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 21/01/19 21:14:17 |
Name | Curic |
Subject | 아이리버와 스카이는 왜 망했을까요? |
문득 완벽하게 성공한 기업이 어떻게 완벽하게 망할 수 있는 지 의문이 들었습니다. 아이리버와 스카이 정도면, 기술력/상품성/마케팅/브랜드 가치 등 애플 부럽지 않은 경이로운 수준의 탄탄한 기업이라고 생각했거든요. 요즘 시대처럼 훨씬 작은 규모의 여러 스타트업들도 나름 대로의 성공을 꾸준히 이어나가는 사례에 비해서, 아이리버와 스카이는 지나치다 싶을 정도로 깨끗하게 망했습니다. 무슨 이유일까요? 제 기억으로는 한창 때의 아이리버의 오프라인 매장은 요즘 애플 오프라인 매장에서 느끼는 그런 느낌과 유사했습니다. 아이리버 오프라인 매장에는 항상 무료 음료수와 최신 아이리버 제품이 여러 대 있었기에 즐거운 기억이자 몹시 특별한 기억(당시에는 이런 느낌의 매장은 한국에는 유일하지 않았나 싶습니다.)으로 남아있죠. 추억보정인지는 몰라도 제가 생각하는 이러한 기기를 만드는 기업 중에서 아이리버와 스카이에 비해, 삼성, LG는 뭐랄까 아저씨 감성같아서 비교하는 것이 아이리버와 스카이에 실례같았던 수준이었거든요. 그리고 스카이와 달리 아이리버의 경우, 일본, 북미, 중국, 유럽 등에서도 활발하게 진출한 것으로 보여지는데요. 제 기억으로는 좀 허접하다 싶은 상품들을 내놓으면서 망해갔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아이리버의 경우 E100은 그냥 대량 생산한 증정품처럼 느껴졌습니다. 스카이는 베가 이전 제품과 베가 첫 제품 까지도 괜찮았다고 생각하지만, 베가 이후 제품들이 네이밍이나 컨셉이 누구한테 팔려고하는 건가?싶었습니다. 애플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전략과 달리 너무 잡다한 라인업이 많아, 정말 집중해야 할 플래그십과 신사업을 잊었기 때문일까요? 당시 아이리버와 스카이의 전성기를 만들었던 사람들은 대체 왜 이후의 시대에는 몰락했을까요? 생각해보면 오늘날 2021년의 수많은 테크 기업들과 그와 유사한 기업들은 한 순간에 아이리버와 스카이 같은 길을 가게 될 수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그리고 이 두 기업의 한창 때와 한창 때 이후의 지지부진하다고 생각되는 모습이 어쩐지 겹쳐지거든요. 일본의 10대들은 소니를 잘 모른다던데, 한국의 10대들이 삼성과 애플 등을 모르게되는 날이 온다는 게 상상이 잘 안되네요. 그리고 너무 멀리 본 미래일 수도 있지만, 지금의 논리적으로 설명할 수 없는 테크주들은 분명 폭락하기 시작하면 닷컴버블은 비교할 수 없을 정도의 더 거대한 역사를 만들 것이라는 생각이 들거든요. 0
|
아이리버 및 전반적인 mp3 산업은 아이팟과 스마트폰으로 인해 무너졌고
스카이는 피처폰이 가고 스마트폰이 대세일 때 기술력 등의 이유로 그 궤도에 오르지 못했던것 같습니다.
스카이는 피처폰이 가고 스마트폰이 대세일 때 기술력 등의 이유로 그 궤도에 오르지 못했던것 같습니다.
스카이는 두가지로 볼수 있을거 같습니다.
1. 결국 스카이의 독창성은 외형. 하지만 스마트폰은 거대화면을 어떻게 보여주고 어떻게 작동시킬지가 더 중요함.
(비슷한 예 : 엘지 초콜릿 시크릿폰 등)
2. 스카이의 독창성은 펜텍의 스카이 인수 이후 약화됐다.
2가 시기상 애매한데, 개인적으로 저시기 전후로 이미지가 마니 깎인듯 합니다.
그리고 앞서 말씀드린 기술력 측면도 있구요.
1. 결국 스카이의 독창성은 외형. 하지만 스마트폰은 거대화면을 어떻게 보여주고 어떻게 작동시킬지가 더 중요함.
(비슷한 예 : 엘지 초콜릿 시크릿폰 등)
2. 스카이의 독창성은 펜텍의 스카이 인수 이후 약화됐다.
2가 시기상 애매한데, 개인적으로 저시기 전후로 이미지가 마니 깎인듯 합니다.
그리고 앞서 말씀드린 기술력 측면도 있구요.
당시 아이리버 컨셉 제품이 엄청났던 것으로 기억납니다. 언론에서는 와이브로가 되면서 카트라이더가 탑재된 그런걸 만든다고 뿌렸던 것 같네요. 물론 그런게 출시는 안 되었죠. 스트리밍도 뭔가 있었던거 같은데 별 특징이 없어서 아무도 안 썼던 것 같습니다. 애플처럼 전용 소프트웨어를 써야하는 그런 필요성도 없었고요.
당시 일본 피처폰들이 마치 몇 세대를 뛰어 넘은 듯한 제품들이 많았던 것으로 기억나네요. 한국에도 LG로 일본 휴대폰이 뭔가 들어왔던 거 같은데. 그렇게 보면 HTC의 몰락도 너무 급격했죠. HTC야 말로 기술면에서 애플과 겨룰만했는데. HTC같은 경우는 테구라라고 불렸던 테그라 칩셋 채용과 울트라픽셀이라는 4백만 화소짜리 카메라가 다 말아먹은 것 같긴 하네요.
당시 일본 피처폰들이 마치 몇 세대를 뛰어 넘은 듯한 제품들이 많았던 것으로 기억나네요. 한국에도 LG로 일본 휴대폰이 뭔가 들어왔던 거 같은데. 그렇게 보면 HTC의 몰락도 너무 급격했죠. HTC야 말로 기술면에서 애플과 겨룰만했는데. HTC같은 경우는 테구라라고 불렸던 테그라 칩셋 채용과 울트라픽셀이라는 4백만 화소짜리 카메라가 다 말아먹은 것 같긴 하네요.
아이리버는 확실히 압니다. 사운을 걸고 만들었다던 H10이 천하의 개 쓰레기였거든요. 거기서 부터 몰락이 시작되었습니다.
H10 만든다고 몇백억을 부었다가 망해서 자금난이 시작됐고 그뒤로 내놓는거 마다 줄줄이 망해서 그대로 꼴아박았습니다. 그나마 딕플이 산소호흡기는 달아줬지만 스마트폰 나온 뒤의 전자사전의 미래란 뻔하디 뻔해서....
H10 만든다고 몇백억을 부었다가 망해서 자금난이 시작됐고 그뒤로 내놓는거 마다 줄줄이 망해서 그대로 꼴아박았습니다. 그나마 딕플이 산소호흡기는 달아줬지만 스마트폰 나온 뒤의 전자사전의 미래란 뻔하디 뻔해서....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