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15/10/05 09:12:31
Name   눈부심
Subject   덴마크는 왜 출산률이 적나요?

커플들을 햇볕 짱짱한 곳에 휴가를 보내주면 손주녀석들을 잉태해 올 것이라고 광고하는 덴마트 광고예요.
우리나라는 살기가 팍팍해서 출산률이 적다고 하지만 덴마크같이 행복지수도 엄청 놓고 복지가 잘 되어 있는 나라에선 왜 사람들이 아이를 안 낳을까요?



0


레이드
이 글을 보니 저도 궁금해져서 조금 찾아보니 덴마크에서도 대학교 대학원등을 가는 사람이 점차 많아져서 출산 나이대가 점점 노령화되고 있는 탓이라고 하네요. 그렇지 않은 사람들은 물론 아이들이 있지만 기본적으로 서른쯤 되야 아이를 계획하는 사람이 많은 듯 합니다. 부러운건 덴마크에서는 출산에 관련된 비용이 거의 무료라고 하네요 ㅠㅠ 부럽당..
Beer Inside
우리나라도 출산에 관련된 비용은 무료나 다름없을 정도로 저렴합니다

산후조리원은 한국에만 있는 문화이니 덴마크도 지원하지 않습니다
레이드
?그런가요? 흠... 아 하긴 출산 자체에 대한 비용은 별로 없다고 듣긴 했는데... 산후조리원이 너무 비싸니..ㅠㅠ
Beer Inside
산후조리원도 유사한 서비스를 합친 것으로 보면 생각보다 비싸지 않습니다

숙박 식사 보모 간병을 통합해서 하는 것이라서

필수라고 생각하니 비싸 보일 뿐
눈부심
말씀 듣고 보니 수긍이 가기도 하네요. 미국도 맞벌이 가정의 경우 한국의 영아원이나 유아원에 해당하는 데이케어에 들어가는 비용이 엄청나게 비싸요. 저소득층이 아니면 다들 자비로 감당하는데 풀타임으로 맡기면 한 달에 천불이상이 우습게 나가거든요. 한국이 대체로 어린애들은 키우기가 쉽다고 하시는 것 같더라고요. 우리나라는 초등 들어가면서부터 경쟁이 너무 치열해지다 보니 아이들 키우기가 너무 힘든 것이 가장 큰 단점으로 꼽히는 것 같아요. 결국 너무 치열해진 경쟁사회에서 아이를 키우기가 가장 부담이 되는 것 같아요.
Beer Inside
한국은 어린이집은 정부지원을 제외하고 20만원 정도 더 듭니다.

대략 20만원정도면 아이를 맞길 수 있기 때문에 맞벌이 부부가 아닌 집에서도 아이를 많이 맞기지요.

한국에서 아이를 키우기 힘들다고 하는 이야기는 모두가 같은 경쟁에 뛰어들고, 이로 인한 탈락을 견디지 못하는 사회구조에 있지요.
세인트
개인적으로 한국도 \'출산\' 에 대한 지원은 참 잘 되어 있는 편이라고 생각합니다. 사촌누나, 사촌형 등등 친척 지인들이 최근 몇 년 사이에 외국에서 아이를 가지는 걸 자주 봐와서 더더욱요(원정출산은 아니고 대부분 원래 외국에 거주중이십니다).
다만 출산 그 이후의 비용이... 무엇보다 학업과 육아 비용과 여건이...ㅠㅠ
난커피가더좋아
To enjoy their lives in Denmark, to endure the lives in S.Korea.
레이드
Exactly
침묵의현자
추천
눈부심
일본은 범죄율도 눈에 띄게 낮고 대체로 신뢰를 바탕으로 한 커뮤니티가 많더라고요. 낮은 범죄율이 정말 부러웠어요. 우리나라는 정치만 잘 돼도 살기가 많이 수월해질 거란 생각이 들어요.
절름발이이리
사실 순수하게 살기 힘들어서 출산율이 낮다는건 어폐가 있고(지금이 과거보다 살기가 힘들리는 없으니), 선진국이 되면 출산률은 다 떨어진다고 봐야죠.
1. 도시 환경, 기타 현대 사회화 과정에서 전통적 가치(혼인, 출산등에 대한) 붕괴
2. 여권신장, 여성 사회 진출 증가와 맞물려, 여성에게 출산/육아가 짐이 되는 현상
단 2번에서의 출산률 저하는 과도기(?)적 현상이며, 만일 출산등에 대한 패널티를 사회가 충분히 감당해줄 수 있는 정도로 남녀평등이 개선 된다면 다시 약간 끌어올릴 수도 있다..는 주장이 있는 정도입니다. 아직 완전한 남녀평등을 이룩한 국가는 없으니 말이 안되는 건 아닌데, 그렇다 해도 이미 떨어진 것에서 올려봐야 아주 확연한 차이가 발생할 수준은 아닐거라 봅니다. 결국 1번이 핵심이죠.
눈부심
여권신장 말씀하셔서 생각났는데 일베를 통한 여성비하가 한국의 남녀차별악화를 반영하는 것이 아니라 여권신장으로 인해 여성에 반감을 가지는 가지는 남성이 자연스럽게 형성된 건 아닐까란 생각을 해봤어요. 8-90년대 쇼프로만 봐도 남자 진행자는 인물 하나도 안 봤어요. 그래서 남자는 인물이 보통 길거리에서 볼 수 있는 평범남인데 여자들은 다들 예뻤거든요. 그런데 이제는 일찌감치 꽃미남이나 짐승남이 대세가 됐잖아요. 이게 옛날보다는 나아진 여성의 파워가 반영된 현상인 것 같더라고요. 이젠 호감도 상위층에 속하는 여성을 차지하려면 돈만 많아... 더 보기
여권신장 말씀하셔서 생각났는데 일베를 통한 여성비하가 한국의 남녀차별악화를 반영하는 것이 아니라 여권신장으로 인해 여성에 반감을 가지는 가지는 남성이 자연스럽게 형성된 건 아닐까란 생각을 해봤어요. 8-90년대 쇼프로만 봐도 남자 진행자는 인물 하나도 안 봤어요. 그래서 남자는 인물이 보통 길거리에서 볼 수 있는 평범남인데 여자들은 다들 예뻤거든요. 그런데 이제는 일찌감치 꽃미남이나 짐승남이 대세가 됐잖아요. 이게 옛날보다는 나아진 여성의 파워가 반영된 현상인 것 같더라고요. 이젠 호감도 상위층에 속하는 여성을 차지하려면 돈만 많아선 안 되고 인물좋고 집안도 좋게 매너까지 좋아야 하니 경쟁이 더욱 힘들어진거죠. 여성들도 마찬가지고요. 물론 우리 사회에서 남녀 간 차별이 의미있게 존재하지만 남녀 간의 파워격차보다는 재화와 외모에서 상위를 차지하는 남녀와 그렇지 못한 남녀의 격차가 많이 벌어진 거란 생각이에요. 결국 전체적인 빈부차와도 연결이 되는 것 같아요. 게다가 저출산이 여성의 지위를 자연스럽게 끌어오리는 역할을 한다고 하더라고요. 말 되는 것 같아요. 많은 경우 답은 결국 경제더라고요.
절름발이이리
말씀하신 시각을 잘 정리한 기사가
http://www.sisainlive.com/news/articleView.html?idxno=24291
인데, 사실 논리적으로 좀 실수한 영역이 많은 기사긴 하지만 어쨌건 어느 정도의 타당성이 있죠.
눈부심
오..기사 재밌네요.
realise
뻘생각인데,
인간이 출산에 대한 자유를 얻은 게 고작 100년이 채 안되어서 인간이 출산보다 다른 생존 기재를 우선하는 바람에 출산율 저하가 일어나는데.
진화의 관점으로 보면 결국 몇대 안 가서 출산율은 원상복귀하겠죠?
자녀를 가지고 싶어 하지 않는 유전자는 다 도태되어 버릴테니 말이죠...
눈부심
그것도 말씀이 되네요. 그리고 경쟁이 심하지 않던 옛날에는 가난함에도 애들을 쑴풍쑴풍 낳은 거 보면 적자생존의 스트레스가 덜해지면 다시 많이들 낳을 것 같아요. 경쟁이란 건 인간에게 견딜 수 없는 공포인가 봐요.
유전자 수준에서의 자녀를 가지고 싶은 정도의 차이가

의식 수준에까지 영향을 미칠까 해보면 아주 높은 상관관계가 있을 것 같지는 않습니다.

오히려 다른 사회적 영향력이 더 클 것 같아요.
엄마곰도 귀엽다
출산이나 산후조리 이런건 그렇게 비용이 많이 들지 않아요.
가진만큼의 한도 내에서 해결할 수 있는 시스템이죠.
다른 모든 일들과 마찬가지로.
휘슬러 냄비 하나에 70만원 주고 사서 쓰는 사람도 있지만
해피콜 냄비 5종세트 15만원도 좋다며 쓰는 사람도 있듯이
출산과 출산ᆞ육아용품도 돈 있음 비싼거 사고
돈 없음 없는대로 싼거 사고 물려받고 그러면서 잘 키울수 있어요.
우리나라가 아기 키우기 힘든건 사교육과 스펙경쟁 이런거 때문에 한 아이에게 올인해도 될까말까하다는 불안감 때문인거 같아요.

덴마크가 출산률이 적은 ... 더 보기
출산이나 산후조리 이런건 그렇게 비용이 많이 들지 않아요.
가진만큼의 한도 내에서 해결할 수 있는 시스템이죠.
다른 모든 일들과 마찬가지로.
휘슬러 냄비 하나에 70만원 주고 사서 쓰는 사람도 있지만
해피콜 냄비 5종세트 15만원도 좋다며 쓰는 사람도 있듯이
출산과 출산ᆞ육아용품도 돈 있음 비싼거 사고
돈 없음 없는대로 싼거 사고 물려받고 그러면서 잘 키울수 있어요.
우리나라가 아기 키우기 힘든건 사교육과 스펙경쟁 이런거 때문에 한 아이에게 올인해도 될까말까하다는 불안감 때문인거 같아요.

덴마크가 출산률이 적은 이유는 저도 윗분들과 같은 생각입니다
눈부심
피터지는 경쟁만큼 사람을 우울하게 하는 건 없는 것 같아요. 저는 어른이어서 가장 좋은 점을 꼽으라면 중간고사, 기말고사 이런 거 안 봐서 너무 좋아요.
단디쎄리라
중간고사 공부하다가 딴짓하느라 질게 정독하고 있었는데..
이 댓글 보고 공부하러 갑니다 ㅠㅠㅠ
눈부심
곧 시험없는 날이 올 거예요 ㅠㅠ
2막4장
그날이 와도 시험이 그립진 않더라구요 흐흐
돈 맛을 알아서 그른가...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25 IT/컴퓨터휴대폰 초기화 질문입니다 1 헬리제의우울 15/10/01 4780 0
326 IT/컴퓨터변경한 ip 주소 확인 어떻게 하나요? 5 오즈 15/10/02 4094 0
327 가정/육아낙지를 어떻게 하면 안 잔인하게 죽일 수 있을까요 12 王天君 15/10/02 11222 0
328 여행순천/여수 2박3일로 여행을 가려고 하는데요. 일정 좀 봐주세요 ^^ 12 여유의미학 15/10/02 4693 0
329 여행오사카 질문입니다 3 ORIFixation 15/10/02 4097 0
330 게임온라인게임 추천 해주세요! 12 얼그레이 15/10/02 3771 0
331 기타신용카드 추천 부탁드립니다. 7 Tikas 15/10/02 3965 0
332 기타첫 차 구입관련 질문입니다 7 줄리아 15/10/03 3390 0
333 문화/예술갑자기 피아노가 땡깁니다. 10 바코드 15/10/03 4006 0
334 기타덴마크는 왜 출산률이 적나요? 23 눈부심 15/10/05 5715 0
335 IT/컴퓨터포토샵 & 일러스트레이터. 9 침묵의현자 15/10/05 3554 0
336 연애소개팅 질문입니다 4 necrosis 15/10/05 5550 0
337 게임스1 테란의 스캔은 너무 사기 아닐까요 20 王天君 15/10/05 10843 0
338 문화/예술에반게리온 서 국내 관객수의 정확한 기록이 어떻게 되나요? 7 西木野真姫 15/10/05 3763 0
339 IT/컴퓨터SSD,RAM 질문입니다. 2 삼성그룹 15/10/07 4839 0
340 게임[하스스톤]뭔가 재미있는 게임을 위해 만들 전설 없을까요? 7 쉬군 15/10/07 3942 0
341 IT/컴퓨터CSS 질문입니다..! 4 얼그레이 15/10/08 3072 0
342 IT/컴퓨터개인 도메인을 사용하는 네이버 블로그에 접속이 안됩니다. 라싸 15/10/11 4671 0
343 기타아기가 충전기를 입에 넣어서 감전 당했어요 ㅠ 22 엄마곰도 귀엽다 15/10/11 19146 0
344 의료/건강천식 완치하신 분들 어떻게 완치하셨나요? (매우 괴로워요.) 16 류세라 15/10/12 7164 0
345 기타이거 뭐가 문제인가요??.jpg 5 김치찌개 15/10/13 3744 0
346 기타flickr 질문입니다 5 김치찌개 15/10/13 3020 0
347 IT/컴퓨터리눅스 종료후 프리징 문제입니다. 삼성그룹 15/10/13 4316 0
348 문화/예술영화 질문입니다. 5 새벽 15/10/13 4703 0
349 IT/컴퓨터게이밍 노트북, Y50과 alienware 15중 어느것이 좋을까요? (+T450은 어떨까요?) 4 atcg 15/10/13 3482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