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 21/06/04 11:05:28 |
Name | ![]() |
File #1 | 스크린샷_2021_05_25_오후_3.37.41.png (64.7 KB), Download : 24 |
Subject | IRP에 얼마까지 넣을 것인가 |
여러가지 투자 할 수 있는 영역들을 살펴봤을 때 IRP가 최고다라는 결론을 내린 상태입니다. 연 10% 이상의 수익이 보장된 투자처라는건 너무나도 매력적이지 싶은데요. 문제는 그 수익을 온전히 거두려면 계속 금액을 묻어둬야 한다는 점입니다. 생각같아서는 세액공제 한도인 700만원을 매년 꽉꽉 채워서 넣고 싶은데... 2년 후에는 대출을 풀로 땡겨서 이사갈 생각을 하고 있다보니 700만원씩 매년 묶이는 금액이 부담이 좀 되기도 합니다. 여러분은 얼마씩 넣고 계신가요? 넣자니 돈이 곧 필요해서 아쉬울거 같고, 안넣자니 보장된 수익이 아깝고... 그렇습니다. 0
|
네. 수익이 있으신 분은 자영업자도 irp 계좌를 개설 하실 수 있습니다.
과거에는 직장인들만 퇴직연금으로 가입 할 수 있었는데 제도가 바뀌어서 자영업자도 가입이 가능해졌습니다.
지금처럼 바뀐게 2017년인가 부터라서... 생긴지 얼마 안된 제태크 정석 루트중 하나고, 정보가 빠른 분들은 이미 꿀을 빨고 계셨던걸로...
유튜브에 설명해주는 영상들이 많으니 irp 세액공제 같은 검색어로 검색해서 영상 몇개 보시면 감이 잡히실 것 같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xqXD9R_3TOI
저는 요 영상을 봤는데 설명이 좋았습니다.
과거에는 직장인들만 퇴직연금으로 가입 할 수 있었는데 제도가 바뀌어서 자영업자도 가입이 가능해졌습니다.
지금처럼 바뀐게 2017년인가 부터라서... 생긴지 얼마 안된 제태크 정석 루트중 하나고, 정보가 빠른 분들은 이미 꿀을 빨고 계셨던걸로...
유튜브에 설명해주는 영상들이 많으니 irp 세액공제 같은 검색어로 검색해서 영상 몇개 보시면 감이 잡히실 것 같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xqXD9R_3TOI
[상품지식] IRP가 노후준비용으로 최강인 이유 (vs.연금저축펀드)
저는 요 영상을 봤는데 설명이 좋았습니다.
400까지는 연금저축펀드와 irp의 혜택이 같고, irp는 최대 700까지 인정해줘서 연금펀드에 400 irp에 300 넣으시면 됩니다. 연금펀드가 살 수 있는 etf의 종류가 더 다양해서 400까지는 연금펀드가 더 좋습니다.
그렇군요. 연금계좌에서는 주로 etf를 많이 사는데 irp에서는 연금저축계좌보다 매수가능한 etf 종류가 적다는 단점은 고려하시는 게 좋을 듯해요. 연금계좌에서는 살 수 있는 주식인데 irp에서는 검색에 뜨지 않는 것들이 꽤 있더라구요. 그리고 irp에서는 안전자산(채권류) 30%를 의무적으로 채워야 해서 수익률도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구요. 증권사마다도 구입 가능한 품목들이 조금씩 다르다고 하니 매수하고 싶은 종목을 미리 정해 포트폴리오를 짜두시고 해당 증권사 irp에서 구입 가능한지 알아본 다음에 돈을 불입하시면 좋을 것 같아요.
음.... 세금 환금은 한번 해주는건데 어째서 연 10% 이상 확정 수익이라고 생각하시는걸까요 ?
그리고 저는 연금저축이 실질적으로 더 다양한 투자가 가능하다고 생각하는데요
IRP는 무조건 30% 는 채권이나 예금을 담아야하니 실질적으로 수익률 30% 버리고 시작하는거기도 하고
남들의 설명과 달리 막상 매수하러 들어가보면 보이는 ETF 자체가 적습니다.
혼합, 레버리지 또 뭐...가 안보인다고 했는데 아무튼 엄청 적어요
어차피 같은 증권사에 넣으면 연금저축 IRP 동시관리하는거 어렵지 않은데 남들 하는대로 연금저축 400->IRP300 순으로 하시는걸 추천합니다..
그리고 저는 연금저축이 실질적으로 더 다양한 투자가 가능하다고 생각하는데요
IRP는 무조건 30% 는 채권이나 예금을 담아야하니 실질적으로 수익률 30% 버리고 시작하는거기도 하고
남들의 설명과 달리 막상 매수하러 들어가보면 보이는 ETF 자체가 적습니다.
혼합, 레버리지 또 뭐...가 안보인다고 했는데 아무튼 엄청 적어요
어차피 같은 증권사에 넣으면 연금저축 IRP 동시관리하는거 어렵지 않은데 남들 하는대로 연금저축 400->IRP300 순으로 하시는걸 추천합니다..
스스로 공부 안하실꺼면... 예금을 하시면 됩니다; 쿨럭;
그 좀 냉소적인것 같지만 사실 그게 답이에요; 예금 적금을 하시면 됩니다;;;
공돌이 공부를 해서 그 공돌이 지식으로 노동을 해서 돈을 벌수도 있지만
금융에 돈을 투자해서 돈을 벌고 싶으시다면
뭐... 그만큼 금융에 투자하는 돈만큼 시간도 투자하셔야...;;;
https://m.blog.nav... 더 보기
그 좀 냉소적인것 같지만 사실 그게 답이에요; 예금 적금을 하시면 됩니다;;;
공돌이 공부를 해서 그 공돌이 지식으로 노동을 해서 돈을 벌수도 있지만
금융에 돈을 투자해서 돈을 벌고 싶으시다면
뭐... 그만큼 금융에 투자하는 돈만큼 시간도 투자하셔야...;;;
https://m.blog.nav... 더 보기
스스로 공부 안하실꺼면... 예금을 하시면 됩니다; 쿨럭;
그 좀 냉소적인것 같지만 사실 그게 답이에요; 예금 적금을 하시면 됩니다;;;
공돌이 공부를 해서 그 공돌이 지식으로 노동을 해서 돈을 벌수도 있지만
금융에 돈을 투자해서 돈을 벌고 싶으시다면
뭐... 그만큼 금융에 투자하는 돈만큼 시간도 투자하셔야...;;;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yijerin&logNo=221659983190
무슨 독일국채금리 파생상품을 고금리 예금인것처럼 파는 은행원들도 있는 세상이라, 누굴 믿을만한 세상이 아닌것 같아요;
공부를 안하실꺼면 예적금을!!;; 하십쇼; 위험합니다 금융은;;;
그 좀 냉소적인것 같지만 사실 그게 답이에요; 예금 적금을 하시면 됩니다;;;
공돌이 공부를 해서 그 공돌이 지식으로 노동을 해서 돈을 벌수도 있지만
금융에 돈을 투자해서 돈을 벌고 싶으시다면
뭐... 그만큼 금융에 투자하는 돈만큼 시간도 투자하셔야...;;;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yijerin&logNo=221659983190
무슨 독일국채금리 파생상품을 고금리 예금인것처럼 파는 은행원들도 있는 세상이라, 누굴 믿을만한 세상이 아닌것 같아요;
공부를 안하실꺼면 예적금을!!;; 하십쇼; 위험합니다 금융은;;;
IRP는 추가 세금공제 300만 채우고.. 나머지 1500은 그냥 연금저축으로 넣는게 가장 좋다고 생각합니다. 위에서 얘기하신데로, IRP는 투자할 펀드가 다양하지 않아서.. 마켓타이밍 별로 생각하지 않고(거의 장기조정장에만 조정해주는 정도...) 정말 장기로 가져가는 것이고... 퇴직연금의 플러스 알파 정도 생각하면 되고...
적극적 투자는 연금저축으로 하는게 가장 좋습니다. 사고 팔고 해도 수수료 거의 없는 편이고 수익세금이 없고 투자할 대상 펀드/etf도 IRP에 비하면 매우 다양한 편이니까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연금... 더 보기
적극적 투자는 연금저축으로 하는게 가장 좋습니다. 사고 팔고 해도 수수료 거의 없는 편이고 수익세금이 없고 투자할 대상 펀드/etf도 IRP에 비하면 매우 다양한 편이니까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연금... 더 보기
IRP는 추가 세금공제 300만 채우고.. 나머지 1500은 그냥 연금저축으로 넣는게 가장 좋다고 생각합니다. 위에서 얘기하신데로, IRP는 투자할 펀드가 다양하지 않아서.. 마켓타이밍 별로 생각하지 않고(거의 장기조정장에만 조정해주는 정도...) 정말 장기로 가져가는 것이고... 퇴직연금의 플러스 알파 정도 생각하면 되고...
적극적 투자는 연금저축으로 하는게 가장 좋습니다. 사고 팔고 해도 수수료 거의 없는 편이고 수익세금이 없고 투자할 대상 펀드/etf도 IRP에 비하면 매우 다양한 편이니까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연금저축도 그렇게 자주 거래하는기엔 딱히 좋지는 않아서(여전히 투자 대상이 한정적이고... 펀드는 수수료가 없어도 환매기한이 길고... etf는 유동성 등..) 중기투자 용도가 적당하다고 봅니다.. 그래도 돈이 남으면 정말 적극 투자용은 ISA겠지만... 한도가 적어서.. 결국 별도 투자계좌가 생기고.....그래서 너무 분산되면 분산투자 계좌별 계산하기가 어렵고 번거로워지고...또 적극투자로 가는 순간 세금 보다는 편의성이 더 중요한것 같아서...그냥 ISA는 개인별 상황에 따라 하는게 좋을듯 한데.. .그냥 pass하기도 합니다.
적극적 투자는 연금저축으로 하는게 가장 좋습니다. 사고 팔고 해도 수수료 거의 없는 편이고 수익세금이 없고 투자할 대상 펀드/etf도 IRP에 비하면 매우 다양한 편이니까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연금저축도 그렇게 자주 거래하는기엔 딱히 좋지는 않아서(여전히 투자 대상이 한정적이고... 펀드는 수수료가 없어도 환매기한이 길고... etf는 유동성 등..) 중기투자 용도가 적당하다고 봅니다.. 그래도 돈이 남으면 정말 적극 투자용은 ISA겠지만... 한도가 적어서.. 결국 별도 투자계좌가 생기고.....그래서 너무 분산되면 분산투자 계좌별 계산하기가 어렵고 번거로워지고...또 적극투자로 가는 순간 세금 보다는 편의성이 더 중요한것 같아서...그냥 ISA는 개인별 상황에 따라 하는게 좋을듯 한데.. .그냥 pass하기도 합니다.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