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 21/05/19 20:50:15 |
Name | 2막4장 |
Subject | 딥러닝 개발자입니다 웹 개발해보고 싶어요 |
모 회사에서 연구와 개발의 중간 지대 머무르고 있는 사람인데요 근래에 웹 프로그램에 급관심이 생겨서 어캐함 해볼까 하고 있습니다 다뤄본 거는 flask, fast api랑 html깔짝해본 것이 다 입니다 파이썬이 주력이라 딥모델을 서빙할 수 있는 웹프레임워크 및 간단하게라도 쓸만한? FE를 해보려면 어떤 테크를 타야 할까요? 리액트 같은 것도 익혀야 할지 궁금합니다 답변 미리 감사합니다^^ 0
|
아래에 여러가지 것들이 많이 추천되겠지만, 일단 해보는 것은 타입스크립트와 nestjs면 충분하지 않을까 합니다. 그러다가 더욱 흥미가 생기고, 부족하다 싶을때 이것저것 넓혀나가면 됩니다. 딥러닝 모델을 서비스 한다는 것은 어떤 의미인지 감이 잘 오지 않네요ㅎㅎ
기본은 따로 있습니다. 빠르게 해볼 수 있는 방법에 초점을 맞추어서 말씀드렸어요ㅎㅎ http기반의 rest api나 data stream서비스라면 제가 말씀드린 2개의 조합으로도 충분해보입니다. :)
제가 면접에 들어가본적은 없어서 뭐라 말씀드리긴 어렵겠지만
딥러닝으로 해본거랑 신입이니 만큼 면접을 임하는 태도를 보고 판단하지 않나 싶습니다.
딥러닝의 기본지식과 커뮤니티에서 오가는 현재 트렌드 정도는 잘 알고 있어야겠죠.
기본적으로는 SGD와 RMSPROP은 어떤 차이가 있는지, batch normalization이 학습에 어떤 (좋고 나쁜)영향을 주는지
트렌드로는 요즘의 언어모델이 거대화로 가는 것을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지,
MLOPS 가 무엇이고 어떤 부분에서 도움을 줄 수 있는지,
transformer가 비전 모델에서 어떻게 발전해왔는지
정도 얘기 할 수 있다면 매우 훌륭할 것 같습니다^^
딥러닝으로 해본거랑 신입이니 만큼 면접을 임하는 태도를 보고 판단하지 않나 싶습니다.
딥러닝의 기본지식과 커뮤니티에서 오가는 현재 트렌드 정도는 잘 알고 있어야겠죠.
기본적으로는 SGD와 RMSPROP은 어떤 차이가 있는지, batch normalization이 학습에 어떤 (좋고 나쁜)영향을 주는지
트렌드로는 요즘의 언어모델이 거대화로 가는 것을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지,
MLOPS 가 무엇이고 어떤 부분에서 도움을 줄 수 있는지,
transformer가 비전 모델에서 어떻게 발전해왔는지
정도 얘기 할 수 있다면 매우 훌륭할 것 같습니다^^
신입이면 과제를 통해 수행했던 것 정도 되겠죠?
이를테면 object detection 모델을 이용한 토마토 숙성도 평가, CCTV body 제스쳐로 위험 신호 인식, wavenet ? 같은 것으로 유재석 TTS, 스타일 트랜스퍼로 만화 같은 사진 변환기 같은 것들이요. 이정도면 이미 있는 소스 잘 가져다가 해본 것 정도 될 것이고요.
가점을 받으려면 최근 논문 구현 및 설명이 가능한 수준 정도 (CVPR, ICML, ICLR, ICCV, NeurIPS 학회에 논문 냈다면 더더욱...)
면접관 보기에도 이 정도 학생이 왜 우리회사에 지원했지 정도 될 것 같습니다.
이를테면 object detection 모델을 이용한 토마토 숙성도 평가, CCTV body 제스쳐로 위험 신호 인식, wavenet ? 같은 것으로 유재석 TTS, 스타일 트랜스퍼로 만화 같은 사진 변환기 같은 것들이요. 이정도면 이미 있는 소스 잘 가져다가 해본 것 정도 될 것이고요.
가점을 받으려면 최근 논문 구현 및 설명이 가능한 수준 정도 (CVPR, ICML, ICLR, ICCV, NeurIPS 학회에 논문 냈다면 더더욱...)
면접관 보기에도 이 정도 학생이 왜 우리회사에 지원했지 정도 될 것 같습니다.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