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21/03/07 17:28:02
Name   몸맘
File #1   b043a429_7561_419d_81ed_0c8e0546f9ab.jpg (13.0 KB), Download : 14
Subject   쓴맛 나지 않는 소금 추천 부탁드립니다




요린이가 소금의 쓴맛에 점점 심각성을 느낍니다. 인터넷 뒤져 보니 간수가 빠지지 않은 천일염을 쓰면 그런다고 하더군요. 볶아서 쓰면 괜찮다던데 매번 그러기는 힘들 것 같으니, 아예 볶은 소금을 사는 게 깔끔한 해결인가요? 히말라야 핑크소금으로 갈까요? 쓰지 않은 소금을 어떻게 골라야 할까요. 브랜드명이라도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0


음식/요리 카테고리가 읎넹.....
레이첼 로즌
알못이지만 천일염이 문제라면 록솔트를 쓰심이..?
1
록솔트가 암반소금을 말씀하시는 거죠? 히말라야 핑크소금도 암반소금이더라고요. 그런데 소금에도 짠맛 외에 다양한 맛이 있을 텐데 한식을 주로 하는 저에게 어울리는 건가 잘 모르겠어서요. 어제는 만두국에 트러플 소금을 넣어보기도 했는데 약간 미묘하게 차이가 있는 것 같기도 하고... 갈 길 잃은 알못입니다 ㅠㅠ
레이첼 로즌
저는 정통주의자랑은 거리가 먼 편이라.. 저라면 한식에 맞다 안맞다를 떠나서 내 입맛에 맞는지가 더 중요하게 생각할 것 같네요.
1
네. 제 입맛을 중심에 잡고 고려하겠습니다!
말해뭐해
맛소금 짱짱맨
1
맛 내는 법을 배우고 싶은 욕심도 있어서, 가급적이면 맛소금 없이 해보려고요. ㅎㅎ
맛소금!
1
ㅎㅎ 맛소금없이 맛 내는 법 배워보고 싶어서요.
한국 소금기준으로 한주소금 추천드립니다. 한국산 정제소금이죠.
소금에서의 쓴맛과 잡맛이 분순물이 섞인것인데 정제되지 않은 일반적으로 접하는 암염, 천일염에서 분명히 인식됩니다.

천일염을 몆년간 간수를 빼서 사용한다는 것도 분순물을 빼기 위한 과정인데, 기술이 된다면 처음부터 정제하면되지 그럴필요가 없죠. 참고로 맛에 신경쓰는 제법 많은 한식당들도 이 소금을 쓴다고 전해들었습니다.
5
이름은 들어봤어요! 한주소금 검색하니 여러 글들이 나오네요. 읽어보고 고려하고 판단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이걸 권할까 말까 망설였는데 소금에 대해 시간과 돈을 좀 더 투자할 생각이 있으시다면, 여기의 소금을 한번 경험해보는 것도 괜찮습니다. 자연스런 감칠맛이 좋아 고오급 맛소금 같다고 할까요. 여기의 차까지 권하는 것은 아닙니다.

저는 가격이 있으니 주로 구운 버섯, 야채, 소고기를 먹을 때 사용합니다. 요즈음 가장 많이 시도하는 것은 버섯 중 송화버섯을 구우며 조금 뿌려 굽고나서 접시에 옮긴 후 그날 기분에따라 올리브오일을 뿌리기도 합니다. 야채는 굽기만 해도 맛이 좋은것들을 찾기 쉽지 않지만 버섯은 품종을 선택하면 굽기만 해도 즐거운 녀석이 있더라고요.

제가 아는 분은 스콘을 구울 때 이 소... 더 보기
이걸 권할까 말까 망설였는데 소금에 대해 시간과 돈을 좀 더 투자할 생각이 있으시다면, 여기의 소금을 한번 경험해보는 것도 괜찮습니다. 자연스런 감칠맛이 좋아 고오급 맛소금 같다고 할까요. 여기의 차까지 권하는 것은 아닙니다.

저는 가격이 있으니 주로 구운 버섯, 야채, 소고기를 먹을 때 사용합니다. 요즈음 가장 많이 시도하는 것은 버섯 중 송화버섯을 구우며 조금 뿌려 굽고나서 접시에 옮긴 후 그날 기분에따라 올리브오일을 뿌리기도 합니다. 야채는 굽기만 해도 맛이 좋은것들을 찾기 쉽지 않지만 버섯은 품종을 선택하면 굽기만 해도 즐거운 녀석이 있더라고요.

제가 아는 분은 스콘을 구울 때 이 소금을 반죽위에 뿌려 강조점을 주는 경우도 있었어요.

http://www.chagage.co.kr/shop/shopdetail.html?branduid=1429271&xcode=005&mcode=000&scode=&type=O&sort=order&cur_code=005&GfDT=bm9%2FW18%3D
1
ㄷ ㄷ ㄷ... 비. 기. 입. 수.
소개글이 범상치 않습니다..
아케르나르
저도 글 보자마자 한주소금 생각났네요. 천일염 아니고 동해 바닷물 정제해서 파는 거에요.
천일염이 좋다지면 저는 누련 빛깔나는 거부터 싫어서.... 천일염의 불순물이 몸에 좋은 거라지만 바다가 오염된 탓에 그런 말은 잘 못 믿겠더군요.
한주소금 4킬로그램짜리였나 그거 두 개 사다 써봤는데 얼핏 보면 설탕이랑 차이가 없을 정도로 고운 가루로 나옵니다. 불순물이 거의 없어서 조금만 넣어도 짜고요.
1
감사합니다. 사서 맛보려고요.
쓴맛이 왜 문제이고 심각성을 느껴야하는지부터 설명해주셨으면 좋았을텐데..
1
아하.
국에 소금을 넣으면 국에서 쓴맛이 나요. 콩나물 무침 같은 데에 넣어도 쓰고요. 처음에는 소금 때문인지도 몰랐다가 젓갈이나 간장으로 간을 하면 안 나더라고요. 그래도 모든 음식에 소금을 안 넣고 먹을 수는 없으니 대충 해먹다가, 원인을 아니, 점점 쓴맛이 많이 느껴져서 맛을 많이 떨어뜨린다는 판단에 소금을 아예 바꾸자는 생각이 들었어요.
요리 잘하시는 분들은 소금 가려서 쓴다는 얘기를 듣고, 요린이면 당연히 거치는 과정인가 보다 싶어 설명이 짧았네요.

요거 씁니다
1
청.정.원.구.운.소.금. 리스트에 올리겠습니다
당연히 아시겠지만 국간을 할때는 새우젓도 괜찮은것 같읍니다.
1
한때 너무 빠졌더랬죠... 후우....
왜 맛 내는데 맛소금을 안쓰시는지 여쭤봐도 될까요?

참고로 히말라야 핑크솔트가 단맛이 더 난다는 평이 있는데 쓴맛도 납니다 ㅜ
차라리 정제염인 꽃소금 추천드려요

+ 비싸지만 '자염'이라는 전통소금이 쓴맛이 없대요
1
저는 요리할 때 개별 재료의 맛을 알아가는 즐거움이 있어요. 요리를 안 할 때는 파, 양파, 마늘 같은 게 무슨 역할을 하는지 모르다가 국에 파를 넣었을 때 솟는 풍부한 단맛, 마늘과 함께 퍼지는 깊은맛 등이 신기해서 더 알고 싶어 하죠. 또 개별 재료의 맛들이 조리로 모여 새로운 하모니를 낼 때도 재밌어요. 물론 초보 수준에서요.... 그런데 맛소금을 포함한 조미료를 넣으면 어느 정도 맛은 보장되니, 어느 재료가 부족하거나 과해서 맛이 덜 난다는 것을 알 수 있는 기회를 놓쳐요. 맛을 알고 싶은 입장에서 이건 안타깝잖아요. ㅎㅎ ... 더 보기
저는 요리할 때 개별 재료의 맛을 알아가는 즐거움이 있어요. 요리를 안 할 때는 파, 양파, 마늘 같은 게 무슨 역할을 하는지 모르다가 국에 파를 넣었을 때 솟는 풍부한 단맛, 마늘과 함께 퍼지는 깊은맛 등이 신기해서 더 알고 싶어 하죠. 또 개별 재료의 맛들이 조리로 모여 새로운 하모니를 낼 때도 재밌어요. 물론 초보 수준에서요.... 그런데 맛소금을 포함한 조미료를 넣으면 어느 정도 맛은 보장되니, 어느 재료가 부족하거나 과해서 맛이 덜 난다는 것을 알 수 있는 기회를 놓쳐요. 맛을 알고 싶은 입장에서 이건 안타깝잖아요. ㅎㅎ
일상적으로 많이 접하는 음식 재료들이 어떤 맛을 내는지 알게 된다면 맛소금에서 자유로워지려나 싶지만, 전 아직 버섯이나 두부 등의 맛을 잘 모르겠더라고요. 혀가 좀 더 민감해져서 이런 재료들의 맛도 잡을 수 있으면 좋겠어요.(소금 역시 아직 맛을 모르니 소금 맛도 구분하면 좋겠어요.)

꽃소금은 써 본 것 같은데, 그때 쓴맛을 느꼈나 모르겠네요. 처음에는 쓴맛이 났다 안 났다 했을 땐 소금 때문인지도 몰라 일일히 확인한 게 아니어서..... 이제부터 확인해 보려고요 ㅠ 자염 알아보겠습니다. 말씀 감사합니다.
쓴맛은 마그네슘, 칼슘 같은 무기질에서 나오는데요 그래서 여러 무기질이 섞여있는 암염 종류라면 쓴맛이 날 수 밖에 없습니다
정제염인 꽃소금은 대부분이 염화나트륨이어서 적은 양으로도 짠맛이 잘 납니다 (짠맛은 염화 이온에서 나와요!) 아마 쓴맛도 다른 소금에 비하면 덜 할거에요

맛소금은 이 정제염에 msg를 첨가한 녀석인데 이 글루탐산나트륨은 감칠맛을 내는 녀석입니다.

소금도 다른 재료와 똑같이 맛을 내는 도구일 뿐입니다. 무조건 맛소금을 피하시지 마시고 요리하실 때 같이 연구해보시면서 잘 쓰시면 더 맛있을 거에요 ㅎㅎ ... 더 보기
쓴맛은 마그네슘, 칼슘 같은 무기질에서 나오는데요 그래서 여러 무기질이 섞여있는 암염 종류라면 쓴맛이 날 수 밖에 없습니다
정제염인 꽃소금은 대부분이 염화나트륨이어서 적은 양으로도 짠맛이 잘 납니다 (짠맛은 염화 이온에서 나와요!) 아마 쓴맛도 다른 소금에 비하면 덜 할거에요

맛소금은 이 정제염에 msg를 첨가한 녀석인데 이 글루탐산나트륨은 감칠맛을 내는 녀석입니다.

소금도 다른 재료와 똑같이 맛을 내는 도구일 뿐입니다. 무조건 맛소금을 피하시지 마시고 요리하실 때 같이 연구해보시면서 잘 쓰시면 더 맛있을 거에요 ㅎㅎ

예를 들어 국에 간을 하실 땐 저는 사태국 처럼 이미 감칠맛이 많이 나는 국일땐 맛소금을 피하고 꽃소금이나 간장, 젓갈류로 간을 하고요 채소 육수처럼 맛이 조금 라이트한 경우엔 맛소금도 잘 씁니다

고기 찍어먹을 때도 이미 고기가 글루탐산 덩어리니까 맛소금 안써요
또 마찬가지로 감칠맛이 많은 조개류, 토마토 베이스 음식에도 피합니다

이외의 대부분의 경우에는 사실 맛소금 쓰시는게 맛있어요 ㅎㅎ
요리하실 때 이 감칠맛을 내려고 다시마, 굴소스, 간장, 멸치 이런 것들 쓰는거니까 맛소금도 동등한 지위로 골라 쓰시면 돼요
아아, 맛소금 쓰는 경우를 그렇게 구분하는 거군요! 첨 들어봤어요!!
맛을 알고싶어하신다고 하셔서 길게 적어봤습니다 ㅎ..
요리 재밌게 하세용
1
네. 감칠맛 솟는 글 감사합니다
맥주만땅
맛소금 뿌려서 구운 소고기 맛있는데....
말은 이렇게해도 저도 오늘 업진살에 맛소금 찍어먹었습니다ㅋㅋㅋㅋㅋ
맥주만땅
정제염 쓰시면 되지요.

맛소금은 msg가 있어서 조금 닝닝해서 쓰기가 싫더군요. 대신 액젖을?
1
말만 들어 봤지 정제염이 뭔지도 몰랐어요 ㅎㅎ
맛소금은 저도 닝닝할 때가 있더라고요. 감칠맛이 과할 때 그런 맛이 나나 궁금했는데 잘은 모르고요.
한주소금 정제염이 불순물 적고 좋습니다. 입자도 굵은 것 고운 것 다 있습니다.
한주소금 아닌 정제염은 지방농협 상품 아니고는 중국산 밖에 없을 텐데 중국산은... 권하지 않아요.

그리고 정제염은 NaCl이 99%... 천일염은 (제품마다 다르지만) 86% 정도라 차이가 있기 때문에 요리하실 때 첨가량이 달라질겁니다! 참고해두세용
1
맛잘알들의 주방엔 한주소금이 있었군요. 더 적게 넣어야 한다는 말씀이시죠? 알겠습니다!
전 제 혀가 이상한 줄 알았는데 아니었네요
1
저도 단순히 입맛이 쓴 경우인 줄 알았으나, 혀는 아무 잘못이 없었습니다!
EuropaV
제발 천일염 쓰지맙시다!!!
좀 비싸지만 요리사들은 코셔솔트를 쓴다고 합니다.
비싸다고 해봐야 어차피 일반인 기준 한통 사놓으면 십년은 쓸 수 있는 양입니다.
3
대부분의 천일염이 과학적으로나 위생면에서나 별로 좋은 방법이 아닙니다.

현대 기준으로 보면 천일염은 금지시켜야 한다고 생각할 정도로 위생과 맛 모두에서 불합격인 방법입니다.

개인적으로 히말라얀 핑크솔트 추천합니다.
2
EuropaV
장판떄문에 미세플라스틱 먹는것도 매우 신경쓰이고 서해가 애초에 맑은 바다도 아닌데 그 물 먹는것도 매우 께름칙하고
무엇보다도 사건사고의 섬 신안 (섬노예 등) 생각하면 먹을 수가 없죠
1
아직도 신안에서 소금 사업이 버젓이 일어나고 있다는 것이 이해가 안 갑니다.
그리고 이슈화 된 이후에도 범죄가 일어나고 있다는데, 별다른 조치가 없어보입니다.

신안에서 소금을 만든 것이, 전통도 아닌데 대단한 한식 전통인냥 포장되는 것이 기괴하기 까지합니다.
1
서양에서 요리할 때 일반적으로 쓰는 소금인가 보네요. kitchen salt, cooking salt라고도 한다 하니. 이렇게 또 하나를 배웁니다. 찾아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저도 코셔솔트 추천드리고요, 영국 maldon이 제 입맛에 맞아서 잘 쓰고 있습니다.
1
오옵. 고급지네요, 왕실 인증. 고기 먹을 때 테이블에 놓아야겠어요.
1
할로윈차차
그냥 비싼 소금 필요 없고요. 마트에서 꽃소금 구입하세요. 상품명인데 정제된 순수 소금이고 쌉니다. 꽃소금만으로도 대부분 매우 훌륭한 요리 가능하고요. 이 것에 익숙해지면 위에 언급 된 고급 소금들을 하나씩 추가로 적용해서 미세한 차이를 느껴보는게 쉬운 방법이라 생각합니다.
1
상품명이라 하셔서 좀 헷갈리는데 꽃소금에 여러 브랜드가 있는 거 맞죠? 한주소금의 꽃소금 사려고요. ㅎㅎ
에텔레로사
https://youtu.be/UfhFP-pr6xc
실패없는 김장을 위하여. 천일염 간수(쓴맛) 빨리 빼는법, 김장부터 내년 2월 장 담는 소금 준비. 소금 간수 빼기


원하시는 정보랑 상관 있을 진 모르겠습니다만 이런 방법도 있네요
1
아니 이건 간수 빼는 팁도 좋지만 이분 유튜브를 구독해야 하는 거군요. 요린이 놀래키는 이런 세상이 있었네..... 감사합니다!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질문 게시판 이용 규정 11 토비 15/06/19 24405 4
16649 의료/건강개별 포장된 약이 유통기한이 지난경우 (홍차넷 약사 스앵님들!!) 21 Mandarin 25/04/03 363 0
16648 교육어린이 신문, 신문, 잡지 추천 부탁드립니다. 17 아재 25/04/02 322 0
16647 IT/컴퓨터AI 모델 추천 부탁드립니다. 10 퍼그 25/04/02 293 0
16646 가정/육아콧물 나는 아이에게 약을 먹이시나요? 12 the 25/04/01 436 0
16645 교육초등학생 학폭위 관련해서 문의 10 얼그레이 25/04/01 652 0
16644 IT/컴퓨터Hongkong/MACAU에서 ChatGPT 쓰는 방법? 3 mathematicgirl 25/04/01 338 0
16643 법률법무법인의 전문성을 비전문가가 알아보려면 어떻게 해야하나요? 16 [익명] 25/04/01 666 0
16642 의료/건강영양제 추천해주십시오 14 쉬군 25/03/31 404 0
16641 기타40대 초중반의 이직 고민, 다른 분들의 생각을 여쭤보고 싶습니다 23 쉬군 25/03/31 720 0
16640 기타빠른년생인 분들 나이 얘기할 때 빠른인 걸 말하시나요? 16 시간아달려라 25/03/30 687 0
16639 IT/컴퓨터KT 와이파이 개수 제한? 2 바쿠 25/03/27 510 0
16638 문화/예술기차역 구조도 그리기 9 OshiN 25/03/27 605 0
16637 댓글잠금 기타세탁기 2번 딸깍이 너무 귀찮아요. 5 [익명] 25/03/25 1002 0
16636 기타쿠팡플레이 질문입니다 4 김치찌개 25/03/25 484 0
16635 가정/육아제사 벌초같은 가족모임 부담스러운거 어떻게 하세요? 4 [익명] 25/03/25 603 0
16634 진로이직할 때 그 회사 이사 자신이 안다고 겁주는데 8 [익명] 25/03/25 911 0
16633 의료/건강면역항암제 주사 or 복용약 고민입니다. 3 미카엘 25/03/25 355 0
16632 기타자영업자분들 뭐하시나요? 14 게이득 25/03/24 840 0
16631 기타시키지 않은 일을 하는 사람이 되고 싶습니다. 10 [익명] 25/03/24 758 0
16630 IT/컴퓨터스마트워치로 사진 보기 2 OshiN 25/03/24 348 0
16628 의료/건강아동 ADHD 약 처방 궁금한점이 있습니다. 2 쉬군 25/03/22 480 0
16627 여행5월에 서울에 박물관 여행을 다녀볼까 합니당 7 Broccoli 25/03/22 377 0
16626 과학발목이 아프면 안정화? 쿠션화? 10 린디합도그 25/03/22 566 0
16625 여행어머니와 북해도를 갑니다. 뭘 준비해야할까요? 9 니르바나 25/03/21 533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