 딜리만 캠퍼스(University of the Philippines, Diliman)가 있습니다.

필리핀 국립대학은 필리핀 전역에 걸쳐서 캠퍼스가 있고, 각 캠퍼스별로 특색이 있습니다. 가령 ‘필리핀 국립대학 의대’는 마닐라 캠퍼스(UP Manila)에 있습니다. 농대와 산림대학, 농경제학은 화산지대에 있는 로스바뇨스 캠퍼스(UP Los Baños)가 유력하고, 해양대는 제도 지역에 있는 비사야 캠퍼스(UP Visayas)가 유력합니다. 이처럼 ‘UP’는 각 캠퍼스가 병렬적인 관계이고, 한국의 일부 사립대처럼 본캠-분캠의 관계가 결코 아닙니다.

그럼에도 필리핀 로컬에서 자타공인 ‘최고’로 칭하고 가장 좁은 의미의 UP만을 얘기할 때에 지칭되는 캠퍼스가 있는데, 그것이 바로 UP Diliman입니다. 그 이유는 UP Diliman에 필리핀 개혁적 기득권세력의 한 축을 담당하고, 중산층 기술관료 배출의 산실인 법대와 사회과학대학이 있기 때문입니다.

제가 필리핀 학생운동에 관심을 갖게 된 계기는 그 UP Diliman 법대생 수명이 두테르테 대통령 시절인 지난 2016년경 군부에 의해 납치되어 강간 및 고문, 가까스로 탈출 후 고문 사실을 폭로하였다는 말을 우리 회사 UP 출신 친구들에게 들었던 일이었습니다. 지금 와서 다시 조사해보니 그 사건의 진위에 대해서는 확신은 없습니다. 구글 검색등을 통하여 믿을만한 매체 내지는 다수 매체의 일관된 진술등을 통한 전문을 찾아볼 수 없기 때문입니다.

다만 위와 같이 전문되어 인정할 수 있는 몇 가지의 역사적 사실은, (1) 민주화 이후 아키노 대통령 시절인 1993년 UP Los Baños 학생 두 명이 경찰들에 의해 납치되어 강간, 고문 후 암매장 되었던 사건(https://en.wikipedia.org/wiki/Murders_of_Eileen_Sarmenta_and_Allan_Gomez) (2) 아로요 대통령 시절인 2006년에 UP Diliman 학생 두 명이 군부에 의해 납치, 강간 후 살해되었던 사건(https://manilatoday.net/9-years-justice-still-elusive-abduction-of-2-missing-up-students-commemorated/) (3) 베니그노 아키노(민주화 직후 아키노 대통령의 아들) 대통령 시절인 지난 2014년 UP Diliman 학생 두 명이 군부에 의해 납치된 후 감금, 고문 및 임의 조사를 거쳐 불법 무기 소지, 반란죄 등의 혐의로 군부가 유죄 선언을 하고, 이후 구속 상태에서 재판을 받던 중 자백하여 유죄 판결을 받았다는 점을 해당 대학 학생회 측에서 주장하는 사건(https://newsinfo.inquirer.net/641453/ridon-2-up-students-arrested-for-alleged-npa-links-tortured) (4) 두테르테 대통령 시절인 지난 2017년 UP Diliman 학생 한 명이 10일 간 실종된 후 시체로 발견되었으며, 해당 시체에서 고문의 흔적이 발견되었다고 담당 의사들이 증언했다는 점을 해당 대학 학생회 측에서 주장하는 사건(https://www.philstar.com/headlines/2017/09/04/1735729/what-we-know-so-far-killing-carl-arnaiz-19)입니다.

위와 같은 일련의 유사한 사건으로 인하여 UP 학생사회에서 트라우마틱한 알레르기 반응이 있었고, 그로 인하여 허위의 사실이 루머처럼 번졌을 수도 있지만, 적어도 제가 필리핀 사람들과 사업을 하던 2017~2020년 당시 2016년에 위와 같은 사건이 있었다는 것이 UP 학생사회에서 구전으로 공유되던 ‘상식’이었던 것은 분명히 기억합니다. 그리고 그 '사건' 내지 '상식'의 여파는 UP Los Baños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필리핀은 2차 세계대전 종전 직후 큰 공산주의 폭동(혁명시도)이 있었던 이래 끈질긴 공산주의 무장세력이 잔존하고 있는데, 현대에 이르러서는 'NPA'(New People's Army)로 계승되고 있습니다. 그리고 UP Los Baños는 첩첩한 화산지대 가운데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NPA 게릴라들이 숨어들기 쉬운 환경이었고, 그렇게 숨어든 NPA 인원들이 UP Los Baños 학생들을 포섭하였습니다. 그러나 2019년 로스쿨 개학 직전 길게 필리핀에 방문했을 당시 UP Los Baños 학생회 임원이었던 우리 회사 기획자의 안내로 제가 만났던 NPA 학생 게릴라들은 공산주의 사상으로 무장했다기보다는 휴머니스트, 민족주의자 내지 혁명의 열정으로 들뜬 젊은이들이었습니다.

당시 그들이 제 출현을 반겼던 이유는 다름 아닌 한국의 근대화 역사 지식, 특히 박정희에 대한 지식에 목말라 있었기 때문입니다. 그들은 자발적으로 세미나를 개최하여 싱가포르의 리콴유, 한국의 박정희를 공부하고 있었습니다. 그리고 제가 그 세미나를 이끌어 주기를 원했습니다. 필리핀은 1988년, 우리의 6월 혁명과 유사한 온건한 입헌주의적 시민 혁명(PPR; People Power Revolution)을 경험한 바 있습니다. 그러나 PPR을 통해 영웅으로 떠오른 아키노 가문은 근본적으로 스페인 식민 시절로 거슬러 올라가는 대지주 가문이고, 실제로 코라손 아키노 혁명정부의 핵심 아젠다로서 의욕적으로 추진했던 '농지개혁'은 처참하게 실패하였으며, 그 이후 뚜렷한 정치적 리더십 없이 족벌들의 이합집산으로 지지부진하게 전개되는 필리핀 정치에 대부분의 민중과 엘리트 모두 염증을 느끼고 있는 상황이었습니다.

이에 제가 목격했던 바, UP Los Baños 학생운동가들 사이에서도 자유주의적, 입헌주의적 방식으로는 개혁 아젠다를 리더십 있게 추진할 수 없다는 식의 느슨한 합의가 있었던 것이 아닐까 싶습니다. 귀족들은 자신들의 생명이 문제될 때에는 자유주의를 이야기하면서, 민중의 생명이 문제될 때는 자본주의를 얘기하는 속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차라리 모든 인간을 동등한 효용 주체로 취급하는 공리주의적 방식이 우월하다는, 지난 인류 역사에서 반복적으로 관찰되어 온 혁명세력의 자연스러운 사고 흐름입니다.

어쨌든 위 세미나의 개최를 위해 필리핀 역사와 농지개혁 사례를 공부했던 기억이 납니다. 아쉽게도 회사를 떠나보내고 로스쿨 공부에 전념하기로 결정하여 더 이상 관여하는 것은 멈추었지만, 일련의 만남과 공부의 과정에서 개인적으로 느낀 것이 있습니다. '개혁은 호쾌한 정복이 아니라 지루한 싸움이다'는 것입니다. 이는 특히 필리핀 농지개혁의 실패 사례에서 배울 수 있었습니다. 거칠게 말하면 필리핀 농지개혁은 충분히 개혁적이지 못했다거나 반동세력의 저항이 있었기 때문에 실패한 것이 아니라, 지루한 싸움을 견뎌내지 못하여 자멸했습니다.

여기까지가 저의 지극히 개인적인 경험의 이야기입니다.

사실 이 글을 쓰기까지 많이 주저했는데, 그 이유는 (1) 제가 본 것이 전부가 아니며 다소의 왜곡 내지 착각이 있을 확률은 거의 100%이고 (2) 제가 그들의 운동에 함께하여 인생을 걸었던 것도 아닌데 마치 재미난 경험 '썰' 풀듯이 소비하는 것이 꺼려졌기 때문입니다. 그럼에도 이 글을 적기로 한 이유는 제가 보고 배운 것이 지금의 한국 현실에 도움이 될 것 같다고 생각하였고, 현실적으로는 위의 이야기로 시작하는 것이 이목을 끌기에 좋다고 판단했기 때문입니다.

다음 글에서는 필리핀 농지개혁의 이야기를 구체적으로 하고, 보다 중요하게는 '개혁'에 대해 우리가 견지해야 할 태도에 대한 저 나름의 생각을 적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22
  • 개혁. 그 지난한 타협의 도정.
  • 다음글이 기대되네요.
  • 농지개혁 글 기다립니다...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8212 꿀팁/강좌직장인 여성 옷 나눔합니다 37 다람쥐 18/09/12 6395 23
5731 일상/생각누워 침뱉기 16 tannenbaum 17/06/01 3754 23
5218 일상/생각누군가의 운구를 함께 한다는 것 8 그럼에도불구하고 17/03/17 3661 23
5619 일상/생각'편 가르기'와 '편 들기' 17 소라게 17/05/12 4096 23
8937 역사역사를 주제로 유튜브를 시작하게 된 이야기 30 droysen 19/03/06 4253 23
2916 육아/가정아들이 말을 참 잘합니다. 37 Toby 16/05/30 7595 23
14409 일상/생각전세보증금 분쟁부터 임차권 등기명령 해제까지 (3) 17 양라곱 24/01/22 1601 22
14164 일상/생각나의 은전, 한 장. 6 심해냉장고 23/09/30 1482 22
14071 정치필리핀 정치 이야기(1) - 학생운동과 NPA 4 김비버 23/07/27 1671 22
13196 방송/연예대군사 사마의 감상. 나관중에 대한 도전. 10 joel 22/09/30 2756 22
13634 일상/생각결혼과 이혼 그리고 아이들… 9 큐리스 23/03/11 2471 22
13502 방송/연예2022 걸그룹 결산 9 헬리제의우울 23/01/23 2565 22
13441 일상/생각내 인생의 전환점, 2022년을 결산하다 7 카르스 23/01/01 2002 22
13365 기타마감- 급 이벤트) 내용추가 - 16강 기념 신세계상품권 교환권 2명!!! 104 tannenbaum 22/12/03 2054 22
13356 여행세상이 굴러가게 하는 비용 5.5 달러 15 아침커피 22/11/26 2589 22
13227 일상/생각아이셋과 살면 하루하루가 시트콤이 됩니다. 15 큐리스 22/10/15 2176 22
13050 의료/건강아산병원사건 서울대 교수 실명글과 개인적인 견해 17 cummings 22/08/04 3009 22
13008 경제코인·투자 손실금까지 변제해주는 게 맞냐? 30 Wolf 22/07/20 3452 22
12958 사회너말고 니오빠 - 누구랑 바람피는 것이 더 화나는가? 21 소요 22/06/28 3621 22
12921 기타[후기] (사진 주의) 비어-게인: 무명맥주전 전체공개 29 비어-도슨트 22/06/15 3101 22
12878 일상/생각죽여주는 나의 하루 12 whenyouinRome... 22/05/31 2893 22
12784 육아/가정입시 이야기 16 풀잎 22/05/05 2987 22
12590 일상/생각농촌생활)봄에는 굼벵이도 석 자씩 뛴다 16 천하대장군 22/03/07 2828 22
12528 정치내가 왜 윤석열을 싫어하는가. 21 arch 22/02/20 5047 22
12333 일상/생각벨기에 맥주 오프모임에 참석하지 못해서 하는 벨기에 맥주 셀프시음회(어?) 10 세리엔즈 21/12/08 3457 22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