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 21/11/08 21:27:29 |
Name | 한겨울 |
Subject | 이공계 최고 자격증? |
이과 관련 자격증 중 최고봉은 일반적으로 의학계열(의,약,한,수)이겠지만 이것들은 전부 대입으로 들어가는거니(의전원은 거의 없고 peet도 끝물이더라고요) 대입 이후에 딸 수 있는 이과계열 자격증 중 최고가 뭐일까요? 문과는 변호사가 딱 떠오르는데 이과는 변리사? 기술고시?(자격증은 아니지만) 기술사(소방기술사라던지 그런것들은 전문직급으로 치는걸 이번에 처음 알았습니다...)? 등등이 떠오르더라고요. 홍차넷 회원분들의 경륜(?)을 통해 조언을 얻고자 질문을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0
|
성취감이나 의미, 사람들의 인정, 당장의 연봉을 따지면 각광받는 분야의 명문대 박사만한 건 없는 것 같습니다. 국가가 발급하는 자격증은 아니지만요.
보통 명문대 이공계 박사는 “인류의 지식의 한계를 발톱의 때만큼이라도 넓히는 연구&논문 실적”이 있어야 합니다. 이건 단순히 시험 잘보는 것과는 격이 다른 성취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직업 안정성은 보장되지 않네요. 미래에도 해당 전공이 가치가 있을 거라는 보장도 없고요. 직업 안정성이 보장되려면
1. 공급이 과도하지 않도록 관리됨
2. 수요는 상수이거나 법적으로... 더 보기
보통 명문대 이공계 박사는 “인류의 지식의 한계를 발톱의 때만큼이라도 넓히는 연구&논문 실적”이 있어야 합니다. 이건 단순히 시험 잘보는 것과는 격이 다른 성취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직업 안정성은 보장되지 않네요. 미래에도 해당 전공이 가치가 있을 거라는 보장도 없고요. 직업 안정성이 보장되려면
1. 공급이 과도하지 않도록 관리됨
2. 수요는 상수이거나 법적으로... 더 보기
성취감이나 의미, 사람들의 인정, 당장의 연봉을 따지면 각광받는 분야의 명문대 박사만한 건 없는 것 같습니다. 국가가 발급하는 자격증은 아니지만요.
보통 명문대 이공계 박사는 “인류의 지식의 한계를 발톱의 때만큼이라도 넓히는 연구&논문 실적”이 있어야 합니다. 이건 단순히 시험 잘보는 것과는 격이 다른 성취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직업 안정성은 보장되지 않네요. 미래에도 해당 전공이 가치가 있을 거라는 보장도 없고요. 직업 안정성이 보장되려면
1. 공급이 과도하지 않도록 관리됨
2. 수요는 상수이거나 법적으로 보장되고, 독점권이 있음
이 되야할 것 같습니다.
쓰다보니, 이 것들은 가치라기보다는 정부에서 법으로 관리하면서 생기는 속성이라는 생각이 드네요…
실은 이공계 직무들은 의학계열이나 안전과 관련된 일부를 제외하면 정부보다는 학계나 기업이 더 잘 관리하는 영역이죠. 그래서 정부에서 보장하는 독점 라이센스가 없고, 급이 되는 자격증도 별로 없는 것 같습니다.
결국 이공계 능력을 인정받으려면 학계나 기업으로부터 인정 받아야겠조. 정부로부터 인정을 받길 원한다면 주소가 좀 틀린 것 같습니다.
보통 명문대 이공계 박사는 “인류의 지식의 한계를 발톱의 때만큼이라도 넓히는 연구&논문 실적”이 있어야 합니다. 이건 단순히 시험 잘보는 것과는 격이 다른 성취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직업 안정성은 보장되지 않네요. 미래에도 해당 전공이 가치가 있을 거라는 보장도 없고요. 직업 안정성이 보장되려면
1. 공급이 과도하지 않도록 관리됨
2. 수요는 상수이거나 법적으로 보장되고, 독점권이 있음
이 되야할 것 같습니다.
쓰다보니, 이 것들은 가치라기보다는 정부에서 법으로 관리하면서 생기는 속성이라는 생각이 드네요…
실은 이공계 직무들은 의학계열이나 안전과 관련된 일부를 제외하면 정부보다는 학계나 기업이 더 잘 관리하는 영역이죠. 그래서 정부에서 보장하는 독점 라이센스가 없고, 급이 되는 자격증도 별로 없는 것 같습니다.
결국 이공계 능력을 인정받으려면 학계나 기업으로부터 인정 받아야겠조. 정부로부터 인정을 받길 원한다면 주소가 좀 틀린 것 같습니다.
만약 https://enews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252412
이게 통과했었다면(통과할 수도 없었겠지만) 정보관리기술사의 위상은 현존하는 모든 자격증 중 최고가 되었을 거라고 장담합니다.
이게 통과했었다면(통과할 수도 없었겠지만) 정보관리기술사의 위상은 현존하는 모든 자격증 중 최고가 되었을 거라고 장담합니다.
위에서 두번우려낸티백님이 잘 설명해주셨는데요,
변리사의 이공계적 지식이라고 해도 자기 분야 외에서는 깊숙이 들어간 domain knowledge가 아니고 전반적인 내용일 수밖에 없습니다. 출원이 됐든 분쟁이 됐든 실무에서 변리사는 실제 기술담당자의 설명을 들으면서 이해해야 합니다.
변리사 담당 업무에는 특허, 상표, 디자인이 있는데 상표와 디자인은 문과에 가까운 내용이라고 볼 수 있고요
특허도 청구항을 쓰고 해석하는 내용은 법조문을 해석하는 것과 비슷한 기술/능력이 필요하기 때문에 배경 지식을 이해하는 것과 더불어 법적 사고와... 더 보기
변리사의 이공계적 지식이라고 해도 자기 분야 외에서는 깊숙이 들어간 domain knowledge가 아니고 전반적인 내용일 수밖에 없습니다. 출원이 됐든 분쟁이 됐든 실무에서 변리사는 실제 기술담당자의 설명을 들으면서 이해해야 합니다.
변리사 담당 업무에는 특허, 상표, 디자인이 있는데 상표와 디자인은 문과에 가까운 내용이라고 볼 수 있고요
특허도 청구항을 쓰고 해석하는 내용은 법조문을 해석하는 것과 비슷한 기술/능력이 필요하기 때문에 배경 지식을 이해하는 것과 더불어 법적 사고와... 더 보기
위에서 두번우려낸티백님이 잘 설명해주셨는데요,
변리사의 이공계적 지식이라고 해도 자기 분야 외에서는 깊숙이 들어간 domain knowledge가 아니고 전반적인 내용일 수밖에 없습니다. 출원이 됐든 분쟁이 됐든 실무에서 변리사는 실제 기술담당자의 설명을 들으면서 이해해야 합니다.
변리사 담당 업무에는 특허, 상표, 디자인이 있는데 상표와 디자인은 문과에 가까운 내용이라고 볼 수 있고요
특허도 청구항을 쓰고 해석하는 내용은 법조문을 해석하는 것과 비슷한 기술/능력이 필요하기 때문에 배경 지식을 이해하는 것과 더불어 법적 사고와 활용능력이 필요합니다.
미국에서 특허소송이 있으면 (불합리하게 느껴지지만) 기술적인 사실관계에 관해서는 bench trial이 아닌 한 일반인인 배심원이 판단하지만, 청구항 해석(claim construction)만은 법률전문가의 역할이라고 하면서 판사가 담당합니다.
그렇다고 이공계 지식이 전무한 법률가가 부딪히기는 또 어려운게 사실입니다.
그래서 반반의 영역이라고 생각합니다.
변리사의 이공계적 지식이라고 해도 자기 분야 외에서는 깊숙이 들어간 domain knowledge가 아니고 전반적인 내용일 수밖에 없습니다. 출원이 됐든 분쟁이 됐든 실무에서 변리사는 실제 기술담당자의 설명을 들으면서 이해해야 합니다.
변리사 담당 업무에는 특허, 상표, 디자인이 있는데 상표와 디자인은 문과에 가까운 내용이라고 볼 수 있고요
특허도 청구항을 쓰고 해석하는 내용은 법조문을 해석하는 것과 비슷한 기술/능력이 필요하기 때문에 배경 지식을 이해하는 것과 더불어 법적 사고와 활용능력이 필요합니다.
미국에서 특허소송이 있으면 (불합리하게 느껴지지만) 기술적인 사실관계에 관해서는 bench trial이 아닌 한 일반인인 배심원이 판단하지만, 청구항 해석(claim construction)만은 법률전문가의 역할이라고 하면서 판사가 담당합니다.
그렇다고 이공계 지식이 전무한 법률가가 부딪히기는 또 어려운게 사실입니다.
그래서 반반의 영역이라고 생각합니다.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