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로운 뉴스를 올려주세요.
Date | 22/12/30 12:23:40수정됨 |
Name | 과학상자 |
Subject | 언론자유 대한민국? 올해보다 내년이 더 암울하다 |
http://www.media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307633 ///언론계에선 한상혁 방통위원장의 임기가 끝나는 7월 이후 방송장악 논란이 거세질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한 위원장이 임기를 채우지 못한다면 그 시기는 앞당겨질 것이다. KBS 감사 결과에 따라 KBS 전현직 경영진을 상대로 한 검찰 수사가 이뤄질 수 있고, 이는 2008년과 마찬가지로 경영진 교체 수순으로 이어질 수 있다. MBC는 내년 2월이 사장 교체기다. 박성제 현 사장에게 연임 여부가 관심사로 떠오른 가운데 조만간 박 사장을 향한 기소 가능성을 거론하는 언론보도도 나온 상황이다. YTN의 운명도 대주주 변경 승인 심사에 나설 방통위 손에 달렸다. 때문에 벌써부터 ‘공영방송 장악 컨트롤타워’가 될 수 있는 차기 방통위원장이 누가 될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 국민의힘의 ‘공영방송 장악’을 우려한 더불어민주당의 뒤늦은 움직임으로 1987년 방송법 제정 35년 만에 공영방송의 정치 독립을 확보하기 위한 법안이 2일 국회 상임위를 통과했다. KBS·MBC·EBS 이사를 21명으로 늘리고, 여야 거대 양당이 나눠 갖던 이사 추천권을 학계·현업단체 등으로 분산하는 방송법 등 개정안은 현재 법사위에 멈춰있다. 국민의힘은 ‘언론노조 공영방송 영구장악법’이라며 본회의에서 법안이 통과되더라도 대통령 거부권 행사까지 예고했다. 2009년과 달리 국회 다수당이 야당이라는 ‘변수’가 있지만, 취재 제한을 헌법수호로 인식하는 검찰총장 출신 대통령 앞에서 2023년 언론계는 한 치 앞을 예상할 수 없다. /// 이미 TBS는 무너뜨렸고 MBC, KBS를 비롯해 YTN에도 중대한 변화가 생길 겁니다. 그 이후로 대한민국은 태평성대가 될까요? 0
이 게시판에 등록된 과학상자님의 최근 게시물
|
그 곤조 넘쳐 흐르던 언론인, 기자여러분 다 실종됐더군요. 개인 페이스북에도 종종 그리도 멋진 글 띄우면서 정권 비판하던 글들도 다 사라짐. ㅋㅋㅋㅋㅋㅋㅋㅋㅋ
언론측이 우측이 많다보니 언론 측면에서야 더 심해보여 그렇지
sns에서 떠들던 교수들이나 인플루언서들도 마찬가지죠. 그냥 편향적이어서 그런걸 언론의 자유와 연계시키긴 어려울것 같습니다.
현재 벌어지는 MBC나 YTN사태는 당연히 저도 반대입니다만
보수진영이 보수 비판 안하는걸 언론의 자유가 없어서 그렇다고 하긴 힘들다 봐요.
sns에서 떠들던 교수들이나 인플루언서들도 마찬가지죠. 그냥 편향적이어서 그런걸 언론의 자유와 연계시키긴 어려울것 같습니다.
현재 벌어지는 MBC나 YTN사태는 당연히 저도 반대입니다만
보수진영이 보수 비판 안하는걸 언론의 자유가 없어서 그렇다고 하긴 힘들다 봐요.
기업이나 언론은 보수랑 친하고
시민단체나 여성단체는 진보랑 친하죠.
박원순때 입다물던 여성단체들이 여성인권타령하는거랑 비슷한 소리라고 봐요.
그냥 자기 하고싶은 소리 하면서 자기편 더 들어달라고 하는거일 뿐이니 누가 X소리를 내나? 하고 생각하시면 될듯 합니다.
시민단체나 여성단체는 진보랑 친하죠.
박원순때 입다물던 여성단체들이 여성인권타령하는거랑 비슷한 소리라고 봐요.
그냥 자기 하고싶은 소리 하면서 자기편 더 들어달라고 하는거일 뿐이니 누가 X소리를 내나? 하고 생각하시면 될듯 합니다.
솔직히 영향력만 보면
기업,언론>>>>>>>>>>>>>>>>>>>>>>>시민단체(여성단체도 시민단체에 포함되므로) 아닌가요?
일반사람들은 시민단체에 대해서 거의 생각을 안합니다.
반면에 방송과 신문은 매일매일 보고 있고
기업은 어느 사회에서나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하죠.
기업,언론>>>>>>>>>>>>>>>>>>>>>>>시민단체(여성단체도 시민단체에 포함되므로) 아닌가요?
일반사람들은 시민단체에 대해서 거의 생각을 안합니다.
반면에 방송과 신문은 매일매일 보고 있고
기업은 어느 사회에서나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하죠.
당연하죠. 그건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어느나랄 봐도 마찬가지일걸요?
애초에 정치색들로 봐도 보수 베이스에 진보가 곁들여지는게 일반적이기도 하구요.
다만 그렇다고 해서 그게 진보측을 편파적으로 편들어줘야한단 얘긴 아니죠.
애초에 정치색들로 봐도 보수 베이스에 진보가 곁들여지는게 일반적이기도 하구요.
다만 그렇다고 해서 그게 진보측을 편파적으로 편들어줘야한단 얘긴 아니죠.
저기 위에 누가 편파적으로 진보 편 들어줘야 한다고 했나요? '자칭 보수'(윤석열 정권과 국힘을 도대체 어떻게 보수라고 할 수 있는지 모르겠지만) 에게 편파적인 모습이 관찰되고 있고, 그게 (여지껏 지적됐던) 언론의 '기울어진 운동장' 관점을 지지해준다는 비판이죠.
솔직히 뭐 언론 얼마나 재갈 물려있다고 그러는지 모르겠습니다 ㅋㅋㅋ 오히려 유튜브나 더탐사, 가로세로 같이 편중되어가는 언론 환경과 그것만 보는 분들이 더 문제같은데
어떻게 하면 재갈 물렸다고 생각하실지 모르겠네요. MBC가 바이든을 바이든이라고 적었다고 조작방송으로 몰려 대통령실이 해명을 요구하고, YTN이 리허설한 걸 리허설했다고 방송한 걸 가지고 징계를 요구했는데 이게 재갈물리기 아닌가요? MBC 때 그나마 언론탄압을 비판하던 언론들이 YTN때는 아무도 이야기하질 않는데... 진짜로 앵커 입에다 물리적 재갈을 물려야 재갈 물렸다고 보실건가요?
MBC,YTN에게 한 행동들을 보면....
그리고 여당이 방송사들에게 보수패널들을 자기 입맛에 맞는 사람으로 바꿔달라고 대놓고 공문으로 보냈죠.
그리고 여당이 방송사들에게 보수패널들을 자기 입맛에 맞는 사람으로 바꿔달라고 대놓고 공문으로 보냈죠.
재갈 물린 것 맞는데요?
MBC가 전용기에서 배제된 전후 관계만 봐도 충분히 아실 텐데요.
그리고 소위 보수 유튜브하던 사람들이 대통령실에 포진해있는 것도 충분히 아실 거구요.
MBC가 전용기에서 배제된 전후 관계만 봐도 충분히 아실 텐데요.
그리고 소위 보수 유튜브하던 사람들이 대통령실에 포진해있는 것도 충분히 아실 거구요.
언론 자유를 있다 없다 이분법으로 볼 게 아니라면 언론의 자유가 후퇴한 거죠. 이런 지적을 하는 기사가 존재하는 것으로는 만족하실지 모르겠는데, 적어도 1년전만 해도 어떤 기사 하나를 썼다고 언론사가 불이익을 받는 일은 없었던 것 같습니다.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