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 21/02/01 17:44:14 |
Name | 영 |
Subject | 영어공부) 영어일기를 쓸 때 미리 한글로 글을 다 써놓고 번역하는 것이 좋나요 아님 생각 자체를 영어로 하는 것이 좋나요? |
자기 계발 목적의 영어 공부로써 500자 정도의 영어 일기를 매일 쓰고 있습니다. 그날 하루 있었던 일을 가볍게 쓰기도 하고 어떤 주제에 대한 단상을 적기도 합니다. 어디선가 한국어로 생각한 후에 영어로 번역하는 과정을 거치지 말아야 한다는 말을 들은 기억이 있어서 지금은 일기를 쓸 때 바로바로 영어로 떠올려서 쓰고 있거든요. 다만 지금 <미국식 영작문 수업>이라는 책으로 영작문을 공부하기 시작했는데, 영어로 '잘' 쓰기 위해서는 애초에 글의 재료인 생각도 정제된 상태여야 하겠더라고요. 근데 문제는 제 영어 실력이...영어를 받아들이는 건 자유롭지만(읽고 듣기) 영어로 만들어내는 것(생각하고 말하기)엔 불편함이 많습니다. output의 영어가 토막난 상태라 영어로 생각하는 것 자체도 피상적인 낮은 수준에서 그칩니다. 이런 상황에서 제가 다음 두개 중 어느 걸 목표로 둬야 제 영어 output이 더 효과적으로 성장할 수 있을지 여쭙고 싶습니다. [영어로 생각하는 것에 능숙해지는 게 더 중요하다! 허접할지라도 영어로 바로 떠올리고 적어내는 걸 계속 훈련하라 vs 수준 있는 영어를 쓰는 연습을 해야 실력이 는다! 한국어로 생각하고 한글로 정리해서 그걸 수준있는 영문으로 번역하라] 감사합니다. 0
이 게시판에 등록된 영님의 최근 게시물
|
말하기 및 작문에 자신이 없다면 우선 한글로 작문을 한 후 영어로 번역하는 것부터 시작하시는 것이 좋을 듯 합니다.
그러면서 점점 실력을 늘려가서 (반복숙달 및 피드백을 통한 개선은 필수)영어로 바로 떠올리고 적어내는 퀄리티를 높이는 것을 목표로 잡으시는게 좋아 보여요.
(+)영어 인풋은 되시는 상태시니까, '아 내가 이런말을 하고 싶으면 영어로 이렇게 하면 되는구나' 하는 데이터를 많이 쌓으시는 방향으로 가시면 좋을 듯 합니다.
그러면서 점점 실력을 늘려가서 (반복숙달 및 피드백을 통한 개선은 필수)영어로 바로 떠올리고 적어내는 퀄리티를 높이는 것을 목표로 잡으시는게 좋아 보여요.
(+)영어 인풋은 되시는 상태시니까, '아 내가 이런말을 하고 싶으면 영어로 이렇게 하면 되는구나' 하는 데이터를 많이 쌓으시는 방향으로 가시면 좋을 듯 합니다.
한국어 처음 배울 때랑 똑같이 하시면 됩니다. 초등학생 때 짧은글짓기부터 시작하듯이요. 즉 (1) 원어(영어)로 인풋을 꾸준히 받으면서 (2) 원어(영어)로 글을 쓰시는 것이 좋습니다. 글의 길이는 자연스레 길어질 것입니다.
목적이 무엇이냐에 따라 다를것 같아요. 회화가 목적이시라면 영어로 생각하는것을 연습하는것이 좋을거같고, 발표를 잘 하고 싶어 한다거나 전문적으로 영어를 쓰고 싶으시다면 한글로 정제한걸 영어로 옮기는 연습이 적합하지않을까요ㅎㅎ
학습자 수준이나 학습목표에 따라 다르죠.
자신의 작문수준이 기초적이다 싶으면 한글로 내용 써보고 영어로 번역하는 것부터 시작하세요.
외국어도 결국에는 언어다보니 본인이 무슨 말을 하는지 정도는 점검하는게 필요합니다.
기본스킬은 되는것 같다 싶으면 일상적인 내용에 관한 일기면 바로 영어로 작문 시도해보시고 검토해 보세요.
일기기는 한데 좀 전문적인 내용이 포함되었거나 그런 위주의 글을 쓰려는 목적이라면 한국어로 틀 짠 뒤에 영어로 번역하시구요.
작문의 영역에서는 외국인이 원어민처럼 바로 작문하려고 시도하는것 자체가... 더 보기
자신의 작문수준이 기초적이다 싶으면 한글로 내용 써보고 영어로 번역하는 것부터 시작하세요.
외국어도 결국에는 언어다보니 본인이 무슨 말을 하는지 정도는 점검하는게 필요합니다.
기본스킬은 되는것 같다 싶으면 일상적인 내용에 관한 일기면 바로 영어로 작문 시도해보시고 검토해 보세요.
일기기는 한데 좀 전문적인 내용이 포함되었거나 그런 위주의 글을 쓰려는 목적이라면 한국어로 틀 짠 뒤에 영어로 번역하시구요.
작문의 영역에서는 외국인이 원어민처럼 바로 작문하려고 시도하는것 자체가... 더 보기
학습자 수준이나 학습목표에 따라 다르죠.
자신의 작문수준이 기초적이다 싶으면 한글로 내용 써보고 영어로 번역하는 것부터 시작하세요.
외국어도 결국에는 언어다보니 본인이 무슨 말을 하는지 정도는 점검하는게 필요합니다.
기본스킬은 되는것 같다 싶으면 일상적인 내용에 관한 일기면 바로 영어로 작문 시도해보시고 검토해 보세요.
일기기는 한데 좀 전문적인 내용이 포함되었거나 그런 위주의 글을 쓰려는 목적이라면 한국어로 틀 짠 뒤에 영어로 번역하시구요.
작문의 영역에서는 외국인이 원어민처럼 바로 작문하려고 시도하는것 자체가 엄청난 노력을 요하는 과정입니다.
하물며 원어민들도 교육수준에 따라 작문력 개판인 경우도 있는걸요.
자신의 작문수준이 기초적이다 싶으면 한글로 내용 써보고 영어로 번역하는 것부터 시작하세요.
외국어도 결국에는 언어다보니 본인이 무슨 말을 하는지 정도는 점검하는게 필요합니다.
기본스킬은 되는것 같다 싶으면 일상적인 내용에 관한 일기면 바로 영어로 작문 시도해보시고 검토해 보세요.
일기기는 한데 좀 전문적인 내용이 포함되었거나 그런 위주의 글을 쓰려는 목적이라면 한국어로 틀 짠 뒤에 영어로 번역하시구요.
작문의 영역에서는 외국인이 원어민처럼 바로 작문하려고 시도하는것 자체가 엄청난 노력을 요하는 과정입니다.
하물며 원어민들도 교육수준에 따라 작문력 개판인 경우도 있는걸요.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