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 21/02/26 18:54:30 |
Name | Curic |
Subject | 먼 미래(5만년 이상)을 다룬 사람이 있나요? |
주로 미래에 대해서 다룰 때에는 수년에서 수십년, 정말 길어도 백년 정도 이후를 다루는 경우는 몹시 드물어 보입니다. 물론, 현실적으로 무의미하다고 생각하여 그런 개념을 다루지 않는다고 편하고 생각하는 것이 일반적이겠습니다. 그러나 반대로 역사 이전 시대를 다루는 경우 과거 5~10만년도 어느 정도 과학적인 연구가 진행되었다는 점을 미루어 볼 때, 먼 미래의 5~10만년 정도 이후를 과학적으로 다루는 경우가 있지 않을까 궁금해졌습니다. 또, 인류의 문화에서 굉장히 긴 그러니까 잘 변하지 않는 것의 특성들(의사소통, 문자, 그림, 계산, 주거, 요리 등)은 뚜렷하다는 특성을 활용하면 5~10만년을 계산하는 것도 불가능하지 않을 것 같습니다. 이를테면 아마존의 제프 베조스의 경우, 잘 변하지 않는 것의 특성들을 활용해서 늘 수년 후의 모습을 구체적으로 계획하고 실현하고 있는 것이 여러 인터뷰 등에 의해 검증되었죠. 다시 본래 주제로 돌아와서, 먼 미래(5만년 이상)에 대해 과학적으로 다룬 전문가 내지 연구 등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0
|
보통 그정도는 인류가 대충 망한 뒤(....) 을 상정하는거 같습니다. 인류 문명이 존속된다는 가정하해 5-10만년 뒤를 다룬건.. 잘 못 본듯요.
갑자기 생각난 겁니다만...... Warhammer 40K라면 어떨까요? 서기 400세기(.....)를 다루는 보드게임(?)입니다.
앞서 말씀하신 변하지 않는 특성들의 예제들도 계속 변해왔고 앞으로 상상 이상으로 변화할 듯 하네요.
당장 언어만 하더라도 3~400년전 책만 읽어도 해독 없이 보기 힘든게 많았습니다.
천문학은 시간과 빛의 속도를 기준으로 연구를 하고 있으니, 그런 개념에서 자유로울 것 같습니다. 학문적 흥미를 그런 관점에서 찾는 분도 많고요.
마야 문명도 실제 기록된 5천여년이 뿐만아니라 수만년 뒤의 여러 행성들의 궤도를 예측했고, 얼추 맞았으니까요.
당장 언어만 하더라도 3~400년전 책만 읽어도 해독 없이 보기 힘든게 많았습니다.
천문학은 시간과 빛의 속도를 기준으로 연구를 하고 있으니, 그런 개념에서 자유로울 것 같습니다. 학문적 흥미를 그런 관점에서 찾는 분도 많고요.
마야 문명도 실제 기록된 5천여년이 뿐만아니라 수만년 뒤의 여러 행성들의 궤도를 예측했고, 얼추 맞았으니까요.
https://namu.wiki/w/%EB%AF%B8%EB%9E%98%20%EB%8F%99%EB%AC%BC%20%EB%8C%80%ED%83%90%ED%97%98 요런 거도 있고요..
얼마 전에 나무위키서 재밌게 봤던 건데, 인류의 미래와 진화에 대해서 수억년?십억년 이상...에 걸쳐서 다룬 소설이 있었어요. 물론 소설이니 과학적인 근거는 없이 상상으로 쓰여진 거겠지만요.
얼마 전에 나무위키서 재밌게 봤던 건데, 인류의 미래와 진화에 대해서 수억년?십억년 이상...에 걸쳐서 다룬 소설이 있었어요. 물론 소설이니 과학적인 근거는 없이 상상으로 쓰여진 거겠지만요.
<미래 속으로>라는 책(https://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261709)에 한 장이 인류의 먼 미래를 논하는 「먼 미래」 장인데요. 인류의 생존을 위협할 자연적 요소로는 조만간 다가올(1~2만년 뒤) 빙하기, 언젠가 다가올 유성 충돌(평균 몇천만년 뒤), 태양 팽창(10억 년 뒤) 등이 있겠는데 무엇보다 빙하기 위기를 넘길 수 있을지가 관건이겠네요. 이 책에서... 더 보기
<미래 속으로>라는 책(https://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261709)에 한 장이 인류의 먼 미래를 논하는 「먼 미래」 장인데요. 인류의 생존을 위협할 자연적 요소로는 조만간 다가올(1~2만년 뒤) 빙하기, 언젠가 다가올 유성 충돌(평균 몇천만년 뒤), 태양 팽창(10억 년 뒤) 등이 있겠는데 무엇보다 빙하기 위기를 넘길 수 있을지가 관건이겠네요. 이 책에서는 세 가지 유형의 미래를 그리는데요, 유형 1은 첨단 기술이 지속적으로 발전해서 인류가 우주로 진출하여 화성에도 거주하고(2200년) 그에 따라 인간 종이 분화하고 지구 빙하기 위기를 넘기고 유전자 조작과 우주 진출로 인류가 은하계로 진출하여 서로 다른 인간종으로 전체 은하계에 거주하는(1백만년) 미래, 유형2는 전염병 확산으로(2050년) 도시 문명이 몰락하고 인구가 감소한 가운데 빙하기를 맞아(1만년) 인류는 유목민이 되어 살다가 극한기에 멸종하는 미래, 유형 3은 기후변화, 해수면상승, 동식물멸종 등 자연재해로 인구가 1천억명을 찍고 급격히 감소하여(2200~2300년) 1백만 명이 되다가(3000년) 1만년 쯤 서서히 멸종하는 미래를 그리네요.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