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23/05/16 13:35:18
Name   컴퓨터청년
Subject   서카포연고 등 명문대 교수님들은 왜 대부분이 미국대학 출신일까요?
*이 정도의 글은 딱히 사회 이슈라고 할 것까진 없을 것 같습니다. 저는 이런 현상에 딱히 불만이나 자부심이 없고, 찬반은커녕 솔직히 그렇게 많이 신경쓰지도 않습니다. 어디까지나 개인의 선택인 만큼, 이걸 굳이 사회문제라고 봐야 하나? 이런 생각도 드네요*

저는 심심할 때마다 음악감상과 구글링(및 온갖 잡다하고 불필요한 정보 검색)을 합니다.

오늘은 어쩌다보니 대한민국 최고명문대로 유명한 서울대, 카이스트, 포스텍, 연세대, 고려대 교수님들의 이력을 찾아봤죠. 물론 각 대학 홈페이지에서요.

일단 제가 수학과 물리 쪽을 동경하다보니, 수학과 및 물리학과 교수님들의 이력을 찾아봤습니다. 뭐 다들 아시다시피 정말 대부분이 서울대 출신이고(하다못해 카,포 출신조차 드뭅니다), 미국대학 박사 출신입니다.

물론 미국의 과학기술력은 세계 최고 중 최고죠. 그러니까 경제력도 군사력도 넘버원이겠죠? 하지만, ARWU(세계대학학술순위)에 따르면, 2022년 기준 세계대학 수학과 1위는 프랑스 파리-사클레 대학교입니다. 물리학과 1위는 MIT지만 4위로 일본 동경대학이 올라와있고요.

뭐 이런 순위는 그냥 재미로만 봐야겠지만, 암튼 영국, 프랑스, 일본, 독일, 스위스 명문대학 정도면 수학과 물리학 분야에서 미국명문대와 비교해도 뒤쳐지지 않는다고 보기엔 충분할 것 같습니다. 예를 들어, 독일 본대 수학과는 세계 15위인데 하버드대 수학과가 세계 21위고 예일대 수학과가 세계 37위니까요.

그런데 서카포연고 수학과 교수님들 중 세계 100위권 바깥의 미국대학 출신 교수님들은 생각보다 많습니다(거의 절반~어쩌면 그 이상?). 그런데 세계 30위 안에 드는 비영미권 대학 출신 교수님은 한 분도 안 계시더군요. 그나마 물리학과는 수학과에 비해 비영미권 대학 출신 교수님들이 정말 드물게 계시긴 했지만...


지금 제가 생각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 대한민국 대학교수들의 연령대를 감안하면, 그분들 상당수가 대한민국이 약소국이었을 때 대학공부를 하셨고, 그 당시엔 미국이라는 나라의 위상이 지금보다 훨씬 절대적이었음.
[2] : 대한민국은 교육 관련 분야에서도 미국의 도움과 영향을 가장 많이 받았기 때문.
[3] : 건국 초기에 대한민국을 이끈 사람들이 대부분 미국대학 출신이었기 때문.
[4] : 세계의 공용어는 영어인데, 미국이 아닌 다른 나라로 유학을 가면 또 따로 제2외국어까지 배워야 하기 때문(다만 "그럼 왜 영국대학이나 캐나다대학, 뉴질랜드 대학, 싱가포르 대학, 홍콩 대학 출신도 거의 없는가"라고 반박하면 할 말이 없............)


본문이 너무 길고 장황한 것 같네요... 뭐 어쨌든 제가 지금 궁금한 건 저겁니다.
(다른 이야기지만 저는 솔직히 여행을 간다면 미국보다는 일본이나 스웨덴, 네덜란드, 노르웨이를 가보고 싶네요. 미국에선 자동차가 생필품이라고 들었거든요. 게다가 복지도 선진국치곤 좀....)



0


Beer Inside
미국이 학문의 중심이기도 하고 돈이 많아서 연구비의 중심이라 미국유학이 가지는 잇점이 다른 서구권 국가보다 많습니다.
6
컴퓨터청년
역시 오카네(돈)란....
물냉과비냉사이
언어 문제라고도 볼 수 있겠지만, 언어 문제라기엔 영국박사도 대단히 드물어요. 사회과학 분야에도 영국에 좋은 대학 많은데 영국 박사가 거의 없어요. 박사과정 학생에게 제공해줄 수 있는 장학금을 따져보면 여러모로 미국이 답이라고 느끼는 듯 합니다. 제 후배도 유학알아보다가 영국대학에 컨택했는데 교수도 아주 큰 관심을 보였지만 "그런데 미국대학보다는 장학금이 적어서 힘들 수 있는데 재정적으로 안정적인 상태냐"고 묻더라고요.
2
컴퓨터청년
그렇군요... 확실히 ARWU 보면... 심리학을 예로 들면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대학이 세계 20위 안에 드는데, SKY 심리학과 교수님 중 암스테르담 대학 출신은 한 분도 안 계셔서.... (세계 100위권 바깥의 미국대학 박사 출신은 많음)
산타는옴닉
설공의 경우 옛날에 미시간 엔아버로 대학원 유학 많이 갔었다고 들었읍니다
1
컴퓨터청년
제가 보기엔 미국 주립대학 박사 출신 교수님들이 많으신 것 같더군요. UT 오스틴, UW 매디슨, 말씀하신 미시간 등등...
1
카리나남편
고모부가 포닥을 미시간으로 가서 저도 어학연수를 미시간으로...
2
설공으로 묶기엔 과마다 경향이 좀 달라서.. 어떤과는 버클리출신이 많고 어떤과는 어디가 많고 이런식인거 같아요
1
다시갑시다
박사과정 연구와 공부란게 기본적으로는 연구실과 학과내에서 나를 상대로 하는 것이지만, 사실상 마무리단계에 오면은 “학계”라는 장에 나가서 인정을 받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논문을 아무리 잘썻어도 학회든 강의든 뭐든 나가서 다른 학자들 앞에서 그거 자랑하고 얘기하고 그 다음 단계로 발전시킬수 있어야하는거죠

그런면에서 미국은 유럽보다 훨씬 유리합니다. 유럽이 아무리 “하나의 시장”을 추구한다고 해도, 언어부터 다른 여러 나라들이 연합이고, 미국은 그래도 하나의 국가체계로 묶인 시장이죠. 이게 되게 커요.

그리고 박사레벨 연... 더 보기
박사과정 연구와 공부란게 기본적으로는 연구실과 학과내에서 나를 상대로 하는 것이지만, 사실상 마무리단계에 오면은 “학계”라는 장에 나가서 인정을 받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논문을 아무리 잘썻어도 학회든 강의든 뭐든 나가서 다른 학자들 앞에서 그거 자랑하고 얘기하고 그 다음 단계로 발전시킬수 있어야하는거죠

그런면에서 미국은 유럽보다 훨씬 유리합니다. 유럽이 아무리 “하나의 시장”을 추구한다고 해도, 언어부터 다른 여러 나라들이 연합이고, 미국은 그래도 하나의 국가체계로 묶인 시장이죠. 이게 되게 커요.

그리고 박사레벨 연구는 학과순위 보다도 본인 연구분야내에서 지도교수 위상과 인맥이 훨씬 중요합니다. 물론 유명대학, 순위 높은 학과일수록 그런 교수가 많은 확울이 높지만 어지간한 학교면 그런 교수가 한두명씩은 있는것도 사실입니다.
2
컴퓨터청년
학계에서도 <인맥>의 영향력이 크군요....
다시갑시다
네. 어차피 그 수준에서는 연구결과의 수준을 절대적으로 객관적인 평가할수있는 영역을 지낫기 때문에 역설적으로 다른 학자들의 평가의 영향력이 높아지고, 그렇기에 다시 인맥이 중요해지는 경향이있습니다.
2
회색사과
일단 이공계 분야에서 미국 외에 다른 국가를 선택하는 경우가 매우 적어서요??

입결이 비슷한 서울의 모 대학과 부산의 모 대학을 모두 붙은 학생이 있다할 때 그 학생이 부산의 모 대학을 가는 경우는 연고지가 경상도인 경우를 제외하면 매우 낮지 않겠습니까?

게다가 산업도 발달해있고 산학투자도 받기가 월등히 유리하다면..
1
노바로마
미국이 사실 대부분의 학계에서는 상당히 선도적입니다. G1 프리미엄이 괜히 있는 게 아니죠.
1
특허, 논문 수, 논문의 권위(Impact Factor), 들어가는 연구비, 연구소와 포닥 포지션의 수 등등등 관련된 수치적인 지표를 찾아보시면 이해에 더 도움이 될거 같습니다.

교수가 되기 위해서는 학위 뿐만 아니라 학문적인 업적이 필요하고, 업적을 위해서는 연구가 필요합니다.
연구에는 돈이 필요하고, 그 돈은 학교에서 주거나 나라에서 주거나 기업에서 줍니다.
학교든 나라든 기업이든 돈을 제일 많이, 다양한 연구 분야에 뿌릴 수 있는 나라가 어디일까를 생각해보면
답은 너무 자명한게 아닌가 싶습니다.
1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5041 교육TOEIC 토익 모의고사 가장 저렴하게 보는 방법? 5 mathematicgirl 23/07/17 2690 0
15025 교육토익 최근에 보신분 질문드립니다 4 danielbard 23/07/12 2452 0
15016 교육초6 영어공부 뭘 시키면 될까요? 15 FSM 23/07/11 3151 0
15010 교육영어 공부 유튜브 추천 부탁드립니다. 2 R세제곱인생(삼유인생) 23/07/10 2709 0
14954 교육법학을 공부하는 올바른 방법은 뭘까요? 10 니르바나 23/06/22 2884 0
14943 교육버클리 인근 치안 3 한겨울 23/06/19 3475 0
14918 교육성인 영어 과외 or 학원 6 GYM꾼 23/06/12 2614 0
14830 교육장롱면허의 도로주행 연습 VR기기 연습장 괜찮을까요? 12 mathematicgirl 23/05/19 4179 0
14820 교육서카포연고 등 명문대 교수님들은 왜 대부분이 미국대학 출신일까요? 14 컴퓨터청년 23/05/16 3883 0
14703 교육배테랑 선생님들께 질문이 있습니다. 13 [익명] 23/04/14 2954 0
14652 교육너무 잘하고 싶은 마음이 커서 재미가 없어요. 10 활활태워라 23/03/31 3099 0
14644 교육수능 전국 상위 4%는 어느 정도인가요? 6 강세린 23/03/30 5513 0
14641 교육옛날 초중고 교사들은 왜 그렇게 폭력적이었을까요? 16 강세린 23/03/29 3051 0
14640 교육의대나 체대, 간호대는 왜 그렇게 군기가 센 걸까요? 10 강세린 23/03/29 3239 0
14625 교육이 주장이 믿을 만한가요? 24 강세린 23/03/27 4471 0
14623 교육대학 학과마다 분위기가 많이 다른가요? 10 강세린 23/03/27 3796 0
14522 교육특수대학원 겸임교수로서 학생들 호칭 질문드립니다. 10 [익명] 23/02/23 3837 0
14497 교육하루 꾸준히 20-30분씩 영어 회화 공부할 수 있는 좋은 방법 없을까요? 16 아재 23/02/17 2909 0
14471 교육학혹 가해자와 방관자가 동급으로 묶이는게 맞는가요? 18 OneV 23/02/10 3153 1
14400 교육화학책 추천 부탁드려요. 1 moqq 23/01/24 3073 0
14324 교육말싸움에서 어이가 없거나 황당해서 막힐때 어떻하나요? 8 [익명] 23/01/04 2747 0
14155 교육영어질문 2.. 12 moqq 22/11/18 3143 0
13894 교육수학에서 나오는 용어 질문입니다. 7 물사조 22/09/20 3598 0
13747 교육초3 / 초2 구몬학습지 좋을까요? 11 Thy킹덤 22/08/12 5229 0
13685 교육경매학원 추천 부탁드립니다. 17 메존일각 22/07/27 2539 1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