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머가 아닌 펌글, 영상 등 가볍게 볼 수 있는 글들도 게시가 가능합니다.
- 여러 회원들이 함께 사용하기 위해 각 회원당 하루 5개로 횟수제한이 있습니다.
- 특정인 비방성 자료는 삼가주십시오.
Date | 19/01/23 14:33:24 |
Name | 포르티시모 |
Subject | 고대의대 수석졸업 의사가 말하는 공부비법 |
0
이 게시판에 등록된 포르티시모님의 최근 게시물 |
태어날때 결정된다는게 곧 부모님께 물려받는거죠 제비가 물어다주는 경우 빼구요.
공부 잘하는 유전자가 있다고 합니다. 조금 찾아보면 지능 결정 요인은 X 염색체에 있다고들 합니다.
여자아이인 경우 아빠한테 온건 발현이 안되고 엄마꺼가 발현된다고 하네요.
엄마아빠 둘다 공부 잘해도 애가 멍청한 경우..가 물론 있습니다.
(제비가 물어다준 자식을 제외한다고 치더라도) 이게 불가능한게 아닌게, 부모님의 유전자 풀에는 X가 3개 있잖아요?
2개만 똑똑했던거겠죠 뭐
반대로 엄마아빠 둘다 영민하지 못했던 경우라도 ... 더 보기
공부 잘하는 유전자가 있다고 합니다. 조금 찾아보면 지능 결정 요인은 X 염색체에 있다고들 합니다.
여자아이인 경우 아빠한테 온건 발현이 안되고 엄마꺼가 발현된다고 하네요.
엄마아빠 둘다 공부 잘해도 애가 멍청한 경우..가 물론 있습니다.
(제비가 물어다준 자식을 제외한다고 치더라도) 이게 불가능한게 아닌게, 부모님의 유전자 풀에는 X가 3개 있잖아요?
2개만 똑똑했던거겠죠 뭐
반대로 엄마아빠 둘다 영민하지 못했던 경우라도 ... 더 보기
태어날때 결정된다는게 곧 부모님께 물려받는거죠 제비가 물어다주는 경우 빼구요.
공부 잘하는 유전자가 있다고 합니다. 조금 찾아보면 지능 결정 요인은 X 염색체에 있다고들 합니다.
여자아이인 경우 아빠한테 온건 발현이 안되고 엄마꺼가 발현된다고 하네요.
엄마아빠 둘다 공부 잘해도 애가 멍청한 경우..가 물론 있습니다.
(제비가 물어다준 자식을 제외한다고 치더라도) 이게 불가능한게 아닌게, 부모님의 유전자 풀에는 X가 3개 있잖아요?
2개만 똑똑했던거겠죠 뭐
반대로 엄마아빠 둘다 영민하지 못했던 경우라도 3개중에 1개가 똘똘한 유전자인데 그게 발현되면 똑똑한 자식 나오는거구요
똑똑한게 우성인지 열성인지는 검색해보니 바로 나오지는 않네요 흠..
공부 잘하는 유전자가 있다고 합니다. 조금 찾아보면 지능 결정 요인은 X 염색체에 있다고들 합니다.
여자아이인 경우 아빠한테 온건 발현이 안되고 엄마꺼가 발현된다고 하네요.
엄마아빠 둘다 공부 잘해도 애가 멍청한 경우..가 물론 있습니다.
(제비가 물어다준 자식을 제외한다고 치더라도) 이게 불가능한게 아닌게, 부모님의 유전자 풀에는 X가 3개 있잖아요?
2개만 똑똑했던거겠죠 뭐
반대로 엄마아빠 둘다 영민하지 못했던 경우라도 3개중에 1개가 똘똘한 유전자인데 그게 발현되면 똑똑한 자식 나오는거구요
똑똑한게 우성인지 열성인지는 검색해보니 바로 나오지는 않네요 흠..
되는 집이야 보통 호재가 다 겹치지요. '원래' 똑똑한 부모가 유전자를 잘 물려주면서 자기가 벌은 돈으로 환경을 구축하고 또 원래 책을 가까이 하고 대화를 더 수준 높게 진행하는 걸 0살때부터 시작하니까요. 문제는 지능이건 재산이건 기타 학업 성적에 도움이 되는 요소들이건 얘네의 스케일이 1 단위에서 논다면 대입의 평가 기준은 0.01 단위에서 놀기 때문에, 랜덤하게 보일 수 밖에 없는 요소가 끼고...
그리고 이미 공부 잘한다/못한다가 확정난 어른을 보고서 '쟤는 애일 때 머리가 좋았네 나뻤네'를 평가하지, 4-6세짜리 데려다가 이것저것 테스트해보고 환경 조사한 다음에 '얘는 이 정도 점수로 이 정도 대학에 갈 것입니다'는 그 누구도 예측을 못합니다. 편향적인 후향 분석은 사람을 예언자로 만들어주는거지요.
그리고 이미 공부 잘한다/못한다가 확정난 어른을 보고서 '쟤는 애일 때 머리가 좋았네 나뻤네'를 평가하지, 4-6세짜리 데려다가 이것저것 테스트해보고 환경 조사한 다음에 '얘는 이 정도 점수로 이 정도 대학에 갈 것입니다'는 그 누구도 예측을 못합니다. 편향적인 후향 분석은 사람을 예언자로 만들어주는거지요.
인서울커트/명문대/세계석학/노벨상급 각 레벨마다 좀 비중이 다르다고 보고, 인서울 커트(내지는 명문대)까지는 노력비중이 꽤 크다고 스스로 생각만하고 삽니다. 머리좋은애가 더 쉽게 하겠지만요. 진짜 재능의 차이를 느끼는 부분은 자기가 좀 한다고 생각했는데 규격외를 목격하는 케이스가 많은 것 같더라구요.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