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 23/05/15 15:53:45 |
Name | 컴퓨터청년 |
Subject | (질문주의) 이공계 학과에 대한 궁금증 |
과학보다는 어찌보면 교육에 가까울지도 모르겠지만, 일단 이공계에 관한 질문이므로 카테고리를 과학으로 정했습니다. 심심해서 구글링을 좀 해보던 중, 의외의 사실을 알게 됐습니다. 보통 "남자는 어학을 못하고 여자는 수학을 못한다"는 편견이 있는 것 같지만, 실제로 수학과는 이공계 학과치고는 남초 현상이 심하지 않은 편이라 합니다(남학생 2명이면 여학생 1명쯤). 오히려 물리학과(남3, 여1)나 전자공학과(남4, 여1), 특히 기계공학과(남9, 여1)가 남초 현상이 심하다고 나오죠. 아무래도 수학을 많이 쓰는 것만으로 남초학과가 되는 건 아닌 것 같은데... 암튼 질문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 : 왜 이공계 학과 중 수학과보다 물리학과, 전자공학과, (특히)기계공학과의 남초현상이 심한가요? 역시 실습이나 현장업무 때문인가요? <2> : 수학과를 제외하고 이공계 학과에서 수학을 가장 많이 쓰는 학과는 역시 물리학과인가요? 아니면 컴공인가요?(최초의 컴퓨터 과학자들은 수학자들이었음) 0
이 게시판에 등록된 컴퓨터청년님의 최근 게시물
|
1. 공대 경험 있는 여자사람의 소감을 유의미한 수량으로 모으는 거 말고 다른 의견은 아무런 의미가 없을 거 같습니다.
2. 대학원은 빼고 학부 기준의 이야기시죠? 저는 컴공 출신인데 제 경험으로는 컴공은 물리, 기계까지 갈 것도 없이 전자보다 수학을 적게 쓰더군요.
2. 대학원은 빼고 학부 기준의 이야기시죠? 저는 컴공 출신인데 제 경험으로는 컴공은 물리, 기계까지 갈 것도 없이 전자보다 수학을 적게 쓰더군요.
제가 대가는 아니지만
물리학과는 세상을 설명하는 이론체계를 만들기 위해 수학을 쓰고
전기 기계와 같은 공학은
우리가 직면하는 공학적 문제를 기계적/전기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수학을 씁니다
물리학과는 세상을 설명하는 이론체계를 만들기 위해 수학을 쓰고
전기 기계와 같은 공학은
우리가 직면하는 공학적 문제를 기계적/전기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수학을 씁니다
1. 산업/취업과 관련이 있고 그로 인해 박혀있는 이미지와 관련있지 않을까 생각해봅니다.
취업이 이처럼 힘들기 전까지는.. 수트입고 일하는 화이트컬러를 추구하는 사람들이 많았던 것 같고...
취업 깡패라는 전화기 - 나오면 결국 공장/현장 가야 했으니 기피되는 부분도 있었을 거구요.
2. 개인적으로 수학을 제일 잘 해야하는 과는 컴공인 거 같은데, (그래픽스나 인공지능 등)
보통은 공대가는데 수학 싫어하는 사람들이 컴공과를 가더라구요.
그리고 실제로 공대에서 수학 수업을 들어도 컴공 공학수학이 범위가 제일 적습니다.... 더 보기
취업이 이처럼 힘들기 전까지는.. 수트입고 일하는 화이트컬러를 추구하는 사람들이 많았던 것 같고...
취업 깡패라는 전화기 - 나오면 결국 공장/현장 가야 했으니 기피되는 부분도 있었을 거구요.
2. 개인적으로 수학을 제일 잘 해야하는 과는 컴공인 거 같은데, (그래픽스나 인공지능 등)
보통은 공대가는데 수학 싫어하는 사람들이 컴공과를 가더라구요.
그리고 실제로 공대에서 수학 수업을 들어도 컴공 공학수학이 범위가 제일 적습니다.... 더 보기
1. 산업/취업과 관련이 있고 그로 인해 박혀있는 이미지와 관련있지 않을까 생각해봅니다.
취업이 이처럼 힘들기 전까지는.. 수트입고 일하는 화이트컬러를 추구하는 사람들이 많았던 것 같고...
취업 깡패라는 전화기 - 나오면 결국 공장/현장 가야 했으니 기피되는 부분도 있었을 거구요.
2. 개인적으로 수학을 제일 잘 해야하는 과는 컴공인 거 같은데, (그래픽스나 인공지능 등)
보통은 공대가는데 수학 싫어하는 사람들이 컴공과를 가더라구요.
그리고 실제로 공대에서 수학 수업을 들어도 컴공 공학수학이 범위가 제일 적습니다. 크크
전전 친구들이 라플라스랑 싸울 때 컴공은 푸리에변환까지만 하면 된다던가..
가끔 수학과에서 컴공으로 복전/전공변경 하는 사람들 있는데, 그런 사람들이 에이스가 되는 경우 많습니다.
특히 연구 쪽에서..
취업이 이처럼 힘들기 전까지는.. 수트입고 일하는 화이트컬러를 추구하는 사람들이 많았던 것 같고...
취업 깡패라는 전화기 - 나오면 결국 공장/현장 가야 했으니 기피되는 부분도 있었을 거구요.
2. 개인적으로 수학을 제일 잘 해야하는 과는 컴공인 거 같은데, (그래픽스나 인공지능 등)
보통은 공대가는데 수학 싫어하는 사람들이 컴공과를 가더라구요.
그리고 실제로 공대에서 수학 수업을 들어도 컴공 공학수학이 범위가 제일 적습니다. 크크
전전 친구들이 라플라스랑 싸울 때 컴공은 푸리에변환까지만 하면 된다던가..
가끔 수학과에서 컴공으로 복전/전공변경 하는 사람들 있는데, 그런 사람들이 에이스가 되는 경우 많습니다.
특히 연구 쪽에서..
공학은 거의 숨만 쉬어도 수학입니다. 각 분야별로 쓰는 수학이 "어떤 수학이냐"만 다르다고 보시면 됩니다. 그래서 2번 질문은 공학에 대해서는 좀 어폐가 있구요...
하지만 수학을 잘 못해도 공학을 하는데에는 큰 문제가 없습니다. 당장 저도 수학과 굉장히 안 친하지만 공학박사거든요. 선배들이 만들어놓은 수학적 업적을 가져다 쓰는 걸로도 차고 넘치니까요.
하지만 수학을 잘 못해도 공학을 하는데에는 큰 문제가 없습니다. 당장 저도 수학과 굉장히 안 친하지만 공학박사거든요. 선배들이 만들어놓은 수학적 업적을 가져다 쓰는 걸로도 차고 넘치니까요.
공간감각 언어감각 뇌기능 때문에 남녀가 유리하고 그랬던것 같습니다.
그런 배경이 있을지언정 이상하게 수학과는 여자가 많았고. 제가 다니던 학교는 물리학도 여자가 절반이었습니다 ㅎㅎ
결국 하기 나름이겠고 문화적 요소가 더 컸지 싶습니다
수학은, 제 식으로 표현하자면 언어입니다.
기존의 언어로는 표현하기 난해한 것을 간단 명료하게 설명해주기 적당한 전문 언어.
수학자는 언어를 연구하는 사람들이고
물리는 언어를 사용해 이론을
공학은 언어를 사용해 실물 구현을.
그러니 수학 물리는 광범위하다면 공학은 포커싱해서 파고들... 더 보기
그런 배경이 있을지언정 이상하게 수학과는 여자가 많았고. 제가 다니던 학교는 물리학도 여자가 절반이었습니다 ㅎㅎ
결국 하기 나름이겠고 문화적 요소가 더 컸지 싶습니다
수학은, 제 식으로 표현하자면 언어입니다.
기존의 언어로는 표현하기 난해한 것을 간단 명료하게 설명해주기 적당한 전문 언어.
수학자는 언어를 연구하는 사람들이고
물리는 언어를 사용해 이론을
공학은 언어를 사용해 실물 구현을.
그러니 수학 물리는 광범위하다면 공학은 포커싱해서 파고들... 더 보기
공간감각 언어감각 뇌기능 때문에 남녀가 유리하고 그랬던것 같습니다.
그런 배경이 있을지언정 이상하게 수학과는 여자가 많았고. 제가 다니던 학교는 물리학도 여자가 절반이었습니다 ㅎㅎ
결국 하기 나름이겠고 문화적 요소가 더 컸지 싶습니다
수학은, 제 식으로 표현하자면 언어입니다.
기존의 언어로는 표현하기 난해한 것을 간단 명료하게 설명해주기 적당한 전문 언어.
수학자는 언어를 연구하는 사람들이고
물리는 언어를 사용해 이론을
공학은 언어를 사용해 실물 구현을.
그러니 수학 물리는 광범위하다면 공학은 포커싱해서 파고들어가 실제 구현하는 방향. 돈과 연결되기 좋은 그런것 아닐까요 ㅎㅎ
그런 배경이 있을지언정 이상하게 수학과는 여자가 많았고. 제가 다니던 학교는 물리학도 여자가 절반이었습니다 ㅎㅎ
결국 하기 나름이겠고 문화적 요소가 더 컸지 싶습니다
수학은, 제 식으로 표현하자면 언어입니다.
기존의 언어로는 표현하기 난해한 것을 간단 명료하게 설명해주기 적당한 전문 언어.
수학자는 언어를 연구하는 사람들이고
물리는 언어를 사용해 이론을
공학은 언어를 사용해 실물 구현을.
그러니 수학 물리는 광범위하다면 공학은 포커싱해서 파고들어가 실제 구현하는 방향. 돈과 연결되기 좋은 그런것 아닐까요 ㅎㅎ
걍 진짜 뜬구름 잡는 소리인데
'추상적/이상적'인 특성이 있는 주제면 반반에 가깝고(특별히 기울진 않고)
'건조한/기계적인' 특성이 있는 주제면 남성 쪽으로 성비가 기운다 봅니다
수학과는 약간 건조하면서도 추상적이고 이상적이라서 아주 성비가 기울진 않고
기계 전자는 이상적 특성 없고 건조하고
물리는 그 중간에 있는 듯
걍 끼워맞추기인데 뭔 느낌인지 다들 아실 것 같아서 끼적여 봄
'추상적/이상적'인 특성이 있는 주제면 반반에 가깝고(특별히 기울진 않고)
'건조한/기계적인' 특성이 있는 주제면 남성 쪽으로 성비가 기운다 봅니다
수학과는 약간 건조하면서도 추상적이고 이상적이라서 아주 성비가 기울진 않고
기계 전자는 이상적 특성 없고 건조하고
물리는 그 중간에 있는 듯
걍 끼워맞추기인데 뭔 느낌인지 다들 아실 것 같아서 끼적여 봄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