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 21/01/17 16:32:23 |
Name | Curic |
Subject | 방위(동서남북) 표현 중 동남아? 남동아? |
방위 표현 중에 동남아, 동남아시아라는 표현이 좀 이상하다고 생각하는데요. 아시다시피, **아시아로 부르는 남아시아, 중앙아시아, 동아시아같은 표현들이 유럽을 중심으로 상대적으로 부르는 표현인데요. 동남아시아는 Southeast Asia입니다. 그러면 남동아시아가 맞는 표현아닌가요? 그리고 찾아보니 남동이라는 표현이 틀린 표현에 해당하지 않고, 남동이라는 표현을 쓴 경우(인천 남동구)도 더러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한국에서 쓰는 많은 어휘들이 일본어에서 별다른 고민없이, 문제가 있더라도 그대로 사용(일본어에서 동남아라고 하죠)하는 것을 몹시 위험하다고 생각하는 입장입니다. 그리고 더 나아가서 Eastsouth가 아니어야 하는 이유가, Southeast Asia는 South Asia(인도, 스리랑카 등)와의 연관성을 나타낸다고 생각되거든요. 이를테면 인도차이나 반도의 힌두교 문화 및 아부기다 문자 등을 보면 바로 이해가 되죠. 비슷한 개념으로 러시아 전체는 Eurasia 유라시아에 해당하죠. 아시아유럽 등으로 부르지 않죠. 북아시아도 아니죠. 북아시아는 러시아 중 시베리아 지역까지에 한정한 표현이며, 러시아를 지칭하지 못해서 잘 안 쓰는 표현이기도 하죠. 0
|
예전에 서양/동양도 그렇게 배웠던 것 같습니다.
미국의 중국사 관련이지만, "학문의 제국주의"가 고전인 것 같습니다. 이것도 구판은 절판되고 신판이 2013년에 출간되었군요.
https://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24267370
한편으로, 동서남북 방위 관련은 문화적인 차이가 큰 것 같습니다. 영미권은 북남동서순이고 우리나라는 동서남북순으로 익숙하죠.... 더 보기
미국의 중국사 관련이지만, "학문의 제국주의"가 고전인 것 같습니다. 이것도 구판은 절판되고 신판이 2013년에 출간되었군요.
https://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24267370
한편으로, 동서남북 방위 관련은 문화적인 차이가 큰 것 같습니다. 영미권은 북남동서순이고 우리나라는 동서남북순으로 익숙하죠.... 더 보기
예전에 서양/동양도 그렇게 배웠던 것 같습니다.
미국의 중국사 관련이지만, "학문의 제국주의"가 고전인 것 같습니다. 이것도 구판은 절판되고 신판이 2013년에 출간되었군요.
https://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24267370
한편으로, 동서남북 방위 관련은 문화적인 차이가 큰 것 같습니다. 영미권은 북남동서순이고 우리나라는 동서남북순으로 익숙하죠. 그래서, 영어 표현을 옮길 때는 남동->동남인 경우가 많았는데, 또 요즘은 이걸 그대로 남동식으로 옮기는 경우도 보이는 것 같습니다. 아무래도 영미권 문화가 익숙해진 면도 있겠죠.
좀 다른 얘기지만, 연관해서 화학에서도 화합물 명명법이 일본이나 독일어식이 아닌 요즘은 영어식 표기를 쓰도록 하고 있죠. 이것도 화학회에서 개정은 98년에 했지만, 국립국어원 등에까지 반영되지는 않았습니다.
나트륨이 익숙한 분들은 이제 소듐에 익숙해져야하고, 칼륨에 익숙한 분들은 포타슘에 익숙해져야 하죠.
http://new.kcsnet.or.kr/iupacname
[구석구석 과학사](10) 칼륨은 틀리고 포타슘으로 써야 맞다?
http://weekly.khan.co.kr/khnm.html?mode=view&artid=201707031705111&code=116
미국의 중국사 관련이지만, "학문의 제국주의"가 고전인 것 같습니다. 이것도 구판은 절판되고 신판이 2013년에 출간되었군요.
https://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24267370
한편으로, 동서남북 방위 관련은 문화적인 차이가 큰 것 같습니다. 영미권은 북남동서순이고 우리나라는 동서남북순으로 익숙하죠. 그래서, 영어 표현을 옮길 때는 남동->동남인 경우가 많았는데, 또 요즘은 이걸 그대로 남동식으로 옮기는 경우도 보이는 것 같습니다. 아무래도 영미권 문화가 익숙해진 면도 있겠죠.
좀 다른 얘기지만, 연관해서 화학에서도 화합물 명명법이 일본이나 독일어식이 아닌 요즘은 영어식 표기를 쓰도록 하고 있죠. 이것도 화학회에서 개정은 98년에 했지만, 국립국어원 등에까지 반영되지는 않았습니다.
나트륨이 익숙한 분들은 이제 소듐에 익숙해져야하고, 칼륨에 익숙한 분들은 포타슘에 익숙해져야 하죠.
http://new.kcsnet.or.kr/iupacname
[구석구석 과학사](10) 칼륨은 틀리고 포타슘으로 써야 맞다?
http://weekly.khan.co.kr/khnm.html?mode=view&artid=201707031705111&code=116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