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te | 24/10/30 09:01:13 |
Name | ![]() |
Subject | "승진 거부한다, 만년과장이 꿈"…요즘 회사에 뜬 '정년이' |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287802 대기업, 공공기관에서 나타난지, 혹은 예고된지 수년 된 현상인데...이걸 언론사 데스크는 물론이고 조직 내부에서 조차 리더들이 잘 받아들이지를 못했죠. 대충 정신승리 취급하던데, 그게 절대 아니라고 말해도... 가치관 변화, 길어진 인생에서 불확실성의 증대, 늦은 출산 등이 다 맞물린 문제이거늘.... 새벽부터 나와 사실상 가짜노동에 시달리고 감정노동 대박인 임원이 뭐 한 세후 10억 20억 주면 모를까 그렇게 땡기지가 않죠. 0
이 게시판에 등록된 삼유인생님의 최근 게시물
|
공무원들에게선 특히 더 많이 @.@ 예전에는 책임감이니 사명감이니 당연히 그렇게 해야지 하는 식으로 돌리던 정서가 사라지고 남는 건 오로지 돈인데 공무원 조직은 열심히 한다고 돈 더 줄 수 있는 구조가 아니잖아? 흠흠 사무관 그거 해서 무엇하리 ~
기사제목은 그냥 그러려니 하십시오. 감떨어진 언론사 종업원들끼리 자기들끼리 '오 센스있네'할 제목. 그냥 비웃어주면 됩니다.
임원이나 달아주고 내보내면 몰라도..
태반은 임원 전에 나가니 ㅠㅠㅠ
------------- 본문 읽고 다시 왔습니다 --------------
차부장급 - 흔히 말하는 사측/노조탈퇴되는 - 을 거부하는 건 그러려니 하는데,
임원이 되는 것도 거부하는 세상이군요?
신기하네요.. 연예인 걱정이랑 임원 걱정은 하는 거 아니랬는데...
(임원 퇴직금 체계도 어마어마하고.. 재계약 안되도 다른 데 가서 나보다 잘 사시는 거 같던데..)
태반은 임원 전에 나가니 ㅠㅠㅠ
------------- 본문 읽고 다시 왔습니다 --------------
차부장급 - 흔히 말하는 사측/노조탈퇴되는 - 을 거부하는 건 그러려니 하는데,
임원이 되는 것도 거부하는 세상이군요?
신기하네요.. 연예인 걱정이랑 임원 걱정은 하는 거 아니랬는데...
(임원 퇴직금 체계도 어마어마하고.. 재계약 안되도 다른 데 가서 나보다 잘 사시는 거 같던데..)
예전에 (특히 삼전) 임원을 향해 달려가는 경주마 같이 산다고 하던 시절이 있었으니,
느긋하게 회사다니시는 분들의 마인드셋은 이해가 갑니다 흐흐
임원을 '거부' 할 만한 분들은 이미 임원 못 달면 알아서 나가야하는 압박을 받을텐데 싶어 적어봤습니다 ㅎㅎㅎ
느긋하게 회사다니시는 분들의 마인드셋은 이해가 갑니다 흐흐
임원을 '거부' 할 만한 분들은 이미 임원 못 달면 알아서 나가야하는 압박을 받을텐데 싶어 적어봤습니다 ㅎㅎㅎ
그것도 뭐 경기가 좋아야 가능한 얘기인데, 지금 임원 달아서 오히려 손해 보는 케이스 많이 보고 있습니다.
40대 임원이 결코 부러워할 일이 아닌 시대가 되어가네요.
40대 임원이 결코 부러워할 일이 아닌 시대가 되어가네요.
저 같이 성취지향적 인간도 애 낳고 완전 변해서 4시 퇴근이 진리라 외치는데...제가 살아오며 이런 성향은 반에 한두명정도였으니 더 와닿더라구요.
근데 임원은 힐 거 같은데? 연봉 단위가 아예 다르잖아요.
근데 임원은 힐 거 같은데? 연봉 단위가 아예 다르잖아요.
임원은 감정노동 가짜노동 정치싸움 이런게 심하긴 하죠.
돈을 더 받고 그걸 하고 싶냐 하면...하면 좋겠지만 임원을 하기 위해서 스트레스와 더불어 희생해야하는 인간성과 사생활 생각하면 마냥 반갑기만한 기분은 아니네요.
돈을 더 받고 그걸 하고 싶냐 하면...하면 좋겠지만 임원을 하기 위해서 스트레스와 더불어 희생해야하는 인간성과 사생활 생각하면 마냥 반갑기만한 기분은 아니네요.
이거 제가 (대/중기업) 직장생활하면서 한번도 생각이 바뀐 적이 없는 건데... 이걸 정신승리 취급한다고요? 저는 지금 당장 임원 시켜줘도 안 합니다 할 능력도 없고 의지도 없읍니다 옆에서 임원들 받는 스트레스를 직접 본 분들이 많지 않아서 못 믿는 분들이 많은건가 싶네요.
제목은 만년과장이고 제 꿈은 만년부장이니 약간 다르긴 하네요 ㅋ
제목은 만년과장이고 제 꿈은 만년부장이니 약간 다르긴 하네요 ㅋ
야망 or 충성심을 가진 선임들의 말로를 꾸준히 봐온 결과지요.
능력보다도 더 비굴해져야 하는데, 나이 많다는 이유로 더 빨리 내쳐지는걸 보면,
적당히 가늘고 길게 살면서 다른 인생을 준비하는게 낫다는...
능력보다도 더 비굴해져야 하는데, 나이 많다는 이유로 더 빨리 내쳐지는걸 보면,
적당히 가늘고 길게 살면서 다른 인생을 준비하는게 낫다는...
제가 하는 업무상 퇴직 당한 임원들이 불복해서 노동위원회에 부당해고 구제신청하는 거 많이 봤습니다. 회사에서야 이런저런 이유를 끼워맞추지만, 제3자인 대리인 입장에서 보기에는 사실 파벌싸움 내지는 라인 갈리면서 실적에 관계없이 같이 갈려나가는 게 부지기수고... 물론 임금 수준이 일반 직원보다야 높겠지만, 진짜 눈 돌아가는 수준이냐 하면 그것도 아니구요. 하다못해 임원으로 개같이 일해서 조직의 탑이라도 점할 수 있으면 모르겠는데, 로-얄패밀리들이 죄다 꿰차고 있는 걸 어떻게 뚫고 들어가겠습니까. 밖에 나가서 바로 사무실 차릴 수 있는 라이센스 있는 거 아닌 이상, 그런 모험을 감행할 필요가 없어 보이더군요.
일단 팀장으로 성과를 내야 임원승진경쟁이 가능한데 팀장다는거 자체를 거부하는거죠.
팀장이랑 과장이랑 연봉차이 얼마 나지도 않고 팀장되고 거기서 성과를 내려면 워라밸 포기하고 갈아넣어야 하는데 그게 싫은거겠죠.
팀장이랑 과장이랑 연봉차이 얼마 나지도 않고 팀장되고 거기서 성과를 내려면 워라밸 포기하고 갈아넣어야 하는데 그게 싫은거겠죠.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