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18/01/04 12:50:22
Name   Algomás
Subject   니체 읽어보고 있습니다.
출판사 책향기.

급 철학에 관심을 갖게되어 동양철학 서양철학 가리지 않고 읽어보겠노라 마음먹고 도전해 봤습니다.

니체 어렵네요... 배경지식은 그래도 있는 편이라고 생각했습니다. 세계사는 매우 잘 안다고 생각하고. 사상사는 단편적인 조각들이 많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래서 "일단 뭐가 되었든 1독은 해보자" 라는 심정으로 무작정 부딪혀 봤는데.

니체에 대한 배경지식의 부족과, 기존 철학에 대한 개념근거 부족때문인지, 혹은 제가 읽는 번역본의 문제인지.

읽는 내내 어렴풋이 와닿는 지점이 있고. 가끔은 아하! 싶은 부분도 있지만. 대게의 경우는 이게 뭔소린고... 하며 읽고 페이지 넘기기에 바쁩니다.

한 구문을 적어보자면.

신은 죽었다. 하이데거의 논문 발표분입니다.

이제, 그리고 발 위에서 말한 진리의 여러 본질로부터의 어떤 깊은 역사적 유래에서,
진리란 <권력에의 의지>가 자기 자신을 의욕할 수 있는 터전인 일정한 테두리의 존립을 고정화하는 보장이다.

아 이게 도대체 무슨 소리입니까.. 우선 글을 토막내서 이해하려 해도. 발? 의 의미가 분명 이 글의 맥락속에 숨어있는것 같은데. 아직은 찾지 못하겠고
의욕할 수 있는 터전. 이것은 권력을 추구 할 수 있는 추구 하는 그 배경? 발판? 으로 대강 이해했습니다. 근데 그 다음. 터전인 일정한 테두리의 존립을 고정화하는 보장이다. 무슨 암호를 읽는 기분..

제가 조급하게 니체를 이해하려고 하는것일수 있습니다. 그러나. 정말 이해가 가지를 않습니다. ㅠㅠ

니체를 읽는 팁을 알려주실 수 있을까요?

넋두리 해봤습니다...



0


월화수목김사왈아수정됨
니체 어렵죠...니체 논문이나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이런거도 좋지만, 국내에 해설서 많이 있어요. 좌우 안가리고 묘하게 니체 좋아하는 분들이 많아서ㅋ 연구공간 수유너머의 이수영씨가 쓴 명랑철학이라는 해설서 추천드립니다. 이 분 니체만 열심히 파는 분이에요.

'진리란 <권력에의 의지>가 자기 자신을 의욕할 수 있는 터전인 일정한 테두리의 존립을 고정화하는 보장이다.'

권력에의 의지를 돈버는 이유로 생각해보자면, 현재 내가 살만큼만 벌면 됩니다. 하지만 실제론 그 이상을 벌기위해 노력하죠. 이를 니체는 사람... 더 보기
니체 어렵죠...니체 논문이나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이런거도 좋지만, 국내에 해설서 많이 있어요. 좌우 안가리고 묘하게 니체 좋아하는 분들이 많아서ㅋ 연구공간 수유너머의 이수영씨가 쓴 명랑철학이라는 해설서 추천드립니다. 이 분 니체만 열심히 파는 분이에요.

'진리란 <권력에의 의지>가 자기 자신을 의욕할 수 있는 터전인 일정한 테두리의 존립을 고정화하는 보장이다.'

권력에의 의지를 돈버는 이유로 생각해보자면, 현재 내가 살만큼만 벌면 됩니다. 하지만 실제론 그 이상을 벌기위해 노력하죠. 이를 니체는 사람이 죽음을 초월하여 존재하기 위해서라고 봅니다.
더 많은 돈을 벌기위해 사회시스템이 만들어지고 국가가 만들어집니다. 점차 규모가 커질수록 이를 안정화시킬 근거가 필요해지는데 그게 진리입니다. 진리는 의심의 여지없이 따라야하는 룰이거든요.
그런데 국가는 다른 국가에 의해서 깨질수있는 존재입니다. 즉 영원불멸한 존재가 아니라는거죠. 그래서 반란따위의 내적으로도 부서질 수 있습니다. 그러면 지금의 나라는 깨져도 되느냐? 그렇다는거죠.
여기서 내가 깨겠다고 하면 히틀러되는거고, 우리모두가 깨자고하면 종북좌익인거고, 내가 사실은 초인이다 주장하면 변희재 친구 박성현되고 그런거죠.
1
Algomás
와닿는 예시 감사합니다. 친절한 해설이 필요한 거였어 ㅠㅠ
니체는 문장 하나하나 다 따박따박 이해하려고 들면 미쳐버려요 연구할거 아니면 해설서 앞에 둬야함
1
Algomás
일단 큰 개념부터 잡는것을 목표로 두어야겠네요
구밀복검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111181946245

칼럼 기사에 불과하지만 니체 이론의 관점은 분명하게 서술되어 있습니다.
이외에 서울대 철학 사상 연구소에서 낸 해설서들이 PDF화 된 게 몇 개 있습니다.
http://philinst.snu.ac.kr/html/menu6/extra_number.php?page=4&category=&sele=wr_2&stx=
Algomás
링크 감사합니다.
구밀복검
별개로 저 부분에 대해 나름대로 해석해보자면
잘 알려져 있다시피 니체에게 있어 존재자의 본질은 '힘에의 의지'입니다. 통속화의 위험이 있긴 하지만 이걸 굳이 피부에 닿게 말하자면 이것은 '자존, 독존, 자긍, 자기입증, 존재가치 증명' 등에 대한 의지라고 치환할 수 있죠. 근데 자기자신을 증명한다는 것은 확장동기와 무관하지 않으며, 이것은 자기자신 바깥을 지향할 수밖에 없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존재자는 세계를 바라볼 표준적인 가치 기준이 필요하지요. 이렇게 자기 자신을 지탱하고 입증해줄 절대적인 토대를 원하고 바라면서 설정... 더 보기
별개로 저 부분에 대해 나름대로 해석해보자면
잘 알려져 있다시피 니체에게 있어 존재자의 본질은 '힘에의 의지'입니다. 통속화의 위험이 있긴 하지만 이걸 굳이 피부에 닿게 말하자면 이것은 '자존, 독존, 자긍, 자기입증, 존재가치 증명' 등에 대한 의지라고 치환할 수 있죠. 근데 자기자신을 증명한다는 것은 확장동기와 무관하지 않으며, 이것은 자기자신 바깥을 지향할 수밖에 없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존재자는 세계를 바라볼 표준적인 가치 기준이 필요하지요. 이렇게 자기 자신을 지탱하고 입증해줄 절대적인 토대를 원하고 바라면서 설정하면 그게 진리가 됩니다. 이러한 진리는 세계와 부합하지 않습니다. 오로지 존재자의 자기긍정을 위한 수단일 뿐이죠. [진리란 <권력에의 의지>가 자기 자신을 의욕할 수 있는 터전인 일정한 테두리의 존립을 고정화하는 보장]이라는 문장이 이런 맥락입니다. 존재자는 자기자신의 존재 근거를 확립하고 위해 진리를 베이스로서 믿을 구석으로서 밑바탕에 깔고 간다는 것이죠. 그렇게 안심하고서 자기 존재를 증명하기 위한 여정을 이어갈 수 있게 되는 거고요.
Algomás
아 와닿았습니다. 단어에 치중하지 않고 맥락적인 해석으로 다가가봐야겠네요. 친절한 풀이 감사합니다 ^^
발타자르
일상인 기준에서 니체 읽기의 의미를 잘 짚어 주는 책이라면 고병권 선생 책들이 괜찮을 거예요. 다만 근작 중 <다이너마이트 니체>는 책이 너무 못생겨서 권하고 싶지 않은...
Algomás
참고하겠습니다
도덕의 계보부터 읽으세요. 그리고 개괄서나 해설서보다는 그냥 원전으로 읽는 걸 전 추천드리고 싶어요. 지금 읽으시는 책이 어렵다면, 같은 저자의 다른 책들 중 보다 이해할만한 걸 먼저 읽는 식으로요. 그럼에도 이해하기 어렵다면 아예 안 읽는 게 낫다고 전 생각하고요. 인문학 저술을 읽을때 어렵다는 건 지혜나 지식이 부족해서가 아니라, 저자의 문제 설정을 독자가 받아들이지 못해서가 많거든요. 반대로 그 문제 설정만 납득한다면 어려운 개념어나 비문 투성이 문장도 큰 부담으로 다가오지 않아요. 그리고 이런 사람이야말로 그 책을 읽어야할 사람이겠죠. 그렇지 않다면 지적 유희에 그칠 뿐인데... 지적 유희가 나쁠 건 없지만 그 같은 독서가 유희가 되기까지 유희만은 아닐 공부가 요구될 겁니다. 전 모든 사람이 이런 지적 수행이 필요로 한다고 생각하지 않아요.
Algomás
가볍게 다가간 것은 사실이지만, 평소 사회이슈를 볼 때에 저 만의 시선이 없다는 것을 느낀 이후로 시각과 지식 저변을 넓히기 위해 도전해보는 중입니다. 뼈있는 충고 고맙습니다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4684 철학/종교동일성은 어디에 있는가? 20 Danial Plainview 18/05/24 4294 1
4627 철학/종교여러분의 삶의 이유는 무엇인가요? 28 [익명] 18/05/14 2851 0
4255 철학/종교성추행을 피하기 위한 방법으로 팬스룰이 아닌 다른 방법은 어떤게 있을까요? 36 보리건빵 18/03/07 7282 0
4114 철학/종교인간의 소소한 욕망의 근원은 무엇일까요? 9 [익명] 18/02/07 2416 0
4022 철학/종교리디북스 포인트가 좀 남아서 책을 사고싶습니다.. 3 개백정 18/01/18 3533 0
3939 철학/종교니체 읽어보고 있습니다. 12 Algomás 18/01/04 5532 0
3423 철학/종교고2 윤리 집단윤리 니부어 선의지 8 초이 17/09/25 4665 0
3199 철학/종교마음을 다스리고 의연해야 할 때 5 [익명] 17/08/13 2748 0
2850 철학/종교. 1 [익명] 17/06/01 2687 0
2668 철학/종교이슬람 여성들은 왜 히잡을 쓸까요 8 초이 17/04/16 8024 0
2535 철학/종교사르트르는 말만 번지르르한 사람일까요 3 legrand 17/03/20 4816 0
2282 철학/종교시니컬 vs Jaded 13 Liebe 17/02/09 6353 0
2077 철학/종교푸코는 어떤 학자인가요? 31 헤칼트 17/01/11 5100 0
1980 철학/종교왜 살아야 할까요? 23 OPTIK 16/12/27 4857 0
1964 철학/종교강아지 분양에 대해서 질문 올려봅니다 4 흰둥몬 16/12/23 4537 0
1305 철학/종교이슬람 전반에 대해서 어떤 인식을 가지는 게 좋을까요? 22 전기공학도 16/07/19 5313 0
1219 철학/종교밀크티추천부탁드려요 8 차우차우 16/06/24 5313 0
893 철학/종교철알못의 철학 질문입니다. 8 새벽 16/03/09 5014 0
849 철학/종교오세훈의 입지는 갑자기 왜 상승한거죠? 8 Arsene 16/02/20 5091 0
817 철학/종교철학, 과학적으로 주요한 개념어들에 대한 고찰이 있는 책 없나요? 5 하늘밑푸른초원 16/02/09 4560 0
764 철학/종교교회가면 분위기가 어떤가요? 10 스키너 16/01/24 7528 1
689 철학/종교책 추천 부탁드립니다.(라캉 들뢰즈 관련) 20 오렌지플래닛 16/01/04 7642 0
632 철학/종교신약의 역사적 가치? 7 Last of Us 15/12/19 4429 0
480 철학/종교철학과 경영학 7 [익명] 15/11/15 3662 0
417 철학/종교혹시 성선설 vs 성악설은 결론이 난 주제인가요? 10 Lionel Messi 15/11/04 5681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