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로운 뉴스를 올려주세요.
Date 23/03/07 09:44:05
Name   tannenbaum
Subject   노무현·우영우 조롱, 조주빈·오원춘 언급… 실키보이즈 ‘선 넘은’ 가사 논란 [넷만세]
https://v.daum.net/v/20230306120427062

다른 의미로 개쩝니다. 이래도 인기 누리며 저보다 잘 먹고 잘 살겠지요.

하기사… 여의도에 가면 쟤네보다 더한 놈들 천지인데 니들도 먹고 살려는거지 싶긴 합니다.



0


듣보잡
이거 힙합이네요
일베가 세상밖으로 나오는 시대군요.
1
서포트벡터
뉘신지 몰라서...
tannenbaum
한명은 블랙넛이라고 꽤 논란이 된 친구인데 다른 사람은 저도 모루게쏘효ㅜㅜ
서포트벡터
관심받기 위해 한껏 노력하는 느낌이군요
하.... 진짜 버러지들 천지네요
노무현 대통령이 사후 몇년이 흘렀는데 아직도 조롱감으로, 놀림감으로 소모된다는거 자체가
씁쓸합니다.
넷에 절여진 연예인들 볼 때마다 참 없어보입니다.
어디에 소속감 강하게 느끼면 그게 어디 예술가라고 할 수 있나 최소한 자기생각을 말할 줄 알아야지
1
할머니
2023버전 김일성만세를 의도한건데, 버러지소리까지 들을일인가 싶네요.
뭐 남 버러지 취급하면 자신도 버러지 취급 받을 각오정도는 했어야 하지 않나...
1
‘Pretty girls 내 폰에 more than 조주빈’, ‘난 대가리 깨져도 MC like 무현’
‘다 썰어버려 like 오원춘’, ‘Damn I feel like I’m 이춘재’
Feel like I’m 우영우 정신 나간 대가리’
‘마치 최민식 in 운지천’ ‘무게감 자체가 달라 like 배리나’

네, 들을 일인데요.
선생님께서는 아니라고 생각하실수도 있죠. 개인의 성향과 가치관에 따라서요.
10
귤깐손
“김일성 만세”라 함은 김수영 시인의 같은 제목의 시를 의미하는 것이겠죠?

노래 가사를 찾아서 읽어봤는데, 순전히 비하와 조롱 등의 수단으로 실제(+창작물 속) 인물의 이름을 사용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와 김수영 시가 어떻게 관련될까요?
할머니
악행의 범위를 따지면 김일성이 오원춘이나 조주빈을 압도하겠죠. 실제 피해자가 존재한다는 것도, 표현의 자유가 누군가의 트라우마를 불러일으킨다는 것도 다르지않다고봅니다.
우크라이나 가서 푸틴처럼 탱크 몰아~ 이런 노래도 가능할까요?
적절한 선이라는 건 각각의 마음속에 있는건데
많은 사람들이 싫어할만한 표현이라면 뭐 공익이라든가 여하간 그걸 정당화하는 이유가 있어야 할 것인데..
개인적으로는 래퍼들의 저런 노래는 쓰레기 같네요.
노바로마
저딴 가사를 쓴다고 김일성 만세 처럼 경찰이 잡아가면 곤란하겠죠. 그래도 저런 가사를 쓴게 버러지 같다고 욕하는 사람이 많은 것은 전혀 곤란하지 않습니다. 표현의 자유가 있으면, 그 표현을 평가할 자유도 있는거니까요.
1
다키스트서클
오원춘 하나만으로 들을일이죠.
하마소
블랙넛 ㅋㅋㅋ
한달한권
근데 재네들이 잘 먹고 잘사나요? 돈벌 구석이 없는데 댓글 하나당 100원씩 하면 돈 많이 벌지도ㅋㅋㅋ어떤 미친 담당자가 블랙넛을 페이주고 모셔오나요ㅋㅋㅋㅋ
조롱을 하려면 현직 대통령정도는 밟아줘야 힙하지않습니까? 강약약강 같은 놈들 같으니.
10
그것은 각자 정치 성향에 따라 다른거죠.
MB, 근혜 욕하는 노래는 그간 많이 나왔었습니다.
2010년대 들어서는 워낙 돈 맛 많이 본 (척하는) 문화라 약간 정치와 멀어지긴 했지만.
5
내마리요
듣보잡
그건 힙합 아닙니다.
문화예술계기준 보수를 비판하는게 더 쉽고 진보를 비판하는 발언은 더 어렵습니다. 강약약강은 아니죠. 쥐새끼 어쩌구하고 최순실 박근혜 어쩌구하면서 보수까는 힙합곡은 이미 수두룩합니다. 노무현은 욕했다하면 포화맞구요.
자공진
무슨 예명이 지미 페이지...
매뉴물있뉴
병먹금해야 하는거 아닌가 싶기도 하고(......)
개인이 불쾌감을 느끼는 것과 별개로
영화의 살인 장면, 외설적인 미술 작품과 가사에서 범죄자의 이름을 사용하는 것의 차이가 무엇일까요?
아무리 신나게 푹찍하는 영화를 만들어도 감독의 인격, 배우의 정신 상태를 문제 삼진 않는데
유독 음악 가사에 있어서는 놀라워 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많은 랩/힙합 문화가 폭력성을 표방하는 것과 별개로 이것은 하나의 엔터테인먼트고 비즈니스입니다.
범죄 스릴러나 느와르 장르는 그렇게 좋아하면서.

15년 전 가사입니다.
“ 추격자를 보고 하정우를 길에서 볼 때 나쁜 놈이라고 욕하고 때리는... 더 보기
개인이 불쾌감을 느끼는 것과 별개로
영화의 살인 장면, 외설적인 미술 작품과 가사에서 범죄자의 이름을 사용하는 것의 차이가 무엇일까요?
아무리 신나게 푹찍하는 영화를 만들어도 감독의 인격, 배우의 정신 상태를 문제 삼진 않는데
유독 음악 가사에 있어서는 놀라워 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많은 랩/힙합 문화가 폭력성을 표방하는 것과 별개로 이것은 하나의 엔터테인먼트고 비즈니스입니다.
범죄 스릴러나 느와르 장르는 그렇게 좋아하면서.

15년 전 가사입니다.
“ 추격자를 보고 하정우를 길에서 볼 때 나쁜 놈이라고 욕하고 때리는 시골에
계실 것 같은 노인네같은 listener들이 많아서 솔직히 실망했고 민망했고 화났어”
1
대신 영화에는 "작품에서 등장한 모든 인물, 이름, 집단, 사건은 허구입니다"라고 덧붙이죠. 그 차이가 아닐까요?
모든 예술은 허구에 존재합니다. 동시에 모든 영화에 그런 주의 문구가 붙는 것도 아니고요.
듣보잡
전혀 비슷하지도 않은 걸 비교하시네요.
같은 대중예술이지 않나요.
듣보잡
님이랑 저도 같은 사람이죠. 행동양식의 수준이 떨어져서 욕먹는 건데 대상 속성이 같는게 무슨 의미가 있읍니까...
tannenbaum
추격자는 연쇄살인마 하정우를 찬양하지도 않거니와 폭력을 주제에 맞게 사용했죠.

근데 쟤들은요? 본인과 1도 관계 없는 가만히 있는 약자 피해지 머리채 잡고 끌어내 피해자 조롱하고 비웃고, 흉악범들을 고작 저따위로 물고빤다는 큰 차이가 있죠. 그냥 맥락없는 팬보이들용 혐오비즈니스자나요?

구리고 말씀대로 엔터테인먼트고 비즈니스니깐 대중의 평가가 들어가는 건 자연스런 과정이죠.
2
대중의 평가가 들어가는 것에 있어 이게 단지 음악적 장치라는 이해가 있는가 하는 의문이 드는 겁니다. 여러 누아르에서 멋지게 사람을 패고 죽이는 데에서 쾌감이 있고 케이프 무비에서는 도둑질을 통해 그러한 재미를 주는 것처럼 말이죠.
마음대로 사람을 패고 죽이고 하면 영화도 비판받습니다. 그래서 맘껏 패도되는 범죄자, 나치, 노예주, 좀비등을 활용하기도 하죠.
1
tannenbaum
누아르에선 최소헌 이유라도 만들어서 패죽이죠.
가만히 있는 장애인 끌어내 패죽이지는 않아요.
만약에 영화에서 쟤네들처럼 했다? 전국민적 융단폭격을 받았을겁니다. 쟤들이 듣보라 논란이 크게 안되는 거.

그리고 저따위 혐오의 나열이 무슨 음악적 장치인지 모르겠네요. 설사 장치라 치더라도 리스너들이 받아들이지 못하면 무슨 소용일까요? 말씀대러 대중음악인데요.
1
누아르 뿐만 아니라 그냥 공포물, 호러 장르는 사람을 죽이죠. 제이슨과 오히려 저 가사에서는 딱히 누굴 패죽이지 않습니다.

“펜 잡은 내 모습 마치 인사이트 연예부 기자 어느 x년
다 죽여버린단 일념 하나로 I got murder on my mind, 마치 권일용. 다 썰어버려 like 오원춘.”
“세봐 내가 죽인 beat들, damn, I feel like I'm 이춘재”
이 의아한 가사는 그 자극성과 별개로 랩으로 죽인다는 말입니다. 링 위에서 다 때려 눕힌다는 것과 비슷한 겁니다.

우영우 라인도 마찬가지입니... 더 보기
누아르 뿐만 아니라 그냥 공포물, 호러 장르는 사람을 죽이죠. 제이슨과 오히려 저 가사에서는 딱히 누굴 패죽이지 않습니다.

“펜 잡은 내 모습 마치 인사이트 연예부 기자 어느 x년
다 죽여버린단 일념 하나로 I got murder on my mind, 마치 권일용. 다 썰어버려 like 오원춘.”
“세봐 내가 죽인 beat들, damn, I feel like I'm 이춘재”
이 의아한 가사는 그 자극성과 별개로 랩으로 죽인다는 말입니다. 링 위에서 다 때려 눕힌다는 것과 비슷한 겁니다.

우영우 라인도 마찬가지입니다.
“ Feel like I'm 우영우, 정신 나간 대가리, 불의 앞에서는 엄근진. 진실만을 뱉어 마치 snitch”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 내용과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2
다른 음악과는 결이다른 힙합의 특성도 고려해야한다고 봐요. '나는 누구고, 이래'류의 개인적인 이야기가 담긴 힙합의 가사를 마냥 허구라고 보기 애매한 점이 있습니다.

그리고 이 사건의 경우 그 표현의 자극성때문에 더 비판여론이 생기는거고요. 라이크 제이슨 해버렸으면 아무얘기도 안나왔을거에요.
그런 오해 때문에 미국에서는 랩 가사를 법적 증거로 인용하는 것을 막는 법안까지 나왔습니다. 영화나 뮤지컬, 만화 미술 작품이 가상 공간에서 전개되듯 음악 역시 현실과 다른 레이어에 존재합니다. 힙합은 음악이고요.
물론 음악 산업에서 프로덕션까지 담당하는 아티스트의 경우 자기 정체성이 훨씬 강하게 표출될 수 밖에 없고 대중들에게도 음악과 삶이 동일시 되기도 쉽긴 하겠네요.
오 그렇군요. 오해인지는 모르겠는데 법적 증거로 인용까지 했다는게 재밌네요 ㅋㅋㅋㅋ 아무튼 먹이주기는 그만하려고요. 이럴려고 만든걸로 보여서
tannenbaum
네 알겠습니다.

근데 삼촌이 그리 이해하고 받아들일 수 있는것처럼 안되는 사람도 많이 있어요. 그게 음악적 장치든 혐오의 나열이든요.
영화나 드라마도 블랙넛 가사쓰듯 약자와 피해자를 단순히 쾌감을 위해 전시하듯 노출하면 욕쳐먹습니다. 영화대사에서 내별명이 오원춘이야 너네들 다 쓸어버릴거야 넌 우영우냐 대가리가 돌았냐 대사 넣으면 대사 재치있다가 아니라 쌍욕만 쳐먹죠. 물론 영화속에서 캐릭터의 잔인함이나 공감능력 없는 성격을 보여주기 위한 대사라고 느껴진다면 어느정도 수용될 여지는 있겠죠. 헌데 블랙넛 가사처럼 그저 재미와 쾌감을 위해 피해자와 약자를 활용한다면 어느장르든 욕쳐먹습니다.
5
힙찔이들….
공룡대탐험
높은 수위?ㅋㅋ 부동산, 학폭, 강제징용합의, 근로시간, 젠더이슈.. 하고 많은 이야기들 중 MC무현이라.. 예에. 그럼요.
2
그런 것들이 영화에도 모두 등장하니까요. 폭력성과 혐오를 기준으로 삼기엔 악인들이 너무나 영웅적으로 묘사되죠.

개인적으로는 제가 여러 폭력에 불쾌감을 많이 느낍니다. 이 가사에 느낀 불쾌감을 더글로리의 학폭 씬에 대해서도 느꼈습니다. 드라마와 관련해 흥미로운 점은 학폭 가해자들의 패션과 미에 사람들이 더 집중했다는 겁니다. 과거의 범행을 색출하는 데에는 도움이 되겠지만 이 드라마로 학폭 인식이 달라지고 범죄가 줄까요?
이담아담
병먹금하면 될 일이고 진짜 싫어하면 그냥 욕하면 됩니다.
이거 갖고 책임감,대중예술을 얘기하는건 다른 문제입니다.
대중 평가에 따라 자연히 결정될 일입니다.
1
귤깐손
저 가사가 단지 불쾌감을 주거나 ‘수위가 높아서’ 비판받고 욕 먹는 게 아닌데, 왜 허수아비 치는 분들이 많은지 의문입니다. 실제 피해자가 있는 중대한 범죄의 가해자들을 그 맥락에 대한 고려 없이 무비판적으로(소위 ‘납작하게’) 인용하고, 소수자성을 띠는 창작물 내 인물을 비하하고 있는데요.

많은 사람들은 (그리고 짐작하건데 이 기사를 공유해준 유저께서도) 위 가사가 단지 마음에 안 들고 불쾌해서 거부하는 게 아니라, 올바르지 않은 방식으로-가사가 인용한 인물과 밀접히 연관돼 있고 마땅히 존중받아야 할 개인, 특성, 배경 등을 비존중하고 심지어 모멸하는 방식으로-해당 소재를 가볍게 도구화하기 때문에 도덕적 분노를 느끼는 겁니다.
22
그저그런
분명 노래와 재능이 미쳤는데, 가사도 미쳐있어서... 힙합하는애들 리얼힙합 아니라고 안놀릴테니, 얘는 리얼힙합 좀 그만뒀으면 좋겠어요.
스티브잡스
센놈들은 하나도 두들기지 못하는 힙합정신 크으~
2
관심을 주는게 저런 이들을 키우는 힘이라고 봅니다. 병먹금 해야죠. 여야를 떠나 어느쪽이든 반대쪽을 혐오하는 이들이 있습니다, 혐오까지 할 건가 싶은데 말이죠. 혐오로 점철된 사회의 또 다른 한면을 보여주는거 같아 씁쓸합니다.
방사능홍차수정됨
저기서 언급된 곡들 보니까 아예 의도하고 노골적인 가사로 쓴 것 같더라구요.
전체적인 가사, 곡들로 미루어봤을 때
[나는 얘기할테니 깔라면 까봐]는 식의 힙합에서 자주 나오는 유아독존 스탠스였던 것 같습니다.

표현의 자유가 있죠. 비판할 평론의 자유도 당연히 있는거구요.

하지만 노골적으로 골라쓴 가사들 쓴 걸로 봐선 저들의 의도는 그들을 스스로 사회적 금기 같은 것들을 깨는 [저항]의 아이콘 이라고 정도로 생각할 것 같아 이런 비판이나 논란조차도 저들에겐 타격 없이, 오히려 자랑이 되지도 않을까 생각해봅니다.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4140 방송/연예Mnet "'프듀 조작' 안준영PD 재퇴사 논의중" 8 swear 23/04/05 2412 0
34120 방송/연예[독자패치] "생활고 레이스?"…김새론, 홀덤 플레이 포착 8 Groot 23/04/04 2584 0
34097 방송/연예'지락실' 4인방, 인도네시아 발리서 촬영中..'서진이네' 후속 4 양라곱 23/04/03 2282 0
34089 방송/연예'프듀 조작 논란' 안준영 PD, Mnet 재입사…출소 후 조용한 복귀 7 swear 23/04/03 2661 0
34079 방송/연예기안84, AOMG 전속계약…쌈디 한솥밥 1 활활태워라 23/04/01 2347 0
34058 방송/연예아이유 "가수·배우 활동명 모두 '아이유'로 통일" 8 swear 23/03/31 2673 1
34041 방송/연예나홍진 감독 ‘호프’, 황정민 조인성→마이클 패스벤더 출연 확정 5 swear 23/03/30 2659 0
33951 방송/연예'IQ 204' 12세 천재 백강현 "과학고 부회장 당선"…5살 위 형·누나 제쳤다 5 강세린 23/03/26 2665 0
33918 방송/연예원걸 출신 선예 "결혼했다는 이유로 최고의 배신자 됐다" 14 danielbard 23/03/24 2497 0
33910 방송/연예"故개그우먼 이 화장품 알았다면…" 쇼호스트 유난희도 막말 파문 4 tannenbaum 23/03/23 2223 0
33842 방송/연예'더 글로리' 송혜교, 박은빈 새길려던 백상 트로피 가져오나 [Oh!쎈 이슈] 11 tannenbaum 23/03/20 2663 0
33749 방송/연예데프콘X이수지X김해준, '맛있는 녀석들' 새 멤버 확정 5 Beer Inside 23/03/13 2266 0
33724 방송/연예'더 글로리' PD 학폭 의혹 제기…안길호 "기억 전혀 없다" 부인(종합) 다군 23/03/10 2503 0
33700 방송/연예‘더 글로리’ 김은숙 작가 “나에게는 가해자들 지옥 끝까지 끌고 갈 돈 있어” 6 swear 23/03/09 2655 1
33685 방송/연예​​​​​​​'오아시스' 반가운 시대극...다만 좀 촌스럽네 [엑's 초점] tannenbaum 23/03/08 2659 0
33673 방송/연예1조 실탄 장전한 하이브, '역공' 시작…주당 18만원 공개매수 검토 3 Groot 23/03/08 2432 0
33657 방송/연예노무현·우영우 조롱, 조주빈·오원춘 언급… 실키보이즈 ‘선 넘은’ 가사 논란 [넷만세] 50 tannenbaum 23/03/07 3229 0
33645 방송/연예뉴진스, 진짜 '청바지 모델' 됐다..'리바이스' 글로벌 엠버서더 발탁 8 swear 23/03/06 2392 1
33626 방송/연예황영웅 하차시킨 '불타는트롯맨'·서혜진, 결국 경찰수사받는다 2 swear 23/03/03 2661 0
33625 방송/연예우주소녀, 루다·다원·중국 멤버 3인 제외 8명 재계약 4 swear 23/03/03 2231 0
33623 방송/연예'앤트맨3' 수익 69% 폭락, MCU 역대 최악의 하락폭 경신 6 swear 23/03/03 2267 0
33616 방송/연예'폭행 의혹' 황영웅, 결국 '불타는 트롯맨' 하차 3 BitSae 23/03/03 2648 0
33602 방송/연예유아인 멀리 가나요.. 18 whenyouinRome... 23/03/01 2739 0
33597 방송/연예美 배우, 행사장 MC된 '학폭 가해자'에 일침...통쾌한 복수 2 swear 23/03/01 2644 0
33593 방송/연예뉴진스, 'Ditto' 멜론 10주 연속 1위..18년 3개월만 대기록 4 OneV 23/02/28 2109 0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