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20/12/03 17:44:21
Name   토비
Subject   누전차단기 전원이 내려갔는데 안올라가네요
집에있는 두꺼비집 전원이 내려갔습니다.

메인스위치가 내려가서 옆에 3개를 다 내리고 켜봤는데도 바로 다시 떨어져요.
그러면 집안에 누전 문제 요소는 없지만 집으로 들어오는 전원 공급에 문제가 있다는거 아닐까요?

음. 어떻게 해야하지

애들 둘과 같이 있는데 둘째가 무서워해서 해결 안되면 밖에 나가야 할 것 같습니다.



0


애들 옷 입혀서 나갈 준비 다 하고 켜보니까 켜졌습니다 ㅋ
이런
4
켈로그김

최근에 새로 구입해서 연결한 제품이 있다면 그걸 제거해보십시오.
주택 내부 전기계통에 없던 문제가 생긴 경우보다 연결된 제품이 누전일 확률이 훨씬 높읍니다

....는 메인이 떨어졌다니 그건 또 아닐 수도 있겠네요
사람 불러야 해 이거(...)
모든 가전제품의 플러그를 뽑고 차단기를 다시 올린 후 하나하나 다시 꼽고 전원을 on해보세요. 그 중 하나에서 차단기가 떨어지는 녀석이 나올 겁니다. 그 놈이 범인이니 내다버리시든가 수리를.
플러그를 모두 뽑은 후에 조명은 아마도 들어올 거입니다. 그러니 플러그 뽑는 작업은 가능할 겁니다
잘살자
혹시라도 다음번에 또 떨어지면
렌턴 키고 캠핑 모드로....어떠신가요?
그래야겠네요 ㅎㅎ
근데 첫째는 나름 그런걸 재미있어 하는데 둘째녀석은 와들와들 떨어요
잘살자
저희애들은 예전에 그림자놀이 해줬더니 잼있어하더라구요. 그게 안되면 나가셔야겠지만서도....ㅎㅎㅎ
메인 스위치의 종류가 배선용 차단기(배선 차단기, MCCB, 혹은 NFB)인지요

아니면 옆에 3개처럼 누전 차단기(누전 차단기, ELB)인지요
칼리스타
아마 MCCB일텐데요... 그게 작동 원리가 바이메탈이거든요. 과전류로 열을 받으면 바이메탈이 휘어서 떨어지는 거죠. 열이 식는데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떨어진 직후에는 올려도 다시 떨어지고, 어느정도 시간이 지나면 열이 식으니까 정상 작동 하는 거고요. 전원 공급쪽 보다는 집안쪽의 문제, 그중에서도 누전보다는 과전류의 문제가 의심되네요.
감사합니다.
덕분에 나름의 이해를 갖는데 도움이 되었습니다.

한동안 문제가 반복되다가 오늘에야 사람 불러 해결했네요.
합선후 과전류도 의심해볼 수 있다고 충전기라든가 새로 사용하는 전기제품 때문일수도 ...

윗분들 말씀처럼 차단기 떨어지는 제품을 찾아서 처분하시거나, 아니면 ...

전기 관련 전문가 부르셔서 꼭 체크해보세요.

이 질문 올리고 나서 2주 정도는 괜찮았다가 다시 차단기가 내려가고 그 주기가 점점 짧아져서 사람 불렀습니다.
최근 4일동안은 거의 하루에 한 번씩 계속 내려갔어요.

아저씨가 보더니 메인차단기가 낡아서 많이 뜨끈해져 있다고 교체하면 된다고 해서 교체했습니다.
첨부 이미지는 교체전 차단기
칼리스타
제조일자를 보니까 한 20년쯤 됐나보네요. 처음에 다소 오래된 배전반(두꺼비집)일 것 같다는 생각이 들긴 했어요. 왜냐하면 요즘 주택 배전반의 스탠다드는 에어컨 따로, 실외기 따로, 주방이나 방마다 각각 따로하는 식으로 해서, 가급적 다회로로 구성하는 쪽이거든요. 3회로라고 하면 약간 예전스타일이고요.

그리고 제가 위에서 메인 MCCB에 분기 ELB 3개일 것이라고 댓글을 달았는데 ,그건 요즘 스타일이고, 예전에는 메인을 ELB로 하고 분기를 MCCB로 했었죠.
용어 정리

MCCB=배선용 차단기 = 과전류 차단 기능 있음. but 감전 보호 기능 없음. 가격 저렴.

ELB=누전 차단기 = 과전류 차단 기능 있음. and 감전 보호 기능 있음. 가격 비쌈.

누전 = 전기가 비정상적으로, 이상하게 흐르는 것. 잘못하면 감전이 되겠죠.

누전 차단의 원리 = 들어오는 전류와 나가는 전류의 크기를 비교하는 것이고 동작 시간은 0.03초 이내예요. 감전사고 방지를 위해, 누전이다 싶으면 아주 단시간에 차단돼요.

과전류≒과부하 ≒ 전기가 누전 없이 정상적으로 흐르더라도, 너무... 더 보기
용어 정리

MCCB=배선용 차단기 = 과전류 차단 기능 있음. but 감전 보호 기능 없음. 가격 저렴.

ELB=누전 차단기 = 과전류 차단 기능 있음. and 감전 보호 기능 있음. 가격 비쌈.

누전 = 전기가 비정상적으로, 이상하게 흐르는 것. 잘못하면 감전이 되겠죠.

누전 차단의 원리 = 들어오는 전류와 나가는 전류의 크기를 비교하는 것이고 동작 시간은 0.03초 이내예요. 감전사고 방지를 위해, 누전이다 싶으면 아주 단시간에 차단돼요.

과전류≒과부하 ≒ 전기가 누전 없이 정상적으로 흐르더라도, 너무 많이 흐르면 문제가 될 수 있어요. 왜냐하면 전선의 종류와 굵기에 따라 감당 가능한 전류가 정해져있거든요. 전선의 허용전류라고 해요. 전류가 너무 많이 흐르면 열이 발생해서 위험해질 수 있어요. 그걸 막기 위해 가령 사진의 ELB에 30이라고 써있으니까 30A가 되면 차단기가 떨어지는 것이죠. (전선은 굵으면 굵을수록 무조건 좋아요. 허용전류가 높아지니까요. cost 문제)

과전류 차단의 원리 = 위에서 말씀드렸듯이 바이메탈이에요.

전류의 크기 구하는 방법 = 1,000W짜리 전자렌지라면 1000/220=약 5A
4개의 구성 비교

1. 메인 ELB + 분기 MCCB (현재 토비님 주택의 배전반)
- 장점 : ELB를 하나만 써도 되죠. MCCB가 ELB보다 약간 값이 저렴.
- 단점 : 누전 발생시 메인이 내려가서 집안 전체가 정전됨.

2. 메인 MCCB + 분기 ELB (요즘 스탠다드)
- 장점 : 누전시 해당되는 ELB 하나만 차단되고 끝이니까 정전 범위 적음. + 어느쪽이 문제인지 고장지점 찾기에 유리함.
- 단점 : 약간 더 비싸긴 한데 별 차이 없음.

3. 메인 ELB + 분기 ELB (안 쓰는 구성인데, 혹... 더 보기
4개의 구성 비교

1. 메인 ELB + 분기 MCCB (현재 토비님 주택의 배전반)
- 장점 : ELB를 하나만 써도 되죠. MCCB가 ELB보다 약간 값이 저렴.
- 단점 : 누전 발생시 메인이 내려가서 집안 전체가 정전됨.

2. 메인 MCCB + 분기 ELB (요즘 스탠다드)
- 장점 : 누전시 해당되는 ELB 하나만 차단되고 끝이니까 정전 범위 적음. + 어느쪽이 문제인지 고장지점 찾기에 유리함.
- 단점 : 약간 더 비싸긴 한데 별 차이 없음.

3. 메인 ELB + 분기 ELB (안 쓰는 구성인데, 혹시 이러면 더 좋지 않을까?하고 궁금하실까봐 덧붙임)
- 장점 : 누전 보호를 이중으로 해서 좋을 것 같지만 사실 굳이 그러지 않아도 돼요.
- 단점 : 약간 더 비쌈. 그리고 1번 구성처럼, 누전시 메인이 내려가서 집안 전체가 정전될 수 있음.

4. 메인 MCCB + 분기 MCCB (쓰면 절대 안 되는 구성)
- 누전 보호가 안 되겠죠.
칼리스타
다시 돌아와서...

저의 처음 추측 = 전기 난방을 많이 하셔서 과전류로 메인 MCCB가 떨어졌을 것이다.

오늘 토비님 댓글을 보고 든 생각 = 과전류까지는 아니고 차단기의 노후화, 고장일 것이다.

결론적으로 제가 보기에 메인 차단기 교체 조치는 적절해보여요. 그리고 꼭 정전의 문제가 아니더라도, 안전상 바꿀 시기가 된 걸로 보이기도 해요.
토비님께서 확인해 보실 부분 두 가지

1. 옆에 작은거 3개는 그대로 두고 메인만 바꾸셨죠. 그러면 그 새로운 메인도 반드시 ELB=누전차단기여야 돼요(제품에 누전차단기라는 글자가 써있음). 만약 메인이 MCCB면 누전 차단을 담당하는 부분이 없어서 큰일나요.(위의 4번 구성) 이건 아주 중요하고 타협이 불가능한 부분인데 혹시 그 작업자분이 착각을 해서 MCCB로 달아놨을까봐 말씀드려요.

2. 기존의 ELB에 30이라고 써있는데 그건 30A를 넘으면 차단시킨다는 뜻이거든요. 그러면 새로 달아놓은 ELB도 똑같이 30A여야 맞아요. 아마 30일 거예요.
칼리스타
기존과 새 차단기의 차단전류가 동일해야 하는 이유 = 이를테면 집안의 전기공사에 사용된 전선이 35A까지 견디는 전선이라고 쳐보죠. ELB가 30짜리라면 30A에서 딱 차단되니까 35A에 도달할 일이 없어서 안전해요. 그런데 ELB가 40짜리라면? 아싸리 전기를 아주아주 많이 써서 한 45A정도까지 찍을 경우에는 차라리 괜찮아요. 차단기가 내려가서 보호가 되니까요. 그런데 애매하게 35와 40의 중간인 37A를 사용한다면? 전선은 열받아서 녹아내리는데 차단기는 나몰라라 가만히 있어서 위험하겠죠. 즉, 35~40A의 범위는 '보호의 사각지대'가 되는거죠.
칼리스타
과전류로 차단기가 자주 떨어져서 사람을 부르는 경우에, 더 높은 차단전류를 가진 차단기로 교체하는 경우가 있어요.(예:30짜리를 40짜리로) 그러면 작업이 간단하고, 당장은 차단기가 안 떨어지긴 하겠죠. 그런데 위에서 말한 문제가 생기면 굉장히 위험할 수 있어요(보호의 사각지대 발생). 보통은 사용된 전선의 종류와 굵기, 사용 연한, 회로 구성 등을 고려해서 안전에 문제가 없도록 결정하는데, 무자격 업자라거나 편의주의적으로 묻지마 교체를 하는 경우에는 위험해질 수 있다는 뜻이에요.
칼리스타
여기서 한가지 의문점...

30A가 올바른 값이 맞을까? 혹시 과거에 이미 묻지마 교체가 있었다면? 30A가 부적절한 값이라면?

-> 제가 보기에 메인이 30A면 괜찮아요. 사실 과전류 보호에서 메인보다는 밑에 달린 하위 MCCB 3개가 중요한데, 아마 15 혹은 20짜리겠죠. 규격 전선을 썼으면 그정도는 괜찮아요. 만약 하위 MCCB가 30A다? 그러면 그건 잘못된 것이고요. 또, 전기 난방이나 채굴기 등 전기를 많이 써서 15~20A 근처까지 쓸 경우에는 좀더 정밀한 점검이 필요하겠죠. 일상적으로는 괜찮아요.

그렇군요. 다행히 누전차단기네요.
감사합니다.

그리고 오른쪽 3개중에 맨 오른쪽게 나사가 하나 고장나서 위험하다고 가운데 연결해주고 가셨어요.

원래 갈아야 하는데 제가 그냥은 못쓰냐고 물어보니 위험해서 그냥 두고 갈 수는 없다고 저렇게 해주셨네요.
칼리스타
토비님께서 어느정도 알고 계신지 또 어느정도 궁금해 하시는지 모르겠지만, 나중에 검색으로 다른분들도 보실 수 있을 거라 생각해서 되도록 자세히 적어봤어요. 새로운 메인에 누전차단기라고 써있는지, 30이나 30A라고 써있는지는 꼭 한 번 확인해 보셔요. 그럼..
네. 검색을 통해서 들어오시는 분들도 있고 해서 그런 분들께 도움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칼리스타
사람들이 자기집 분전반(배전반)에 관심을 가지는 건 오로지 정전이 됐을 때예요. 그 이외에는 관심을 가질 일이 없어요. ELB니 MCCB니 알 필요도 전혀 없고요. TMI죠.

이 질문글의 경우에, 정전 문제를 이미 해결했다고 하셨어요. 하지만 며칠간 연속적인 정전 때문에 스트레스를 받으셨을 점, 돈을 들여 사람을 불러 고치신 점을 고려했을 때, 아직은 집의 전기에 대한 관심이 남아있으실 것이므로, 안전에 관해 꼭 확인하실 부분을 알려드리는 게 좋겠다고 생각해서, 위와 같은 댓글을 달았던 거예요(숙련된 작업자라고 해도 휴먼에러로... 더 보기
사람들이 자기집 분전반(배전반)에 관심을 가지는 건 오로지 정전이 됐을 때예요. 그 이외에는 관심을 가질 일이 없어요. ELB니 MCCB니 알 필요도 전혀 없고요. TMI죠.

이 질문글의 경우에, 정전 문제를 이미 해결했다고 하셨어요. 하지만 며칠간 연속적인 정전 때문에 스트레스를 받으셨을 점, 돈을 들여 사람을 불러 고치신 점을 고려했을 때, 아직은 집의 전기에 대한 관심이 남아있으실 것이므로, 안전에 관해 꼭 확인하실 부분을 알려드리는 게 좋겠다고 생각해서, 위와 같은 댓글을 달았던 거예요(숙련된 작업자라고 해도 휴먼에러로 ELB 대신 MCCB를 설치하는 실수를 할 수 있으므로). 그리고 그 내용을 이해하실 수 있도록, 조금 자세한 설명을 곁들였어요. 다른 분들도 정전 문제가 생겨서 검색했을 때 참고하신다면 좋을 것 같았고요.

지금 분전반 사진을 보니까 옛날식, 상남자식 공사예요. 엄밀히 따지자면 요즘의 기준과는 분명 거리가 있어요.

하지만 누전, 합선, 감전 등에 대한 필수적인 보호는 되고 있어요. 특히 중요한 게 감전사고 방지인데 그 부분은 문제가 없어요. 그러니까 당장 전기를 쓰시는 것에는 불편함이 없으실 듯해요. 만약 전기를 많이 먹는 전기난로, 전기장판, 인덕션, 에어프라이어 등을 동시에 써서, 대략 15A 이상을 사용한다고 하시면 그때는 고민을 해봐야겠지만, 그 외에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신경 끄고 그냥 쓰셔도 될 것 같아요.

제가 '32A짜리 규격 누전차단기가 정확하게 달려있네요'라는 댓글을 쓰고 끝내면 그건 기만이 되고, 그렇다고 어디가 잘못됐다는 댓글을 자세하게 쓰면 그건 쓸데없는 걱정거리를 만들어드리는 꼴이 되겠죠. 다시 정리하자면, 요즘 기준으로 봤을 때 맞지 않는 부분이 있긴 있는데, 뭐가 어떻고 어떻고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할게요. 그냥 정전 문제가 생기기 이전처럼 별 생각 없이 쓰셔도 될 것 같아요.

단, 동시 사용량이 15A 이하일 경우에요. 사실 15A를 넘게 쓴다고 해서 문제가 생기지는 않겠지만요. 보수적으로 안전하게 잡은 숫자라는 점 참고해주세요. 그럼...
네 친절한 댓글 매우 감사했습니다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348 기타쿠우쿠우... 어디 지점이 좋고 어디가 나쁘셨나요? 28 [익명] 19/06/20 13125 0
10417 연애서로 말은 안하지만 유사연애 중인 것 같습니다 21 [익명] 20/11/08 13058 0
246 게임하스스톤 카드 전체 이미지를 볼 수 있는 곳이 있을까요? 9 Toby 15/08/24 13053 0
11203 기타반바지 입을 때 남자 다리털. 25 [익명] 21/03/18 13044 0
12587 기타스앵님들, 회사 메일 보낼 때 인사말 뭘로 하십니까? 17 Groot 21/11/19 13035 0
21 기타하스스톤은 현질없이 즐기기 어렵나요? 18 ^^ 15/06/01 13012 1
4618 기타예전에 급식 없고 야자있던 시절엔 여름엔 도시락 안 상했나요? 38 다람쥐 18/05/12 12988 0
8510 가정/육아초등학교 배정 바꿀 수 있나요? 13 토비 19/12/19 12979 0
4522 의료/건강Tetraplegia와 Quadriplegia의 차이가 어떤 건가요?? 8 BONG 18/04/25 12936 0
7421 기타전세집 나갈 때 벽지 문제... 11 2019영어책20권봐 19/07/03 12916 0
9871 기타서울 데이유즈 가능한 호텔 4 다람쥐 20/08/02 12911 0
4818 기타후보자 정보공개자료에서 육군 이병으로 복무 완료가 무슨 뜻일까요? 23 [익명] 18/06/12 12903 0
394 기타오래된 웹하드 사이트 어디 있을까요? 2 Arsene 15/10/30 12889 0
1260 문화/예술일본 만화 그림체들은 왜 똑같은 것들이 많아요? 65 전기공학도 16/07/04 12884 0
3817 연애(추가)남자친구가 이혼사실을 숨긴 걸 알게되었어요. 조언구합니다. 71 [익명] 17/12/09 12879 0
8320 IT/컴퓨터KT F/B 로 돈이 출금되었습니다. 1 행복한사람 19/11/21 12869 0
4999 IT/컴퓨터태블릿을 PC 메인 모니터로 활용 가능한가요? 4 메존일각 18/07/08 12841 0
7519 연애아이유가 여자 연예인중에 최상급 외모인가요? 53 [익명] 19/07/23 12823 0
8730 의료/건강기도로 음식물 등이 넘어가면 어떻게 되나요? 5 보이차 20/02/04 12819 0
11550 기타독서 스탠드 색온도 주광색 주백색 중에 무엇이 좋을까요 17 다람쥐 21/05/17 12813 0
10989 연애남사친 많은 썸녀, 어떻게 해야할까요. 25 [익명] 21/02/08 12805 0
10548 가정/육아누전차단기 전원이 내려갔는데 안올라가네요 24 토비 20/12/03 12782 0
5341 기타결혼식 예복을 일반 기성복 정장으로 구입해도 상관 없을까요?? 16 [익명] 18/08/29 12769 0
5684 의료/건강술자리에서 술 안마실 수 있는 최고의 핑계?? 18 [익명] 18/10/18 12760 0
10416 게임스타1) 오버풀보다 12앞이 선겟 질럿 푸시에 강한 이유 13 알료사 20/11/08 12729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