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로운 뉴스를 올려주세요.
Date 25/02/24 21:37:46
Name   카르스
Subject   연금 소득대체율 44% 안팎·자동조정장치 줄다리기…여야 접점 찾을까
(서울=연합뉴스) 최평천 계승현 안정훈 기자 = 국회 보건복지위원회에서 국민연금 개혁안을 두고 여야가 팽팽한 신경전을 이어가는 가운데, 핵심 쟁점인 소득대체율 및 자동조정장치 도입안을 두고 협상이 진전될지 주목된다.

정부와 국민의힘·더불어민주당은 24일 오전 비공개 실무급 회의를 열고 연금개혁 논의했으나 여전히 소득대체율을 두고 이견을 좁히지 못했다.

참석자는 여야 정책위의장인 국민의힘 김상훈·더불어민주당 진성준 의원, 민주당 소속 박주민 보건복지위원장, 복지위 양당 간사인 국민의힘 김미애·민주당 강선우 의원,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 등 6명이다.

지난 21일 여·야·정 대표가 모인 국정협의회 '4자 회담'에서 연금개혁이 포괄적으로 논의된 이후 첫 실무급 회동이다.

여야는 보험료율을 13%로 올리는 것에는 공감대를 이뤘지만, 소득대체율을 두고는 43∼45% 선에서 힘겨루기를 하고 있다.

국민의힘 김상훈 정책위의장은 이날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소득대체율 43∼44%를 두고 논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앞서 국민의힘은 소득대체율 42∼43%를 주장했지만, 야당이 요구하는 44% 선까지 수용 가능성을 열어둔 것이다.

반면 민주당 진성준 정책위의장은 이날 MBC 라디오 인터뷰에서 "적어도 소득대체율은 44∼45% 수준으로 결정돼야 한다고 생각한다. 2월 국회 중에 처리하는 게 좋겠다"고 말했다.

이처럼 일부 이견이 좁혀진 상황에서 '자동조정장치'를 연결고리로 접점을 만들어낼 수도 있으리라는 관측이 제기된다.

여당이 소득대체율 44%를 수용하는 대신, 야당은 정부·여당이 주장해 온 자동조정장치' 도입을 받아들이는 식으로 맞교환을 할 수 있다는 것이다.

다만 자동조정장치를 바라보는 양측의 시각은 다소 엇갈리고 있다.

국민의힘은 양당이 자동조정장치를 도입하기로 여야 간 의견이 모아졌고, 이후 추가 논의를 이어가기로 했다고 주장했다.

김 정책위의장은 "정부도 자동조정장치가 도입된다면 소득대체율을 유연하게 협의할 수 있다는 입장"이라며 "민주당은 자동조정장치에 대한 당내 의견, 우리는 44%에 대한 당내 의견을 수렴하고 다시 여야 간 협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민주당은 자동조정장치 도입에 합의가 된 것이 아니라고 선을 긋고 있다.

이날 일부 언론은 민주당과 이 대표가 국정협의회 당시에는 자동조정장치에 합의를 하고는 부정적 입장으로 선회했다면서 '말 바꾸기'를 했다는 지적도 내놨다.

그러나 민주당은 언론 공지를 통해 "국정협의회에서 자동조정장치에 대한 논의가 있었으나 결론에 이르지 못했다. 결론이 없는 만큼 백지상태에서 논의하는 것"이라고 해명했다. 애초 합의한 적이 없다는 해명을 내놓은 셈이다.

진 정책위의장도 기자간담회에서 "신중히 논의해야 한다"며 자동조정장치 도입에 공감대가 이뤄진 것은 아니라고 선을 그었다.

대신 민주당 진 정책위의장은 "정부의 국회 승인 조건부 자동조정장치 도입안은 진전된 제안"이라고 평가하고, 국민의힘 김 정책위의장도 "국회 승인 절차가 삽입되면 '수동조정장치가 되지 않겠나'라는 생각이 들지만, 자동조정장치에 대한 민주당의 부정적인 입장을 고려하면 소득대체율과 함께 유연하게 논의할 수 있다"고 말하는 등 조금씩 의견을 접근시키는 모습도 감지되고 있다.

이처럼 여야가 주요 쟁점에 관해 이견을 좁히려는 시도를 이어가고 있는 만큼, 정치권에서는 야당이 27일 본회의에서 연금개혁을 단독 처리하지 않을 가능성이 점쳐진다.

물론 민주당은 '27일 처리' 카드를 공언하며 압박하기는 했지만, 당내에서는 충분히 협의가 가능한 상황에서 단독으로 표결하는 것은 부담이 된다는 신중론도 제기되고 있다.

출처: https://www.yna.co.kr/view/AKR20250224048252001
========================================================================
할 말은 많지만, 일단은 어떻게 처리될지부터 궁금해지는 상황입니다.
어떤 결론이 나와도 놀랍지 않은 상황이라.



0


허락해주세요
생각보다 상식적인 국회 모양새군요
누구만 아니었으면 알아서 잘 할 것을 ㅉ
3
자동조정장치 디테일이 중요할거 같은데.. 저거 그대로 들어가면 청년만 바보되는거 아입니까
1
파로돈탁스
기금고갈, 미래세대 부담 문제에 대해 제대로 고민을 좀 했으면 좋겠어요. 미래에 세금낼 사람이 없읍니다.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702 의료/건강해외 유입 홍역 환자 잇따라...홍역 유행 국가 주의 6 토비 25/03/25 846 0
1562 의료/건강서울에 24시 소아청소년 병원 생긴다 4 토비 25/03/10 1090 5
1430 사회서울 중랑·동대문·성동구 단수... “자정까지 복구” 8 토비 25/02/25 1145 0
995 정치이재명, 최상목 만나 “영장 집행 무력 사태 막는 게 제일 중요한 일” 5 토비 25/01/13 1686 0
594 정치계엄 반대하며 뛰쳐나간 ‘이 남자’...대통령 권한대행 ‘1순위’ 급부상 3 토비 24/12/11 1710 0
373 경제“초코과자 미리 쟁여둬야”…내일부터 최대 20% 인상 10 토비 24/11/30 2462 1
185 정치30조 세수 펑크에… 청약저축까지 끌어다 쓰는 정부 8 토비 24/10/29 2207 0
151 방송/연예장동민·홍진호·김경란 뭉쳤다…'피의 게임3', 서바이벌 레전드 라인업 13 토비 24/10/21 2216 0
139 정치서울시 교육감에 진보 정근식 당선 3 토비 24/10/17 2206 0
126 정치김건희 "철없이 떠드는 오빠 용서를…명 선생님께 완전 의지" 42 토비 24/10/15 3198 0
9 정치'노무현 콤플렉스'가 촉발한 뉴라이트 20년... 논리는 더 정교해졌다 14 토비 24/09/20 2381 0
공지 뉴스 게시판 이용 안내 1 토비 16/09/01 31651 1
634 정치“너 어디 있느냐”…與 신자 의원들에게 ‘尹 탄핵 표결’ 촉구 8 택시기사8212 24/12/13 1982 0
567 정치고려대 학생들의 편지 "계엄..나였어도" 18 택시기사8212 24/12/10 1872 0
525 정치빅터 차 "한국 2차 계엄 선포 때는 미국도 대응…尹 퇴진 거의 확실" 9 택시기사8212 24/12/08 1756 0
1893 스포츠롯데는 수비가 약해, 사직구장 때문에? 15 카르스 25/04/12 995 1
1891 정치오세훈, 대선 불출마…"尹정부 실패에 통렬히 반성하고 사죄" 32 카르스 25/04/12 1388 0
1704 정치與, 연금특위에 30·40대 전면 배치키로…"민주당도 호응해야" 13 카르스 25/03/25 1177 1
1699 정치박용진 "연금개혁 아쉽지만 성과…한동훈, 거부권 건의 무책임" 23 카르스 25/03/24 1750 5
1698 댓글잠금 사회'연금개혁 미래세대 부담' 주장에…전문가들 "젊은층 위한 개혁" 59 카르스 25/03/24 2941 1
1563 경제달라는 만큼 다 줬던 사회보험료…10년 증가율 OECD 1위 불렀다 15 카르스 25/03/10 1503 0
1523 사회의정갈등 탓 3000명 '초과사망' 논란…"증거 없다"지만 씁쓸, 왜 13 카르스 25/03/06 1718 0
1470 정치극우의 물결 일으킨 더 깊은 뿌리 35 카르스 25/02/28 1954 11
1425 국제“군대 갔다 개죽음”…북한 청년들, 러 파병에 양손 손가락 모두 자른다는데 2 카르스 25/02/25 1078 0
1412 정치연금 소득대체율 44% 안팎·자동조정장치 줄다리기…여야 접점 찾을까 3 카르스 25/02/24 897 0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