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te | 25/01/13 19:16:11 |
Name | 카르스 |
Subject | 무안공항에 모인 기자들... 언론의 '조별 과제'가 시험대에 오르다 |
흔히 기후 위기 대응을 '전 세계 조별 과제'로 일컫는다. 몇몇 국가만 잘 한다고 해결될 문제가 아니어서 그만큼 힘들다는 뜻의 비유다. 언론의 윤리적인 취재와 보도 역시 '조별 과제'로 불린다. 개별 언론인이 아닌 언론 전체가 취재 윤리를 지켜야 비로소 잘했다는 평가를 받을 수 있다. 이 조별 과제는 보통 실패했다. 특히 재난참사 현장에선 더욱 처참한 결과를 낳았다. 언론의 취재는 '또 하나의 참사'로 불릴 정도였다. 속보 경쟁 앞에 피해자의 권리는 무시됐고 부정확하고 자극적인 보도가 난무했다. '세월호 참사'를 계기로 만들어진 '재난보도준칙'도 대부분 지켜지지 않았다. 지난해 12월 29일 전라남도 무안국제공항에서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가 발생했다. 179명이 숨진 대형 재난에 수많은 언론인이 현장에 모여들었고, 곧 '조별 과제'가 시작됐다. 어떻게 됐을까. (중략) 출처: https://v.daum.net/v/20250110162004516 ======================================================================== 대규모 인명피해를 낳은 제주항공 사고에 언론은 어떻게 대응하였는가에 대한 좋은 르포기사. 윤리적 참극 수준이었던 2014년 세월호 참사, 그때보단 나아졌지만 여러 한계가 있었던 2022년 이태원 참사를 거치면서 재난을 대하는 언론의 행태가 어떻게 나아졌는지, 그리고 향후 과제를 포괄적으로 잘 설명하고 있습니다. 16
이 게시판에 등록된 카르스님의 최근 게시물
|
저는 이번에 BBC 코리아에서 보도한 영상에서 유족들이 흥분해서 정부 측에 항의하는 모습을 처음으로 보았는데... 우리나라 보도 기사에서는 본적이 없는 모습이였어서, 아 이번에는 나름의 수칙이 잘 지켜지고 있구나 싶었습니다.
전 여전히 궁금하지도 않은걸로 "단독" "특종"을 붙여대는 기레기들의 면피성 기사라고 봅니다.
슬프기도 바쁜 유가족들이 왜 대표단을 꾸려서 언론 취재에 대응해야 합니까?
기사 중간에도 나왔듯 언론 자체적으로 단체를 만들어 사적 공간이 아닌 공적 책임만 취재해야하는 거 아닙니까?
여전히 언론의 오만함이 묻어나오는 기사라고밖에 안 보입니다.
슬프기도 바쁜 유가족들이 왜 대표단을 꾸려서 언론 취재에 대응해야 합니까?
기사 중간에도 나왔듯 언론 자체적으로 단체를 만들어 사적 공간이 아닌 공적 책임만 취재해야하는 거 아닙니까?
여전히 언론의 오만함이 묻어나오는 기사라고밖에 안 보입니다.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