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te 25/01/12 09:55:34
Name   기아트윈스
Subject   등록금 동결 더는 못버틴다
https://naver.me/G4WCsOKu

등록금이 아예 안오르거나 사실상 안오르게 된지 약 20년쯤 됐읍니다. 20년간 물가변화 생각하시면...ㅋㅋ 이만큼 견디기 위해 누군가가 세금을 콸콸 부었을 것임을 짐직하실 수 있을 겁니다.

그럼에도불구하고 돈이 많이 부족한데, 늘 그렇듯 돈이 딸리면 그 조직에서 제일 약한 고리가 타격을 받습니다. 일선 사립대에선 시간강사 강사료를 꽤 지독하게 조여놨고 분반당 학생수도 놀라운 수준으로 잡아둔지 꽤 됐습니다.

저야 뭐 올리자는 주의인데, 만약 올리지 못할 거라면 교육부에서 세금 한참 더 쓸 각오를 하든가 해야지 걍 혀만 놀려서는 안 될 겁니다.



6


이번에 첫 조카 대학 입학하는데 등록금 얘기 듣고 좀 놀랐읍니다. 저때랑 크게 차이가 안나서..
기아트윈스
그나마 [국장] 요거 혜택이 정말 엄청나서... 학점 B+ 이상으로 유지할 수 있으면 아마 실제로 등록금 낼 일이 거의 없을거예요.
국장이 어마무시하죠. 와이프 졸업 후 몇 년 뒤 생겨서 와이프가 꽤나 빡쳐했던 기억이 납니다 ㅎㅎ
기아트윈스
이쪽 국장은 정말 최악인데 저쪽 국장은 혜자네요 ㅋㅋㅋㅋ
10
문샤넬남편
bk못받았읍니까??
학부생도 bk 있읍니까? 대학원 장학금이었던거 같은데 bk는..

와이프는 미대라 4년간 성적장학금만 받았고, 저는 학부성적이 별로라 성적장학금만 1-2번 정도 받았읍니다
문샤넬남편
bk 21 이라고 거의 다 주던게 있었ㅇ브니다.
졸업한지 오래되서 가물한데 아무튼 전 성적으로 한 번 받은거 밖에 없읍니다..ㅜ
b도 +가 있어요? b가 만점인 줄 알았는데..제 성적표는 분명...
6
cheerful
저희쪽은 등록금에 학교 재량이 있는지 저 다닐때랑 벌써 두배 이상 차이가 나던데 ㅎㅎ
기아트윈스
전공별로 좀 다르지 않겠습니까 ㅎㅎ 극초문과인 저희학부(사립임)의 경우 학기당 300이 안됩니다.
1
cheerful
오마이갓.. 그거로 운영이 가능하기는 한겁니까 ;;;
1
기아트윈스
될 리가 없죠 ㅋㅋㅋㅋㅋ 저희는 그냥 교육부 관료 나으리들이 뽀찌 안주나 눈치만 살필 뿐입니다.
1
cheerful
사실상 방치형 공공대학이 되어버렸군요....
물냉과비냉사이
등롯금 못올리니 모든 대학이 교육부 사업따는데 목숨 걸어야 하고 결국 대학들이 무식한 교육부 관료들의 대학정책에 끌려가게 되었죠. 교육부는 보면 볼수록 없어져야 되는 조직임이 분명함. 교육부는 한국대학 망하게 하는데 정권을 가리지 않고 최선을 다해왔습니다.
14
기아트윈스
사업계획서 쓰는 직원만 열심히 새로 채용합니다 (슬프게도 사실임)
1
dolmusa
즈이 학교는 30-40% 정도 올랐군요. 짜장면 오른 값 비교하면 그래도 택도 없는 느낌입니다.
기아트윈스
그정도면 그래도 교육부 쌩까면서 열심히 올린 거네요. 저희는 정말 동결했습니다 ㅋㅋ
등록금 동결 -> 교수 임금 인상 억제

인서울 탑 10위 정도 제외하면 국립대 교수 연봉이 사립대 교수보다 많아진지 꽤 됐죠.
3
물냉과비냉사이
소득만 생각한다면 전공 공부잘하는 사람들은 대학원 가서 교수될 생각말고 학원강사가 되는 것이 낫습니다.
기아트윈스
그렇읍니다
미카엘
저희 모교는 많이 올렸던데..
정부는 2009년 이후 올해까지 17년째 등록금 동결 기조를 이어가고 있다.

이게 엠비시대때 한번 인플레 온뒤
지지율 아이쿠 당해보고나서
진짜 등록금 인상 틀어막고 장학금 늘리기를 시작했는데
그걸 그 뒤 정권들도 등록금 올라갔을때 지지율 여파를 다 눈으로봐서..
모두가 사수하다보니 진짜 동결됨
카르스
그래서 규제 없는 대학원과 외국인 학부생은 폭풍인상..
심해냉장고
등록금 동결 직전 / 고금리 시절에 대학을 다녀서 9%의 이자 학자금 대출로 대학/원 꼴박한게 떠오를 때면 몹시 심사가 뒤틀릴 때가 잦습니다.
2
하우두유두
보험은 짜르고 임금은 안올리고 등록금은 묶고 참 갈수록 팍팍해지겠네요... ㅠ
바다사자
덕분에 대학교수 연봉테이블도 동결입니다.
2009년 초봉이랑, 2025년 초봉이랑 같다고 보시면 됩니다.
물론 대학사정이 안좋아진만큼 성과급이나 각종 수당 등은 2009년보다 훨씬 줄었습니다.
대학교수도 퇴사하고 의대입시나 준비해볼까 싶은 정도입니다.
1
기아트윈스
제가 들은 게 맞다면 저희학교 교수연봉은 지난 20년간 1회 있었다던가 그렇읍니다...ㅋㅋㅋ 평범한 회사에서 이랬으면 새총에 너트 걸고 본관 사격하면서 투쟁했을 겁니다.
요새 대학교수 분들 그만두고 이민 가시거나 회사로 가시는 분들 꽤 많습니다.
연봉은 20년전 스케일이지, 각종 교육부 사업으로 연구/교육은 뒷전이지... R&D 삭감 등 사건사고도 끊이지 않고...
사기 저하에 정말로 퇴직하시고, 미국 영주권 신청하셔서 많이들 가십니다.
폐교 위기를 겪는 대학이 아니라 중경외시, 심지어 과기원 대학에서도 심심치 않게 들립니다.
사실상 대학이 교수와 교직원들의 노동집약적 서비스업임을 생각하면 경영진 입장에서도 좀 심각하게 받아들여야 하지 않나 싶네요.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A2022080210350004596
1
대학을 꼭 가야하나 하는 의문이 항상 있어서
저는 생각이 많아지네요
공부를 하고싶어서 간다기보다는
취업이 목적이고
그 이전에 남들 다하는거 안하면 안된다는 의식이 지배적일텐데..
그래도 동결은 심했네요 ㄷㄷ
1
의도가 선하다고 결과가 좋은건 절대 아니죠
1
노바로마
물론 대학들이 이전에 비해 재정문제가 빡빡해지고 있고, 등록금 제한이 원인중 하나라는 지적은 일리있다고 생각합니다만, 그걸 굳이 등록금 인상으로만 채우려는 이유는 잘 이해가 안갑니다. 대학의 재정 문제를 오로지 학생, 학부모에게 전가하는거 아닌가 싶은데 말이죠.
반값등록금 시위가 나온게 벌써 10년 이상 지난 일이지만, 여전히 한국은 대학등록금 기준 OECD 국가들 기준으로 상위권에 해당합니다. 반대로 정부의 고등교육 투자액은 OECD 국가 중 여전히 하위권 수준입니다. 동시에 많은 사립대학들의 재단들은 자체적인 재원 마련은 소홀... 더 보기
물론 대학들이 이전에 비해 재정문제가 빡빡해지고 있고, 등록금 제한이 원인중 하나라는 지적은 일리있다고 생각합니다만, 그걸 굳이 등록금 인상으로만 채우려는 이유는 잘 이해가 안갑니다. 대학의 재정 문제를 오로지 학생, 학부모에게 전가하는거 아닌가 싶은데 말이죠.
반값등록금 시위가 나온게 벌써 10년 이상 지난 일이지만, 여전히 한국은 대학등록금 기준 OECD 국가들 기준으로 상위권에 해당합니다. 반대로 정부의 고등교육 투자액은 OECD 국가 중 여전히 하위권 수준입니다. 동시에 많은 사립대학들의 재단들은 자체적인 재원 마련은 소홀한 채 등록금에 의존하여 방만한 운영을 하는 경향이 남아있죠. 정부와 대학 재단 측은 뭘 하는건지 모르겠습니다. 본질적으로 대학이라는 기관이 상업적 기관이 아니라 교육과 연구를 위한 사회적, 공적 기관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여전히 우리 사회는 이 문제에 대해 소홀했던거 아닌가 싶습니다. 물론 그동안 국가장학금이 확대되거나 등록금 인상을 제한한 그동안의 성과를 폄훼할 마음은 없습니다만, 그런 성과를 감안해도 아직 갈길이 멀다고 생각합니다.

단순히 대학 등록금 인상 제한이 재정문제의 원인이므로, 등록금을 인상해야 한다는 논리는 지나치게 단순화된 논리라고 생각합니다.
1
물냉과비냉사이
진짜 괘씸한건 영어유치원에는 의과대학 등록금만큼 내는걸 아까워하지 않는 나라에서 대학등록금은 비싸다고 묶어둔다는 겁니다. 대학교원은 최소 Ph.D들인데 그들이 가르치고 학위(전세계 어디에서도 정규학력으로 인정받는)를 수여하는 기관이 유치원보다 싼게 한국이에요.

항상 말하는거지만 이 나라는 교육에 아예 관심 없어요. 대학은 간판이나 내놓으라는거지, 그 안에서 교육이 어떻게 이뤄져야되는지는 철저히 무관심해요. 학원 강사들에게는 개쌍욕 쳐먹어가면서 수업들으면서도 입도 뻥긋 못하는 것들이 학생이랍시고 대학에 와서는 "내가 못한 것이 아니라 당신이 날 가르치는 데 실패한것"이라는 개소리를 당당하게 지껄여대고 있지요. 대학을 이런 무식하고 천박하게 대우한 것에 대해 이 나라는 아주 큰 댓가를 곧 치르게 될겁니다.
13
영유는 희망의 값인데

대학등록금은 결과의 값에 가깝거든요

의대등록금 10배올린다해도 지지율은 변함없을겁니다
10
에디아빠
모교 시간강사 시간당 5.5만원 주길래 한번은 애교심으로 했지만 두번은 안할 일이라 생각이 들더군요.
3
더샤드
고등교육 경쟁력은 재고해야해요. 세금 더 부어서 국영제로 가든 재단한테 수익활동을 풀어주든 등록금을 풀어버리든. 뭐든 지금은 그냥 애매한 교육부 뽀찌로 협박하고 있는 판이라 경쟁력만 박살나고 있는 판이죠.
1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30 사회어린이집서 친구 치아 부러뜨린 4살…3000만원 배상 청구에 법원 판결은? 17 swear 25/01/16 999 0
1029 정치이준석 "尹, 체포 순간까지 부정선거 언급.. 보수는 무너졌다" 36 Picard 25/01/16 1232 1
1028 정치尹측 "어제 충분히 얘기…공수처 오후 조사 안 나간다" 11 the 25/01/16 617 0
1027 정치尹 따라 구치소 들어갔다…사상 초유 '구금 경호' 나선 경호처 7 맥주만땅 25/01/16 546 0
1026 정치尹 조사' 공수처 앞 분신 시도 60대, 병원 이송했지만 위독(종합 9 활활태워라 25/01/15 813 0
1025 정치경호관들, 지휘부 '불법 명령' 거부‥"나가지 말고 버스와 대기실에" 3 매뉴물있뉴 25/01/15 592 1
1024 정치국민의힘 “공수처장·국수본부장 불법체포 등 혐의로 고발” 5 Overthemind 25/01/15 586 0
1023 정치"여러분, 계엄은 범죄가 아닙니다"…尹 자필 편지 공개 [전문] 14 dolmusa 25/01/15 901 0
1022 방송/연예'장원영 가짜뉴스 유포' 탈덕수용소 징역형 집유...추징금 2억 3 Overthemind 25/01/15 622 2
1021 사회실종 7시간 만에 발견된 60대...강추위에도 무사 구조된 이유 7 메리메리 25/01/15 1011 1
1020 정치공수처 "尹 오전 11시부터 2시간반 조사…현재 진술 거부" 16 the 25/01/15 844 0
1019 정치윤대통령 계엄 사태 43일만에 체포…공수처 도착 피의자 조사(종합) 6 매뉴물있뉴 25/01/15 612 4
1018 정치단독]"계엄 포고령, 잘못 베낀 것"…윤석열 2차 답변서 확인 16 Picard 25/01/15 845 0
1017 경제 10억원 이상 있으면 한국에서 부자다? 20 맥주만땅 25/01/15 1345 2
1016 정치尹체포 15일 디데이…'진입·체포·호송' 형사 1천명 투입(종합2보) 7 다군 25/01/14 967 0
1015 정치"北에선 그런 말 안 써"…우크라가 공개한 손편지 본 탈북민들 반응 4 매뉴물있뉴 25/01/14 801 0
1014 정치尹체포 내일 새벽 재시도 유력…형사 1천명 최대 3일간 투입(종합) 9 매뉴물있뉴 25/01/14 593 1
1013 정치홍범도 장군 흉상 '육사 현 위치 존치' 유력 검토 6 매뉴물있뉴 25/01/14 499 0
1012 경제신세계 정유경도 母 이명희 지분 살까… 직접 매입 시 1500억원 이상 투입 전망 7 Leeka 25/01/14 798 0
1011 정치'尹불출석' 헌재 첫 탄핵변론 4분만에 끝…재판관 기피 기각 11 the 25/01/14 1017 0
1010 사회정부, 이달부터 산·바다에 뼛가루 뿌리는 산분장 허용 5 쮸물 25/01/14 1066 1
1009 정치法 ‘출석 불응’ 김성훈 경호처 차장 체포영장 발부…尹 체포영장 재집행 임박 7 매뉴물있뉴 25/01/14 658 1
1008 정치崔대행, '고교무상교육 국비지원 연장' 거부권…"국민부담 가중" 11 공기반술이반 25/01/14 705 0
1007 사회“친구 구하려다”…물에 빠진 친구들 구한 중학생 숨져 4 swear 25/01/14 845 0
1006 정치경찰·공수처·경호처 3자 회동 ‘빈손’…영장 집행 합의 못해 5 활활태워라 25/01/14 475 0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