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21/01/17 16:32:23
Name   Curic
Subject   방위(동서남북) 표현 중 동남아? 남동아?
방위 표현 중에
동남아, 동남아시아라는 표현이 좀 이상하다고 생각하는데요.

아시다시피, **아시아로 부르는 남아시아, 중앙아시아, 동아시아같은 표현들이 유럽을 중심으로 상대적으로 부르는 표현인데요.

동남아시아는 Southeast Asia입니다. 그러면 남동아시아가 맞는 표현아닌가요?

그리고 찾아보니 남동이라는 표현이 틀린 표현에 해당하지 않고, 남동이라는 표현을 쓴 경우(인천 남동구)도 더러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한국에서 쓰는 많은 어휘들이 일본어에서 별다른 고민없이, 문제가 있더라도 그대로 사용(일본어에서 동남아라고 하죠)하는 것을 몹시 위험하다고 생각하는 입장입니다.

그리고 더 나아가서 Eastsouth가 아니어야 하는 이유가, Southeast Asia는 South Asia(인도, 스리랑카 등)와의 연관성을 나타낸다고 생각되거든요. 이를테면 인도차이나 반도의 힌두교 문화 및 아부기다 문자 등을 보면 바로 이해가 되죠.

비슷한 개념으로 러시아 전체는 Eurasia 유라시아에 해당하죠. 아시아유럽 등으로 부르지 않죠. 북아시아도 아니죠. 북아시아는 러시아 중 시베리아 지역까지에 한정한 표현이며, 러시아를 지칭하지 못해서 잘 안 쓰는 표현이기도 하죠.



0


예전에 서양/동양도 그렇게 배웠던 것 같습니다.

미국의 중국사 관련이지만, "학문의 제국주의"가 고전인 것 같습니다. 이것도 구판은 절판되고 신판이 2013년에 출간되었군요.

https://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24267370

한편으로, 동서남북 방위 관련은 문화적인 차이가 큰 것 같습니다. 영미권은 북남동서순이고 우리나라는 동서남북순으로 익숙하죠.... 더 보기
예전에 서양/동양도 그렇게 배웠던 것 같습니다.

미국의 중국사 관련이지만, "학문의 제국주의"가 고전인 것 같습니다. 이것도 구판은 절판되고 신판이 2013년에 출간되었군요.

https://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24267370

한편으로, 동서남북 방위 관련은 문화적인 차이가 큰 것 같습니다. 영미권은 북남동서순이고 우리나라는 동서남북순으로 익숙하죠. 그래서, 영어 표현을 옮길 때는 남동->동남인 경우가 많았는데, 또 요즘은 이걸 그대로 남동식으로 옮기는 경우도 보이는 것 같습니다. 아무래도 영미권 문화가 익숙해진 면도 있겠죠.

좀 다른 얘기지만, 연관해서 화학에서도 화합물 명명법이 일본이나 독일어식이 아닌 요즘은 영어식 표기를 쓰도록 하고 있죠. 이것도 화학회에서 개정은 98년에 했지만, 국립국어원 등에까지 반영되지는 않았습니다.

나트륨이 익숙한 분들은 이제 소듐에 익숙해져야하고, 칼륨에 익숙한 분들은 포타슘에 익숙해져야 하죠.

http://new.kcsnet.or.kr/iupacname

[구석구석 과학사](10) 칼륨은 틀리고 포타슘으로 써야 맞다?
http://weekly.khan.co.kr/khnm.html?mode=view&artid=201707031705111&code=116
많은 어휘들이 영어를 비롯 서구권에서는 그 어원을 놓고 보면 바로 이해가 가능하고, 그 자체가 의미가 들어 맞습니다.

좀 다른 얘기지만 공화당, 공화제 할 때 공화라는 표현을 보면 절대 다수의 한국인들은 이해하기 힘듭니다. 중국의 공화시대에서 온 말이라는데 솔직히 이걸 이해하는 사람이 몇이나 될까요? 그렇게 적절한 표현이라고 생각도 안 되고요. 차라리 대중이라는 표현같은 것으로 바꿔야죠.

그리고 지리적으로도 동남아라면, 동아시아의 동남쪽이라고 보는 것 보다는, 남아시아의 남동쪽이 더 적합하죠.
제갈량의 동남풍...아 아닙니다
Cascade
이미 유럽 중심의 사관인데 거기서 동남아시아로 바꾸던 남동아시아로 바꾸던 무슨 차이가 있을까요

엄밀히 말해서는 조금 차이가 있긴 하지만 차라리 인도차이나 반도라고 부르는 게 맞겠죠

유럽 중심의 역사사관이 문제면 더 중립적인 단어를 쓰는 게 맞지 않나 생각합니다. 동남을 남동으로 바꾸는 것보다야 더 나은 것 같네요
저도 인도차이나라는 표현이 더 근사하다고 생각합니다.

이를테면 아랍권을 아시아로 묶어서 표현하는 것이 한국같이 아랍 영향이 거의 없던 곳에서 바라보기에는 이상한 것 처럼 보이는 것 처럼요.
소원의항구
그냥 그것도 그 문화권 특성이려니 생각하는게 편하지 않을까요?

Ladies and Gentlemen 이라 하면 사실 숙녀 신사 여러분이 맞지만 걍 신사 숙녀 여러분이라고 하잖아요.

이젠 신사와 숙녀라는 말 자체가 사라지고 있는 것처럼 기존 표현 바로잡는 시간보다 새로운 표현이 등장하는 게 더 빠를 것 같네요.
문화적 특성이라고 볼 수도 있겠지만, 오류라도 생각되기 때문이죠.

최근 '공매도'가 다시 또 이슈가 되는 경향인데, 공매도라는 기형적인 일본식 표현이 아니라 short같은 표현이면 이런 이슈 자체가 있을 수 없다고 생각하거든요.

신사 숙녀 혹은 숙녀 신사는 뭐 같은 의미(신사;숙녀 또는 숙녀;신사)지만, 동남아와 남동아는 다르다고 봐야 하지 않나요?

문장부호 ;으로 쓸 수 있는 표현과 ,로 쓸 수 있는 개념들은 분리해서 봐야 되지 않을까요?

이를테면 김치만두와 만두김치는 다르잖아요.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1381 문화/예술최고였던 자연 다큐멘터리 추천좀 해 주십시오 22 [익명] 21/04/18 4984 0
11361 문화/예술서해 쪽에 인상적인 카페 있으셨나요? 3 blu 21/04/15 4719 0
11330 문화/예술이노래랑 비슷한 분위기를 풍기는 노래가 있을까요? 7 DogSound-_-* 21/04/10 5064 0
11320 문화/예술밀리의 서재 질문 3 풉키풉키 21/04/09 4539 0
11219 문화/예술남의 일기장 좀 볼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12 불타는밀밭 21/03/21 4084 0
11197 문화/예술삼체 1부 질문입니다 6 업무일지 21/03/17 4215 0
11156 문화/예술죽을 때까지 한 곡만 들어야 한다면 29 작두 21/03/09 6216 1
11153 문화/예술유튜브 오디오용 콘텐츠 뭐있을까요? 팟케스트처럼? 7 [익명] 21/03/08 4170 0
11104 문화/예술먼 미래(5만년 이상)을 다룬 사람이 있나요? 19 Curic 21/02/26 4581 0
11101 문화/예술왕좌의 게임은 어디까지 봐야 제일 재미있나요? 24 데자와왕 21/02/26 7980 0
11084 문화/예술롹잘알 선생님들 봐주세영 4 횡빈 21/02/22 4602 0
11027 문화/예술신뢰성 있는 방문 손잡이를 찾습니다 6 행운 21/02/14 4577 0
10968 문화/예술드라마 퀸스갬빗 보신 분께 질문!! 18 다람쥐 21/02/05 6800 0
10947 문화/예술노래 추천 부탁 드립니다!! 3 원스 21/02/02 3971 0
10937 문화/예술영화를 찾습니다(시간여행 설명) 4 리페이스 21/02/01 4555 0
10927 문화/예술일본음악 듣기 좋은 음원 사이트 있을까요? 16 Fedor 21/01/29 14452 0
10916 문화/예술실크스크린의 감광액이 너무 묽어요 15 짹짹 21/01/28 4664 0
10872 문화/예술이런 인물로는 누가 있을까요? (책이나 영화의 인물 중에서) 20 [익명] 21/01/21 3797 0
10848 문화/예술방위(동서남북) 표현 중 동남아? 남동아? 7 Curic 21/01/17 7503 0
10832 문화/예술유명한 영어 노래 제목을 찾고 있습니다. 4 cotton 21/01/15 4670 0
10827 문화/예술중국어(보통화) 락음악 가수 추천좀 부탁드려요 [익명] 21/01/13 3381 0
10810 문화/예술동인도회사에 대해 잘 다룬 번역서나 원서를 추천해 주세요. 2 호미밭의 파스꾼 21/01/11 3483 0
10809 문화/예술여러 문화예술 작품 추천 부탁드립니다! 11 Jazz 21/01/11 3934 0
10806 문화/예술아카데미상 후보 발표 이번에 왜 늦게 하나요? 2 알료사 21/01/11 4106 0
10783 문화/예술이 소설 제목 아시는 분 계실까요 7 곰곰이 21/01/07 4724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