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20/11/26 03:29:40수정됨
Name   NIKES
Subject   Data 분야로 취업시 석박사 필수이죠?
작성자가 본문을 삭제한 글입니다.



0


ebling mis
개인적인 감상이지만 컴퓨터과학 분야 채용에서 현재 학위 학벌 가장 많이 보는 분야가 AI와 DS인듯
1
지원하시는 분들 보면 그런 것 같습니다....
고민이 깊어지네요.
학위 중요시 여기는게 학위와 실무 문제해결 능력과 거의 비례하는 분야라서 그런것같아요
최신 논문 보고 이론 이해한다음 구현한다던지 이런 일이 많아서 기초 이론부터 최신 연구 트렌드까지 탄탄한 지식이 요구되는것 같더라고요
3
정말 다양한 지식이 필요한 것 같습니다.
일단 지금이라도 학점 관리하고 열심히 해서 컨택 해보는게 최선의 방법인 것 같네요.
최근 인공지능 관련 분야 교수님께 이 점에 대해서 질문드렸고, 교수님께서 현업에 계신 분들께 서신을 돌린 뒤 답신을 주셨습니다.
올려주신 질문과 같은 내용인 듯 싶어 공유합니다.

Q. 대학원 진학이 필수일까요?
연구원) 수학적 기초가 있다면 필수가 아닙니다. 그 반대라면 대학원 과정을 권합니다. 차라리, 정제되지 않은 실제 데이터를 다루는 프로젝트나 인턴십이 더 도움이 됩니다.

랩장) 프레임워크가 요즘은 상당히 잘 나오기 때문에 석박사가 필요한지는 의문이 듭니다. 다만, 커리어적인 맥락에서(요컨대, 승진) 고려한다면 학위가 상당히 도움이 됩니다.
2
답변과는 별개로... 생각보다 교수님들께서는 답신을 잘 주십니다. 저는 인공지능과 무관한 학부생인데도 길어도 하루 딜레이로 답변을 주시더라구요. 어떤 교수님은 오피스 아워에 오면 시간을 내어 면담해주시겠다고도 하셨습니다.

그래서 교수님께 서신을 드리는 걸 짱짱추천합니다!
마술사
하지만 교수님께 서신을 드리는 순간
교수님 연구실의 포획대상이 되겠죠...
가고 싶은 대학원 교수님들께 여쭤 보는게 맞는 것 같네요.
학위랑 실제 능력은 완전 별개일겁니다. 다만 국내에서 데이터 만지는 회사가 네이버/카카오/SKT 정도이고, 그 중에서도 데이터 부서는 나름 인기부서니까요. 들어가려면 어느정도 능력을 보여줘야 할것 같아요.
Kaggle이나 오픈소스 컨트리뷰션, 그 외 커뮤니티 활동 같은게 있을텐데 그런거 없거나 뭔지 모르면 학위라도...
1
다들 Kaggle을 하는 걸 추천하더군요.
일단 이거라도 해보고 포기하던가 말던가 해야겠습니다 .....
보리건빵
이제 막 합격해서 현업에 대해서 1도 모르는 꼬꼬마지만.....
데이터부서에 합격한 저는 학부생입니다
그냥 컴퓨터가 좋아서 흥미본위로 여러가지 잡다하게 하다가 데이터에 꽂혀서 한 1.5년정도 딥러닝이랑 빅데이터 플랫폼을 익히다보니 회사에서 뽑아줬습니다
사실 왜 제가 뽑혔는지는 의문입니다만.....
일단 학부생도 가능은 한 거 같습니다
2
보리건빵님이 그만큼 대단한 분이셔서 뽑힌게 아닐까요?? ㄷㄷㄷ
혹시 괜찮으시면 쪽지로 몇개 물어봐도 될까요??
보리건빵
네 쪽지주세요~
답장이 조금 느릴 수는 있습니다^^;;
학위가 없어도 학위있는 만큼의 실력을 보여줄수 있으면 상관없긴 합니다만,
마치 명문대 안가도 명문대 나와서 잘하는 사람만큼의 능력이 잇으면 된다랑 비슷하네요..
그런대 그러한 능력이 잇음을 증명하는 가장 쉬운 방법이 명문대나 대학원을 가서 체계적으로 공부 및 연구를 한 후 실적으로 보이는게 가장 명확합니다..

좋은 대학이나 대학원을 가는 이유는 간판이나 학위 따려고 가는게 아니라 좋은 환경에서 실력을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기르고 그 ... 더 보기
학위가 없어도 학위있는 만큼의 실력을 보여줄수 있으면 상관없긴 합니다만,
마치 명문대 안가도 명문대 나와서 잘하는 사람만큼의 능력이 잇으면 된다랑 비슷하네요..
그런대 그러한 능력이 잇음을 증명하는 가장 쉬운 방법이 명문대나 대학원을 가서 체계적으로 공부 및 연구를 한 후 실적으로 보이는게 가장 명확합니다..

좋은 대학이나 대학원을 가는 이유는 간판이나 학위 따려고 가는게 아니라 좋은 환경에서 실력을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기르고 그 공부/연구하는 노하우를 배우며 그거로 얻은 자신의 능력을 논문/과제 등으로 검증받을수 있다는 점 입니다.. 물론 능력이 되면
자연스럽게 인맥도 생길테고요..

그런데 컴공은 능력되면 굳이 학위없이 그냥 현업에서 바로 돈벌면서 실력을 기르는것도 가능은 한데, 요즘같은 시기에 좋은 경력을 쌓을수 있는 회사나 업무는 그만큼 경쟁이 치열해서 그 만큼의 능력이 이미 준비되어 있지 않으면 그런곳에 배치되지도 않을테고, 잘못하면 엉뚱한 곳에서 구르다가 시간만 갈수도 있습니다.
1
서류컷
1
필수는 아니지만 석사정도는 마치는걸 추천드립니다. 제가 겪은 바로는 학벌보다는 경력이 중요했습니다. 문제는 이 경력을 쌓으려면 어떻게 하냐인 거죠. 일단 학생 입장에서 커리어 쌓기 가장 좋은건 대학원입니다. 진학하면서 학벌 업그레이드도 어느 정도 가능하고요. 성격은 뭐 석사정도는 2년 군대갔다 생각하고 버티시는 방법 밖에 없습니다. 최대한 연구실/교수님에 대해서 잘 알아보시고 가세요. 좋은 교수님들도 많습니다. (좋은 교수님이라고 편하다는 건 아님)
대학원은 학교도 중요하고 연구실 주제/이름도 중요합니다. 데이터사이언스, 데이터마... 더 보기
필수는 아니지만 석사정도는 마치는걸 추천드립니다. 제가 겪은 바로는 학벌보다는 경력이 중요했습니다. 문제는 이 경력을 쌓으려면 어떻게 하냐인 거죠. 일단 학생 입장에서 커리어 쌓기 가장 좋은건 대학원입니다. 진학하면서 학벌 업그레이드도 어느 정도 가능하고요. 성격은 뭐 석사정도는 2년 군대갔다 생각하고 버티시는 방법 밖에 없습니다. 최대한 연구실/교수님에 대해서 잘 알아보시고 가세요. 좋은 교수님들도 많습니다. (좋은 교수님이라고 편하다는 건 아님)
대학원은 학교도 중요하고 연구실 주제/이름도 중요합니다. 데이터사이언스, 데이터마이닝, 인공지능, 머신러닝, 딥러닝 관련 분야로 진학하시면 좋습니다. 학생 입장에서 필요한 과목은 각종 수학과목 그리고 그중에 특히 통계쪽 공부를 하시면 좋습니다. 프로그래밍 쪽은 기본 언어들과 python 정도와 알고리즘 과목들을 집중해서 들으시면 좋습니다. DB쪽으로도 공부를 좀 하시면 좋고 DB아키텍쳐와 SQL 정도는 어느정도 다룰수 있는 수준으로 공부하시면 됩니다. 요즘 DB들은 DB플랫폼 상에서 머신러닝이 어느정도 가능하기 때문에 이점도 염두해 두시면 좋아요.
연구실에서는 주제 잘 잡고 SCI/SCIE 급 논문을 1~2편 정도 게재 한다는 목표를 잡으면 좋습니다. 요즘 인공지능 분야에서 아무래도 딥러닝이 핫하지만 데이터 사이언스 분야는 약간 다르게 이제는 고전취급받는 기본 머신러닝기법도 중요합니다. 인공지능 분야에서는 정확도가 제일 중요하지만 데이터사이언스 분야에서는 정확도와 더불어 해석력 분석력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그 밖에 공부하시면 좋은건 AWS, Google Analytics, R언어, Keras, 텐서플로우, MXnet 정도입니다. 실력이 어느정도 쌓이시면 AI경진대회 등에 참여해보는 것도 좋은 경험입니다.
나중에 취직하실때는 구글, 아마존 등의 해외기업이 아니라면 국내는 금융 분야가 연봉이나 대우등에서 가장 탑티어 입니다. 하지만 그만큼 바로 가시기엔 어렵습니다. 대안으로는 유통/마케팅 쪽에서 경력을 쌓는 것도 추천드립니다. 요즘 여러군데서 데싸/AI 분야 인력을 뽑긴하는데 경력직 위주인데다가 어중간한 데이터 관련이 적어보이는 대기업은 추천드리지 않습니다. 면접시 지금 데이터가 얼마나 쌓여있으며 데이터 수집 인프라가 어느정도 구축되어 있는지 파악하시는게 좋습니다. 이쪽 분야는 데이터가 없으면 아무것도 할 수 있는게 없습니다. 취업이 잘 안되면 오히려 인공지능/데이터분석 관련 서드업체(중소기업)에서 경력을 쌓는 것도 좋습니다. 아직 미필이시면 석사 졸업 후 해당 업체에 산업체로 들어가시는것도 방법입니다.
그 밖에 궁금하신게 있으시면 쪽지주셔도 좋습니다. 하지만 제가 이 사이트에 매일 접속하는게 아니라 답변이 늦어질 수 있습니다.
1
댓글 정말 감사합니다...
정말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궁금한 점이 생기면 쪽지 드리겠습니다.
다시 한번 상세한 답변 감사합니다.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571 진로퇴사율 115% 회사, 거르는게 답일까요? 19 [익명] 20/12/08 5549 0
10534 진로정통 기독교 세례교인? 13 Cascade 20/11/30 4177 0
10521 진로소음 있는 도로변 남향 vs 조용한 북향 건물. 어디가 좋을까요? 24 [익명] 20/11/28 6801 0
10505 진로Data 분야로 취업시 석박사 필수이죠? 17 NIKES 20/11/26 4753 0
10476 진로앞으로 어떻게 해야할까요. 10 [익명] 20/11/19 4126 0
10465 진로로스쿨 진학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2 쿠팡 20/11/17 4757 0
10449 진로20대중반에 학업, 진로 고민 4 [익명] 20/11/14 3530 0
10421 진로진로에 대해서... 17 [익명] 20/11/09 4505 0
10402 진로일이 많은 일복은 좋은 것일까요? 16 [익명] 20/11/06 7061 0
10389 진로대학원 관련해서 교수님께 어떤 질문을 드려야 할까요? 4 소반 20/11/04 5089 0
10387 진로자신을 소개해보시오(2500자) 21 보리건빵 20/11/03 4664 0
10386 진로건축/건설 분야 변리사 전망 14 시뮬라시옹 20/11/03 9369 0
10370 진로뭐 배우거나 취미로 할만한게 있을까요? 16 syzygii 20/11/01 5384 0
10359 진로행복하게 돈 버는법은 뭘까요? 26 kyun 20/10/30 4959 2
10355 진로국내/해외대학원과 군 문제, 어떻게 하는게 좋을까요 9 [익명] 20/10/30 3546 0
10338 진로컴퓨터과학(CS) 세부 전공. 어디로 가야 하오리까.. 25 사이시옷 20/10/28 4726 0
10328 진로허위 경력 기재? 12 [익명] 20/10/26 3708 0
10317 진로학점 정정 신청하러 가면서 뭘 사서 가야될까요? 10 허니레몬티 20/10/23 4188 0
10301 진로꼬꼬마 신혼부부 주거플랜 설정 도와주세요ㅠㅠ 14 [익명] 20/10/21 4354 0
10268 진로군무원 질문입니다. 7 Vinnydaddy 20/10/13 4451 0
10265 진로신발 구매 vs 글입니다 15 Moleskin 20/10/13 3757 0
10220 진로정장을 하나 맞춰야 됩니다. 27 [익명] 20/10/06 4300 0
10206 진로인생 막장 테크트리 들어간것 같습니다.. 23 [익명] 20/10/04 8114 0
10182 진로40대 이직 영어 고민입니다. 5 [익명] 20/09/26 4065 0
10181 진로20대 초반으로 돌아간다면 50 [익명] 20/09/26 4824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