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 21/11/28 23:52:06 |
Name | 한겨울 |
File #1 | 16381109922534999720086630656921.jpg (73.8 KB), Download : 26 |
Subject | 만년필 글씨 두께 |
현재 라미 2000 ef에 펠리칸 4001 넣어서 사용중인데 생각보다 글씨가 두껍게 나와서 질문드립니다. 0.7은 나올꺼라고 생각했는데 사진에서 보이듯이 제트스트림 0.7보다 두껍게 나와서 답안작성시 가독성이 떨어지네요 ㅠㅠ. 위가 라미 2000 ef 밑이 제트스트림 0.7입니다! 0
|
- 라미 ef 는 편차가 좀 있으며, 그다지 얇은 편이 아닙니다. 보통 0.7mm 라고 하는데 4001 처럼 흐름 좋은 잉크 + 잉크가 잘 번지는 조합이면 당연히 두꺼워집니다. 위에 Jack Bogle 님이 말씀하셨지만, 구형 파카 USA xf 촉 외에는 흔히 말해 세필이라는 걸 구하는게 정말 힘듭니다. 그나마 있는게 있다면 오로라 ef 정도인데 이것도 뽑기에 따라 달라서.. 그리고 잉크를 박한걸 쓰면 펜선이 얇아지기는 하나 본래의 펜과 흐름이 안 맞는 잉크를 쓰거나 흐름이 너무 박한걸 쓰면 관리상의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헛발... 더 보기
- 라미 ef 는 편차가 좀 있으며, 그다지 얇은 편이 아닙니다. 보통 0.7mm 라고 하는데 4001 처럼 흐름 좋은 잉크 + 잉크가 잘 번지는 조합이면 당연히 두꺼워집니다. 위에 Jack Bogle 님이 말씀하셨지만, 구형 파카 USA xf 촉 외에는 흔히 말해 세필이라는 걸 구하는게 정말 힘듭니다. 그나마 있는게 있다면 오로라 ef 정도인데 이것도 뽑기에 따라 달라서.. 그리고 잉크를 박한걸 쓰면 펜선이 얇아지기는 하나 본래의 펜과 흐름이 안 맞는 잉크를 쓰거나 흐름이 너무 박한걸 쓰면 관리상의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헛발질이 늘어난다거나 피드가 막힌다거나.
- 저거랑 같은 종이 질에서 0.5mm 정도를 보장받으려면 세일러/플래티넘 F 에 세일러 흑 또는 극흑 잉크를 쓰셔야 할거 같습니다. 종이 질이 저러면 아무리 만년필이 얇아도 세일러 사이비토기 정도의 바늘촉(...) 이 아닌 이상은 굵어질 수 밖에 없습니다.
- 아니면 글씨가 굵어도 가독성을 높이는 필체로 바꾸는 방법이 있기는 합니다. 백강 고시체를 연습하시고.. 줄 안에 글씨를 최대한 크게 써서 채워 넣는 방식으로 글을 쓰면 가독성이 나아집니다.
- 저거랑 같은 종이 질에서 0.5mm 정도를 보장받으려면 세일러/플래티넘 F 에 세일러 흑 또는 극흑 잉크를 쓰셔야 할거 같습니다. 종이 질이 저러면 아무리 만년필이 얇아도 세일러 사이비토기 정도의 바늘촉(...) 이 아닌 이상은 굵어질 수 밖에 없습니다.
- 아니면 글씨가 굵어도 가독성을 높이는 필체로 바꾸는 방법이 있기는 합니다. 백강 고시체를 연습하시고.. 줄 안에 글씨를 최대한 크게 써서 채워 넣는 방식으로 글을 쓰면 가독성이 나아집니다.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