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 21/09/24 16:42:27 |
Name | 다람쥐 |
File #1 | AFB47358_6ABA_4C14_8AE4_E24B942790E3.jpeg (244.2 KB), Download : 35 |
File #2 | 9D5C57B6_832A_4A47_BED4_4F1C9DB4CDB2.jpeg (349.9 KB), Download : 30 |
Subject | 스테플러 심 10호, 33호 규격 명칭의 유래는? |
스테플러를 쓸때 사이즈에 따라 10호, 33호가 있잖아요 이 명칭은 어디서 유래된 것일까요? 10밀리 33밀리도 아니고 A4용지 75g기준 10장, 33장을 찍을 수 있다는 것인지?ㅠㅠㅠ 대체 어디서 나온 숫자인지 모르겠습니다 ㅋㅋ 구글링을 해봐도 못 찾겠어요 아시는 분 계시면 알려주십시오..... 0
이 게시판에 등록된 다람쥐님의 최근 게시물
|
선생님때문에 궁금해졌습니다....ㅠㅠ....
https://standard.go.kr/KSCI/standardIntro/getStandardSearchView.do
1974년 12월 26일 제정 당시 원안이 업로드되어 있지 않으니 정보공개청구 해주십시오.ㅠㅠ
https://standard.go.kr/KSCI/standardIntro/getStandardSearchView.do
1974년 12월 26일 제정 당시 원안이 업로드되어 있지 않으니 정보공개청구 해주십시오.ㅠㅠ
http://wis.max-ltd.co.jp/op/h_story/history02.html
10호의 유래는 이쪽인 것 같아요. 일본 다이쇼 시대에 수입했던 미국 제품을 1호라고 불렀고, 그 뒤로 2호 3호 9호 나오다가 1952년에 만들어진 첫 소형 제품을 10호라고 했다네요.
10호의 유래는 이쪽인 것 같아요. 일본 다이쇼 시대에 수입했던 미국 제품을 1호라고 불렀고, 그 뒤로 2호 3호 9호 나오다가 1952년에 만들어진 첫 소형 제품을 10호라고 했다네요.
세계적으로 통용되는 스테이플러 규격은 X/Y (ex:24/6등)로 표시되며
10호침의 경우 number 10으로 생각되는데, 사이즈와는 관련없다합니다.
33호침은 세계적으로는 통용되지 않는 국내용인걸로 생각됩니다.
33호침과 35호의 유래에 대해서 궁금하시면 서울 마포구 서교동의 '오브젝트'에서 열리고 있는 '스테플러 학과' 전시에 참가하면 정보가 있을지도 모르겠는데 전시는 끝났읍니다.
https://www.hankoo... 더 보기
10호침의 경우 number 10으로 생각되는데, 사이즈와는 관련없다합니다.
33호침은 세계적으로는 통용되지 않는 국내용인걸로 생각됩니다.
33호침과 35호의 유래에 대해서 궁금하시면 서울 마포구 서교동의 '오브젝트'에서 열리고 있는 '스테플러 학과' 전시에 참가하면 정보가 있을지도 모르겠는데 전시는 끝났읍니다.
https://www.hankoo... 더 보기
세계적으로 통용되는 스테이플러 규격은 X/Y (ex:24/6등)로 표시되며
10호침의 경우 number 10으로 생각되는데, 사이즈와는 관련없다합니다.
33호침은 세계적으로는 통용되지 않는 국내용인걸로 생각됩니다.
33호침과 35호의 유래에 대해서 궁금하시면 서울 마포구 서교동의 '오브젝트'에서 열리고 있는 '스테플러 학과' 전시에 참가하면 정보가 있을지도 모르겠는데 전시는 끝났읍니다.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A2020080201130004897
1961년 한국의 '피스코리아'에서 처음 만들어진 스테이플러 침 '평화 33호', 스테이플러 '평화 35호' 등을 둘러싼 이야기들도 흥미롭다.
---------------------------------
한줄요약 : 10호는 사이즈와는 관계 없는 단위
33호는 족보없는 국내용(혹은 일본에서 수입?)인듯하며 1961년 피스코리아에서 만들어진 규격이 국가기술표준원에 등록되어 사용중인것으로 생각됨.
사이즈는 아닌것같고, 윗분들 의견처럼 개발당시 넘버링이라고 봐야겠읍니다.
10호침의 경우 number 10으로 생각되는데, 사이즈와는 관련없다합니다.
33호침은 세계적으로는 통용되지 않는 국내용인걸로 생각됩니다.
33호침과 35호의 유래에 대해서 궁금하시면 서울 마포구 서교동의 '오브젝트'에서 열리고 있는 '스테플러 학과' 전시에 참가하면 정보가 있을지도 모르겠는데 전시는 끝났읍니다.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A2020080201130004897
1961년 한국의 '피스코리아'에서 처음 만들어진 스테이플러 침 '평화 33호', 스테이플러 '평화 35호' 등을 둘러싼 이야기들도 흥미롭다.
---------------------------------
한줄요약 : 10호는 사이즈와는 관계 없는 단위
33호는 족보없는 국내용(혹은 일본에서 수입?)인듯하며 1961년 피스코리아에서 만들어진 규격이 국가기술표준원에 등록되어 사용중인것으로 생각됨.
사이즈는 아닌것같고, 윗분들 의견처럼 개발당시 넘버링이라고 봐야겠읍니다.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