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로운 뉴스를 올려주세요.
Date | 21/09/14 09:54:50 |
Name | 거소 |
Subject | 홍성서 30대 공무원 코로나19 백신 2차 접종받고 사흘 뒤 숨졌다 |
https://www.khan.co.kr/national/health-welfare/article/202109132032001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30대면 특별한 기저질환이 없는 이상 확진판정나도 사망까지 이르는 경우는 상당히 드물다고 알고있는데 다른 기사들을 보니 기저질환도 없는 분이 백신 맞자마자 이렇게 되다니 안타깝습니다. 백신의 이익이 커서 맞아야 하는건 맞는데 이런 사례들이 계속 나오네요. 인과관계가 없을 수도 있지만 백신을 맞자마자 이상반응으로 입원 후 이렇게 빠르게 사망한다니 백신 이상반응에 대한 의료대응책이나 처치에 대한 부분이 생각만큼 안전하지 못한건가 싶기도 합니다. 백신 자체가 비아시안 인종 대상으로 개발된거라 다른 차이가 있는건가 싶기도하고요. 백신이 개인과 사회의 안전을 지키기 위한 방식이라지만, 이렇게 백신 맞고 멀쩡한 사람이 죽는 다면 주변 사람들은 너무 참담할 것 같고 그렇습니다. 0
이 게시판에 등록된 거소님의 최근 게시물
|
말이 많아서 좀 찾아봤습니다. 기사에 의하면, 주로 30대 이하에서 특히 어릴수록 부작용 발생 확률이 높다고 하고....
백만명당 12.6명 정도고 주로 두번째 주사를 맞고 발생했으며, 파이저보다는 모너나에서 조금 더 높았다고 합니다. 부작용 증상은 온화한 편이었고 적절한 대증치료후에 대부분 바로 회복이 되었다고 하네요...
증상은 심장근육쪽에 염증이 발생하는건데.. 이 증상이 원래 바이러스 감염되면 발생할 확률이 있는데, 백신 접종후 확률이 아주 약간 더 높다고 합니다. 그렇지만, 전체적으로는 백신을 안 맞는것보다는 맞는게 더 좋다는 결론은 동일하고.. 1차후 부작용이 조금 있었더라도 심장이 충분... 더 보기
백만명당 12.6명 정도고 주로 두번째 주사를 맞고 발생했으며, 파이저보다는 모너나에서 조금 더 높았다고 합니다. 부작용 증상은 온화한 편이었고 적절한 대증치료후에 대부분 바로 회복이 되었다고 하네요...
증상은 심장근육쪽에 염증이 발생하는건데.. 이 증상이 원래 바이러스 감염되면 발생할 확률이 있는데, 백신 접종후 확률이 아주 약간 더 높다고 합니다. 그렇지만, 전체적으로는 백신을 안 맞는것보다는 맞는게 더 좋다는 결론은 동일하고.. 1차후 부작용이 조금 있었더라도 심장이 충분... 더 보기
말이 많아서 좀 찾아봤습니다. 기사에 의하면, 주로 30대 이하에서 특히 어릴수록 부작용 발생 확률이 높다고 하고....
백만명당 12.6명 정도고 주로 두번째 주사를 맞고 발생했으며, 파이저보다는 모너나에서 조금 더 높았다고 합니다. 부작용 증상은 온화한 편이었고 적절한 대증치료후에 대부분 바로 회복이 되었다고 하네요...
증상은 심장근육쪽에 염증이 발생하는건데.. 이 증상이 원래 바이러스 감염되면 발생할 확률이 있는데, 백신 접종후 확률이 아주 약간 더 높다고 합니다. 그렇지만, 전체적으로는 백신을 안 맞는것보다는 맞는게 더 좋다는 결론은 동일하고.. 1차후 부작용이 조금 있었더라도 심장이 충분히 회복한 후에 간격을 좀 더 늘려서 2차를 맞는것을 추천하네요..
https://www.healthline.com/health-news/fda-to-add-warning-on-mrna-covid-19-vaccines-about-rare-heart-related-side-effect#Cases-more-common-in-younger-people-and-after-second-dose
일반 국민이 불안하지 않게, 제대로 부작용 조사결과에 대한 분석 기사를 제공해주는 것이 언론의 역할인데... 우리나라의 경우 그런 기사를 찾아보기도 힘들고.. 또한 그렇게 애써 기사를 작성해도, 찌라시성 자극적 기사의 클릭수에 밀리다 보니 아무도 그런 기사를 쓰지 않는 악순환의 순환고리에 빠져있어 애석합니다. 사실 홍차넷 뉴스게시판도 주로 그런 찌라시성 기사들이 올라오고 있기도 하고요..
백만명당 12.6명 정도고 주로 두번째 주사를 맞고 발생했으며, 파이저보다는 모너나에서 조금 더 높았다고 합니다. 부작용 증상은 온화한 편이었고 적절한 대증치료후에 대부분 바로 회복이 되었다고 하네요...
증상은 심장근육쪽에 염증이 발생하는건데.. 이 증상이 원래 바이러스 감염되면 발생할 확률이 있는데, 백신 접종후 확률이 아주 약간 더 높다고 합니다. 그렇지만, 전체적으로는 백신을 안 맞는것보다는 맞는게 더 좋다는 결론은 동일하고.. 1차후 부작용이 조금 있었더라도 심장이 충분히 회복한 후에 간격을 좀 더 늘려서 2차를 맞는것을 추천하네요..
https://www.healthline.com/health-news/fda-to-add-warning-on-mrna-covid-19-vaccines-about-rare-heart-related-side-effect#Cases-more-common-in-younger-people-and-after-second-dose
일반 국민이 불안하지 않게, 제대로 부작용 조사결과에 대한 분석 기사를 제공해주는 것이 언론의 역할인데... 우리나라의 경우 그런 기사를 찾아보기도 힘들고.. 또한 그렇게 애써 기사를 작성해도, 찌라시성 자극적 기사의 클릭수에 밀리다 보니 아무도 그런 기사를 쓰지 않는 악순환의 순환고리에 빠져있어 애석합니다. 사실 홍차넷 뉴스게시판도 주로 그런 찌라시성 기사들이 올라오고 있기도 하고요..
팩트체크] 20대, 코로나 사망보다 백신 접종 후 사망이 더 많다?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1102086629150928&mediaCodeNo=257
우선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23일 기준 20~29세에서의 총 확진자 수는 4만 3083명이다. 사망자는 총 8명으로, 치명률은 0.02%이다.
20대 백신 접종 36만 ... 더 보기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1102086629150928&mediaCodeNo=257
우선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23일 기준 20~29세에서의 총 확진자 수는 4만 3083명이다. 사망자는 총 8명으로, 치명률은 0.02%이다.
20대 백신 접종 36만 ... 더 보기
팩트체크] 20대, 코로나 사망보다 백신 접종 후 사망이 더 많다?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1102086629150928&mediaCodeNo=257
우선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23일 기준 20~29세에서의 총 확진자 수는 4만 3083명이다. 사망자는 총 8명으로, 치명률은 0.02%이다.
20대 백신 접종 36만 1301건 중 이상반응 신고 건수는 1만 7704건이다. 이중 중대한 이상반응 신고 건수는 384건이었으며, 사망 신고 건수는 3건이다.
다만 모든 사망 신고가 '백신으로 인한 사망'으로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현재 질병청에 의해 인과성이 인정된 20대 백신 접종 사망은 아스트라제네카(AZ) 1건, 화이자 1건으로 총 2건이다. 이는 전체 20대 백신 접종 건수 중 약 0.0005% 수준이다.
30대에서도 코로나 사망률보다 백신 접종 사망률이 더 높은지 확인했다.
우선 23일 기준 30~39세에서의 총 확진자수는 3만 5510명이다. 사망자는 총 11명으로, 치명률은 약 0.03%이다.
30대 백신 접종 27만 3246건 중 이상반응 신고 건수는 1만 8123건이었으며, 이 중에서도 중대한 이상반응 신고 건수는 621건이다. 사망 신고 건수는 9건이다.
다만 질병청에서 인과성을 인정한 사망은 AZ 2건, 화이자 1건 총 3건이다. 전체 30대 백신 접종 건수 중 0.0011%정도다.
결론적으로 20·30대에서의 코로나19 치명률과 백신 접종 후 사망률을 비교했을 때, '코로나 사망률보다 백신 접종 사망률이 더 높다'는 주장은 사실이 아니다.
---------------------------------------------------------------------
기사상에는 코로나가 백신보다 더 위험하다고 되어있긴 합니다만
개인적인 사견임을 전제로 저는 백신 안맞는게 개인적으로는 나을수도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20~30대 기준 [백신접종자 634,547명중 사망신고 12건, 인과관계 인정 5건]
20~30대 기준 [전국 인구 13,737,210명(2016년 기준)중 코로나 사망자 19명]
치명률로 따져서 코로나 걸린 이후 사망률 vs 백신으로 인한 사망률로 비교를 하면 당연히 백신이 안전하지만
국내의 아주 낮은 감염율 덕분에 [현재로서는 백신맞고 죽을 확률이 더 높을수도 있습니다.]
물론 백신접종률을 올리기 위해서 이런 이야기를 하면 좋지 않다는것도 알고,
저도 공적으로나 사적으로나 지인과 부모님들께 안전하니 맞으라고 합니다만... 팩트는 팩트죠.
현재로서는 노년층이나 취약계층을 위해서 젊은층이 손해를 감수하고 접종한다는게 팩트라고 봅니다.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1102086629150928&mediaCodeNo=257
우선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23일 기준 20~29세에서의 총 확진자 수는 4만 3083명이다. 사망자는 총 8명으로, 치명률은 0.02%이다.
20대 백신 접종 36만 1301건 중 이상반응 신고 건수는 1만 7704건이다. 이중 중대한 이상반응 신고 건수는 384건이었으며, 사망 신고 건수는 3건이다.
다만 모든 사망 신고가 '백신으로 인한 사망'으로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현재 질병청에 의해 인과성이 인정된 20대 백신 접종 사망은 아스트라제네카(AZ) 1건, 화이자 1건으로 총 2건이다. 이는 전체 20대 백신 접종 건수 중 약 0.0005% 수준이다.
30대에서도 코로나 사망률보다 백신 접종 사망률이 더 높은지 확인했다.
우선 23일 기준 30~39세에서의 총 확진자수는 3만 5510명이다. 사망자는 총 11명으로, 치명률은 약 0.03%이다.
30대 백신 접종 27만 3246건 중 이상반응 신고 건수는 1만 8123건이었으며, 이 중에서도 중대한 이상반응 신고 건수는 621건이다. 사망 신고 건수는 9건이다.
다만 질병청에서 인과성을 인정한 사망은 AZ 2건, 화이자 1건 총 3건이다. 전체 30대 백신 접종 건수 중 0.0011%정도다.
결론적으로 20·30대에서의 코로나19 치명률과 백신 접종 후 사망률을 비교했을 때, '코로나 사망률보다 백신 접종 사망률이 더 높다'는 주장은 사실이 아니다.
---------------------------------------------------------------------
기사상에는 코로나가 백신보다 더 위험하다고 되어있긴 합니다만
개인적인 사견임을 전제로 저는 백신 안맞는게 개인적으로는 나을수도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20~30대 기준 [백신접종자 634,547명중 사망신고 12건, 인과관계 인정 5건]
20~30대 기준 [전국 인구 13,737,210명(2016년 기준)중 코로나 사망자 19명]
치명률로 따져서 코로나 걸린 이후 사망률 vs 백신으로 인한 사망률로 비교를 하면 당연히 백신이 안전하지만
국내의 아주 낮은 감염율 덕분에 [현재로서는 백신맞고 죽을 확률이 더 높을수도 있습니다.]
물론 백신접종률을 올리기 위해서 이런 이야기를 하면 좋지 않다는것도 알고,
저도 공적으로나 사적으로나 지인과 부모님들께 안전하니 맞으라고 합니다만... 팩트는 팩트죠.
현재로서는 노년층이나 취약계층을 위해서 젊은층이 손해를 감수하고 접종한다는게 팩트라고 봅니다.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