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로운 뉴스를 올려주세요.
Date | 20/12/15 00:12:38 |
Name | 늘쩡 |
Subject | [숨&결] 인문학의 쓸모 / 한승훈 |
http://www.hani.co.kr/arti/opinion/column/974150.html [인문학의 실용적 기능은 시민들이 스스로의 운명을 결정할 수 있는 사유의 범위를 넓히는 걸 돕는 일이다.] 인식이나 가치 등에 대한 철학적 논쟁들은 대체로 너무 추상적이어서 현실에 닿아있지 않는 것처럼 보입니다. 어떤 철학자들은 생각의 이름을 지을 때 '실천'이나 '실용'을 앞에 붙이기도 하지만 그런 관점들도 대부분 현실에 바로 적용하기는 어렵습니다. 그래서 인문학은 종종 사소한 반례들을 이용한 돌팔매질을 당하곤 해요. 하지만 이런 공격은 정당하지도 않고 타당하지도 않습니다. 자연 과학을 탐구하기 위한 도구로 인문학을 보는 오류일 뿐이죠. 자연 과학은 반증 가능성을 바탕에 깔고 반례를 정복하며 금강불괴같이 단단한 이론을 정립하다가 어느 순간 몰락합니다. 하지만 인문학에선 그런 식으로 패러다임 전환이 나타나지 않아요. 아리스토텔레스의 우주론은 완전히 끝났지만, 그의 윤리학은 여전히 남아있는 데서도 드러나죠. 우주배경복사의 발견이 정상우주론에게 안녕을 고했던 것과 같은 일은 인문학에선 일어나지 않아요. 관측 가능한 현실에서 모순(으로 보이는 것)을 발견하더라도 사유의 가치가 소멸하는 건 아니거든요. 지금까지의 철학이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공자, 맹자...에 주석을 달아온 역사라는 말들이 있죠. 이런 케케묵은 표현을 그대로 받아들이긴 어렵지만, 그렇다고 완전히 틀린 말이라고 하기도 어려워요. 사고의 범위를 개척하고 새로운 사유의 도구를 제공할 수 있다면 그 철학은 충분한 효용을 가집니다. 새로운 동력 기술이 세상을 순식간에 다른 곳으로 만들고 이내 다음 동력 기술에게 자리를 양보하며 사라지는 것과 달리 새로운 철학은 구체적인 현실에 가시적인 변화를 일으키진 않더라도 역사의 기저에서 영원히 흐릅니다. 철학이 작동하는 방식이죠. ........그러니까 쓸모없어 보이는 사람들한테도 일자리랑 임금을 주자구요. 그러려면 대학에 자리가 있어야지. 흥. 욕심쟁이 이과 사람들. 아래 링크는 위 링크에서 언급한 김우재 박사의 글. http://www.hani.co.kr/arti/opinion/column/951480.html 2
이 게시판에 등록된 늘쩡님의 최근 게시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