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로운 뉴스를 올려주세요.
Date | 22/06/27 23:10:45 |
Name | 먹이 |
File #1 | img4.daumcdn.net.png (361.0 KB), Download : 109 |
Subject | 英, 전기차 보조금 폐지.. 獨선 내연기관차 퇴출 반대 |
https://auto.v.daum.net/v/20220627034238882 전기차는 시기상조입니다... 상조회와 별개로 기사 중간에 '자동차 업계 관계자는 “화력발전 전기로 가는 전기차가 친환경이냐는 회의가 들 수 있다”고 말했다.' 이 부분은 헛소리니까 걸러 들으셔야 합니다 1
이 게시판에 등록된 먹이님의 최근 게시물
|
저의 뇌피셜이지만 내연기관차보다 리튬이온 배터리 방식 전기차가 먼저 퇴출될거 같습니다.
이유가 배터리 기술로 인한건데
첫번째는 저장용량과 충전속도 그리고 인프라->이건 인프라 왕창깔고 익숙해지면 극복은 될거라 생각.
두번째는 안정성->첫번째에 가려져서 그렇지 더 크리티컬 하다고 보는데 현재 전기차 보급율 4%인데도 불구하고
내연기관차에서는 거의 나오지 않는 화재에 의한 사망사고가 계속 보도되고 있고 별거 아닌 충격에 차가 이동식 화장터가 되는 모습이 자주 나오고 있죠. 지금도 이런데 보급률이 40%쯤 된 상태... 더 보기
이유가 배터리 기술로 인한건데
첫번째는 저장용량과 충전속도 그리고 인프라->이건 인프라 왕창깔고 익숙해지면 극복은 될거라 생각.
두번째는 안정성->첫번째에 가려져서 그렇지 더 크리티컬 하다고 보는데 현재 전기차 보급율 4%인데도 불구하고
내연기관차에서는 거의 나오지 않는 화재에 의한 사망사고가 계속 보도되고 있고 별거 아닌 충격에 차가 이동식 화장터가 되는 모습이 자주 나오고 있죠. 지금도 이런데 보급률이 40%쯤 된 상태... 더 보기
저의 뇌피셜이지만 내연기관차보다 리튬이온 배터리 방식 전기차가 먼저 퇴출될거 같습니다.
이유가 배터리 기술로 인한건데
첫번째는 저장용량과 충전속도 그리고 인프라->이건 인프라 왕창깔고 익숙해지면 극복은 될거라 생각.
두번째는 안정성->첫번째에 가려져서 그렇지 더 크리티컬 하다고 보는데 현재 전기차 보급율 4%인데도 불구하고
내연기관차에서는 거의 나오지 않는 화재에 의한 사망사고가 계속 보도되고 있고 별거 아닌 충격에 차가 이동식 화장터가 되는 모습이 자주 나오고 있죠. 지금도 이런데 보급률이 40%쯤 된 상태에서 노트7 배터리이슈같은 설계 미스가 양산차에 나온다면 글쎄요...
배터리 기술 혁신이 있으면 모를까 이대로는 전기차가 먼저 도태될거라 봅니다.
이유가 배터리 기술로 인한건데
첫번째는 저장용량과 충전속도 그리고 인프라->이건 인프라 왕창깔고 익숙해지면 극복은 될거라 생각.
두번째는 안정성->첫번째에 가려져서 그렇지 더 크리티컬 하다고 보는데 현재 전기차 보급율 4%인데도 불구하고
내연기관차에서는 거의 나오지 않는 화재에 의한 사망사고가 계속 보도되고 있고 별거 아닌 충격에 차가 이동식 화장터가 되는 모습이 자주 나오고 있죠. 지금도 이런데 보급률이 40%쯤 된 상태에서 노트7 배터리이슈같은 설계 미스가 양산차에 나온다면 글쎄요...
배터리 기술 혁신이 있으면 모를까 이대로는 전기차가 먼저 도태될거라 봅니다.
아닙니다. 내연기관차 화재는 보도가 잘 안 되어서 그렇지 내연기관차도 불이 납니다
내연기관차보다 전기차의 발화율이 더 높다는 증거도 없읍니다. 아니 지금까지의 보고는 그 반대입니다. 불이 정말 안 나는 편이지요
지금 전기차 화재의 문제는 불이 한 번 붙으면 끄기 굉장히 어렵다가 이슈일 뿐이고 발화율은 절대 아닙니다. '불이 많이 나서 퇴출'이라고 하신다면 오히려 하브가 가장 먼저 퇴출되어야 합니다
물론 전고체 배터리가 나와만 준다면 순식간에 시장을 점령할 것 같긴 합니다. 하지만 나오지 않더라도 전기차가 도태될거라고 보긴 어렵지 않나 싶읍니다
내연기관차보다 전기차의 발화율이 더 높다는 증거도 없읍니다. 아니 지금까지의 보고는 그 반대입니다. 불이 정말 안 나는 편이지요
지금 전기차 화재의 문제는 불이 한 번 붙으면 끄기 굉장히 어렵다가 이슈일 뿐이고 발화율은 절대 아닙니다. '불이 많이 나서 퇴출'이라고 하신다면 오히려 하브가 가장 먼저 퇴출되어야 합니다
물론 전고체 배터리가 나와만 준다면 순식간에 시장을 점령할 것 같긴 합니다. 하지만 나오지 않더라도 전기차가 도태될거라고 보긴 어렵지 않나 싶읍니다
저는 업계인도 아니고 전문가도 아니고 그냥 논문 몇 개 들춰보는 수준입니다만, 수소는 이대로라면 차량으로는 성공하지 어렵지 않을까 싶은 생각이 듭니다. 수소를 쓰는 연료전지차가 현 시점에서 내연차나 전기차 대비 큰 이득이 없어서 시장이 커지지 못하는 것 같고, 거기에 인프라 확장은 너무나도 더디며, 마지막 희망이었던 대형/상용쪽은 요즘 e-fuel이 간극을 메우려고 한다고 들었읍니다
그래서 수소쪽은 말씀하신 것과 같이 차량용보다는 재생에너지를 수소로 저장하고 필요하면 꺼내서 쓰고 이런 쪽으로 노리는 것 같더라구요
그래서 수소쪽은 말씀하신 것과 같이 차량용보다는 재생에너지를 수소로 저장하고 필요하면 꺼내서 쓰고 이런 쪽으로 노리는 것 같더라구요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