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로운 뉴스를 올려주세요.
Date | 22/03/02 13:15:58 |
Name | moqq |
Subject | 첫 민주 정부였던 김대중 정부?? |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001&oid=660&aid=0000002795 지난 1일 문 대통령은 제103주년 3·1절 기념사에서 문화 예술의 발전의 힘이 민주주의에 있다는 점을 강조하면서 "첫 민주 정부였던 김대중 정부는 자신감을 가지고 일본 문화를 개방했다"고 말했습니다. 이에 대해서 야당이 비난. 청와대 해명. 박 수석은 "87년 이후 대한민국 정부가 당연히 민주 정부"라면서도, "그러나 내용적으로 (민주주의에) 실질적 증진이 있었다기보다는 형식적 민주주의였다. 내용적으로 세계 무대에서 아주 진전된 민주주의 국가라고 주장을 못했던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 결국 해명이라고 하는 말이 노태우-YS는 실질적인 민주정부 아니다?? 속내는 우리가 집권해야 민주정부다. 이건 선 넘는 거 아닌가요? 8.7 이후로 직선제해서 정권을 세운 역사를 자기들 마음대로? 아니 진짜로 문재인 뽑았지만 이런 게 답답한 거라구요. 말이 안통하고 무조건 자기들이 옳아요. 상대방 얘기는 다 근거없는 비난이고 기울어진 운동장이고.. 민주주의 사회에서 반대쪽 얘기를 듣고 서로 타협하면서 의견을 모아나가는 게 맞는거지 반대쪽은 무조건 적폐고, 이야기 안듣고 국정운영하면 그게 독재랑 다를 게 뭐에요? 8
이 게시판에 등록된 moqq님의 최근 게시물
|
동어반복
200년 역사?를 바로 잡기 위해 20년은 집권해야 한다 헙디다ㅋ
-2018년 전당대회 때 ‘20년 집권론’을 들고나왔습니다.
사실은 전당대회 이전에, 2017년 대선 유세 때 처음 그 얘기를 했어요. 이번 대선 승리를 넘어서 앞으로 계속 집권을 해야 한다고. 얼마나 해야 한다는 거냐고 묻는 사람도 있고 하다 보니 그게 20년 집권론으로 발전을 했지요. 이유가 있습니다. 우리 역사의 지형을 보면 정조 대왕이 1800년에 돌아가십니다. 그 이후로 220년 동안 개혁 세력이 집권한 적이 없어요. 조선 말기는 수구 ... 더 보기
200년 역사?를 바로 잡기 위해 20년은 집권해야 한다 헙디다ㅋ
-2018년 전당대회 때 ‘20년 집권론’을 들고나왔습니다.
사실은 전당대회 이전에, 2017년 대선 유세 때 처음 그 얘기를 했어요. 이번 대선 승리를 넘어서 앞으로 계속 집권을 해야 한다고. 얼마나 해야 한다는 거냐고 묻는 사람도 있고 하다 보니 그게 20년 집권론으로 발전을 했지요. 이유가 있습니다. 우리 역사의 지형을 보면 정조 대왕이 1800년에 돌아가십니다. 그 이후로 220년 동안 개혁 세력이 집권한 적이 없어요. 조선 말기는 수구 ... 더 보기
동어반복
200년 역사?를 바로 잡기 위해 20년은 집권해야 한다 헙디다ㅋ
-2018년 전당대회 때 ‘20년 집권론’을 들고나왔습니다.
사실은 전당대회 이전에, 2017년 대선 유세 때 처음 그 얘기를 했어요. 이번 대선 승리를 넘어서 앞으로 계속 집권을 해야 한다고. 얼마나 해야 한다는 거냐고 묻는 사람도 있고 하다 보니 그게 20년 집권론으로 발전을 했지요. 이유가 있습니다. 우리 역사의 지형을 보면 정조 대왕이 1800년에 돌아가십니다. 그 이후로 220년 동안 개혁 세력이 집권한 적이 없어요. 조선 말기는 수구 쇄국 세력이 집권했고, 일제강점기 거쳤지, 분단됐지, 4·19는 바로 뒤집어졌지, 군사독재 했지, 김대중 노무현 10년 빼면 210년을 전부 수구보수 세력이 집권한 역사입니다. 그 결과로 우리 경제나 사회가 굉장히 불균형 성장을 해요. 우리 사회를 크게 규정하는 몇 가지 영역들이 있습니다. 분단 구조, 계층 간·지역 간 균형발전 문제, 부동산 문제, 또 요즘 이슈인 검찰개혁 문제 등이 그렇죠. 이런 영역들이 다 규모는 커졌는데 구조는 굉장히 편향된 사회로 흘러온 겁니다.
-편향을 복원하려면 20년은 집권해야 한다는 뜻이군요.
복원도 아니고, 복원을 시도해볼 틈새. 그 틈새 정도만 만들려고 해도 20년은 노력해야 한다는 뜻입니다. 김대중 노무현 정부가 분단구조에 틈새를 만들어보려고 했는데, 그게 이명박·박근혜 정부 들어와서 5·24 조치(천안함 침몰 이후 이명박 대통령이 내놓은 대북 교류 단절 및 봉쇄 조치) 하고 개성공단 폐쇄하고 하면서 다 무너지지 않습니까. 부동산도 그래요. 노무현 정부 시절 제가 총리를 할 때 국민소득이 2만 달러고 가계부채가 600조원이었습니다. 그때도 유동성 때문에 부동산 투기가 심하다고 그랬는데, 지금은 국민소득 3만 달러에 가계부채가 1500조원이 넘어요. 소득은 50% 올랐는데 가계부채는 150% 늘어난 겁니다. 노무현 정부 때 LTV와 DTI를 처음 만들어서 부채를 컨트롤하니까 2008년 금융위기 때 같이 쓸려가지 않고 살아남았잖아요? 그런데 이명박 정부부터 초과이익환수제 풀고 다주택 보유 풀고 하면서 다시 원래대로 돌아가버렸어요. 이런 게 균형이 깨진다는 겁니다.
200년 역사?를 바로 잡기 위해 20년은 집권해야 한다 헙디다ㅋ
-2018년 전당대회 때 ‘20년 집권론’을 들고나왔습니다.
사실은 전당대회 이전에, 2017년 대선 유세 때 처음 그 얘기를 했어요. 이번 대선 승리를 넘어서 앞으로 계속 집권을 해야 한다고. 얼마나 해야 한다는 거냐고 묻는 사람도 있고 하다 보니 그게 20년 집권론으로 발전을 했지요. 이유가 있습니다. 우리 역사의 지형을 보면 정조 대왕이 1800년에 돌아가십니다. 그 이후로 220년 동안 개혁 세력이 집권한 적이 없어요. 조선 말기는 수구 쇄국 세력이 집권했고, 일제강점기 거쳤지, 분단됐지, 4·19는 바로 뒤집어졌지, 군사독재 했지, 김대중 노무현 10년 빼면 210년을 전부 수구보수 세력이 집권한 역사입니다. 그 결과로 우리 경제나 사회가 굉장히 불균형 성장을 해요. 우리 사회를 크게 규정하는 몇 가지 영역들이 있습니다. 분단 구조, 계층 간·지역 간 균형발전 문제, 부동산 문제, 또 요즘 이슈인 검찰개혁 문제 등이 그렇죠. 이런 영역들이 다 규모는 커졌는데 구조는 굉장히 편향된 사회로 흘러온 겁니다.
-편향을 복원하려면 20년은 집권해야 한다는 뜻이군요.
복원도 아니고, 복원을 시도해볼 틈새. 그 틈새 정도만 만들려고 해도 20년은 노력해야 한다는 뜻입니다. 김대중 노무현 정부가 분단구조에 틈새를 만들어보려고 했는데, 그게 이명박·박근혜 정부 들어와서 5·24 조치(천안함 침몰 이후 이명박 대통령이 내놓은 대북 교류 단절 및 봉쇄 조치) 하고 개성공단 폐쇄하고 하면서 다 무너지지 않습니까. 부동산도 그래요. 노무현 정부 시절 제가 총리를 할 때 국민소득이 2만 달러고 가계부채가 600조원이었습니다. 그때도 유동성 때문에 부동산 투기가 심하다고 그랬는데, 지금은 국민소득 3만 달러에 가계부채가 1500조원이 넘어요. 소득은 50% 올랐는데 가계부채는 150% 늘어난 겁니다. 노무현 정부 때 LTV와 DTI를 처음 만들어서 부채를 컨트롤하니까 2008년 금융위기 때 같이 쓸려가지 않고 살아남았잖아요? 그런데 이명박 정부부터 초과이익환수제 풀고 다주택 보유 풀고 하면서 다시 원래대로 돌아가버렸어요. 이런 게 균형이 깨진다는 겁니다.
뻘소리 작렬이네요. 뭐가 됐든 투표로 대통령이 된 노태우부터는 인정 해야하는거고
설사 노태우가 군부독재 정권 출신이라서 뺀다 쳐도 김영삼부터는 인정을 해야죠.
김영상 정부 이름이 무려 문민정부였는데요.
그리고 이명박과 박근혜가 재임중 무슨 짓을 했고 말로가 안좋았을지라도
결국 국민이 뽑은 국민의 대통령이었다는건 부정하면 안되죠.
설사 노태우가 군부독재 정권 출신이라서 뺀다 쳐도 김영삼부터는 인정을 해야죠.
김영상 정부 이름이 무려 문민정부였는데요.
그리고 이명박과 박근혜가 재임중 무슨 짓을 했고 말로가 안좋았을지라도
결국 국민이 뽑은 국민의 대통령이었다는건 부정하면 안되죠.
노태우 정권때도 공과 과는 있었지만 지금 와서 돌이켜보면 군사독재의 한축을 담당했던 사람이 맞나? 싶을정도로 기대 이상으로 잘 해줬죠. 물론 군부 개혁 이런건 못했긴 했지만...
본인이 독단적으로 결정하기 보다 전문가들을 장관, 보좌관으로 잘 데려오고
회의도 워낙 자주 했다더군요. 지금 불통 투성이였던 몇몇 대통령들과는 다르게 당대표랑도 매주 볼정도로 회의를 자주 했고.. 참모들끼리 서로 토론 시켜서 정책 결정하고 했다고 하니..
김대중 대통령이 소통하는 대통령, 국민과의 대화 이런걸로 이미지가 박혀있어서 몰랐는데 실상... 더 보기
본인이 독단적으로 결정하기 보다 전문가들을 장관, 보좌관으로 잘 데려오고
회의도 워낙 자주 했다더군요. 지금 불통 투성이였던 몇몇 대통령들과는 다르게 당대표랑도 매주 볼정도로 회의를 자주 했고.. 참모들끼리 서로 토론 시켜서 정책 결정하고 했다고 하니..
김대중 대통령이 소통하는 대통령, 국민과의 대화 이런걸로 이미지가 박혀있어서 몰랐는데 실상... 더 보기
노태우 정권때도 공과 과는 있었지만 지금 와서 돌이켜보면 군사독재의 한축을 담당했던 사람이 맞나? 싶을정도로 기대 이상으로 잘 해줬죠. 물론 군부 개혁 이런건 못했긴 했지만...
본인이 독단적으로 결정하기 보다 전문가들을 장관, 보좌관으로 잘 데려오고
회의도 워낙 자주 했다더군요. 지금 불통 투성이였던 몇몇 대통령들과는 다르게 당대표랑도 매주 볼정도로 회의를 자주 했고.. 참모들끼리 서로 토론 시켜서 정책 결정하고 했다고 하니..
김대중 대통령이 소통하는 대통령, 국민과의 대화 이런걸로 이미지가 박혀있어서 몰랐는데 실상은 국민과의 대화도 노태우가 먼저 했었고요.
여러모로 특이한(?) 사람이라고 생각하는데, 어쨌든 기대했던것 이상으로 잘 해줬던게 아닌가 싶네요.
본인이 독단적으로 결정하기 보다 전문가들을 장관, 보좌관으로 잘 데려오고
회의도 워낙 자주 했다더군요. 지금 불통 투성이였던 몇몇 대통령들과는 다르게 당대표랑도 매주 볼정도로 회의를 자주 했고.. 참모들끼리 서로 토론 시켜서 정책 결정하고 했다고 하니..
김대중 대통령이 소통하는 대통령, 국민과의 대화 이런걸로 이미지가 박혀있어서 몰랐는데 실상은 국민과의 대화도 노태우가 먼저 했었고요.
여러모로 특이한(?) 사람이라고 생각하는데, 어쨌든 기대했던것 이상으로 잘 해줬던게 아닌가 싶네요.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