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 15/11/06 19:04:57 |
Name | April_fool |
Subject | MRI 관련 질문입니다. |
배경 설명 : 그리고 약 1달 전, 할아버지께서 A병원에서 복부 CT와 머리 MRI 등을 촬영하셨습니다. 복부 CT는 별 문제 없다고 들었고, 머리 MRI에서는 오래된 것으로 보이는 뇌경색을 발견하였다고 합니다. 할아버지께서는 A병원 신경과에 입원하셨다가, 오늘 퇴원하셨습니다. 위암 수술을 받았던 B병원 쪽에서는 수술받은 지 6개월 되는 때인 10월경에 CT 등의 검사를 하자고 했었습니다. 근데 할아버지께서 A병원에 입원하시면서, CT 검사도 A병원에서 받으셨습니다. 그래서 오늘 할아버지께서 퇴원하는 길에, 제가 A병원의 의료영상정보 CD를 받아다가 B병원에 갖다주었습니다. 근데 이 과정에서 궁금증이 생기더군요. 질문 :
0
이 게시판에 등록된 April_fool님의 최근 게시물
|
1. 저정도 파편이면 MRI 찍는게 좀 안좋을 수도 있긴 있었을텐데 용케 잘 찍으셨네요.
2. 금속으로 인한 아티팩트 맞습니다. (Ferromagnetic artifact) 글쎄요 저 정도 큰거면 사실 저 부분의 data 로스가 심하죠. 그래도 위의 이미지가 아래 이미지보다 상대적으로 아티팩트가 적습니다. 위쪽이 Spin echo기법 (아마 T2 FSE) 아래쪽이 Gradient Echo 기법같고 아래쪽 기법이 더 금속에 대한 영향이 큽니다. MRA서는 left MCA occlusion인데 아마 다른 동맥에서 혈류공급이 되어서 경색은 없어 보입니다.
2. 금속으로 인한 아티팩트 맞습니다. (Ferromagnetic artifact) 글쎄요 저 정도 큰거면 사실 저 부분의 data 로스가 심하죠. 그래도 위의 이미지가 아래 이미지보다 상대적으로 아티팩트가 적습니다. 위쪽이 Spin echo기법 (아마 T2 FSE) 아래쪽이 Gradient Echo 기법같고 아래쪽 기법이 더 금속에 대한 영향이 큽니다. MRA서는 left MCA occlusion인데 아마 다른 동맥에서 혈류공급이 되어서 경색은 없어 보입니다.
스캔이 제한적이기도 하고 제가 진료한 의사도 아니니 뭐라 말하긴 어렵지만 큰 경색/중풍은 없어보입니다. (근데 절반도 커버 안되서 말하기가 좀 거시기하네요.)
MR의 위험성은 MR 자체가 큰 초전도체 전자석이고 자연계에서 없는 강한 자성이 걸려 있습니다. 보통 의료용으로 쓰는 금속 재질들은 자성영향이 덜받거나 확인된 재료로 쓰지만 저런 금속은 그런 걸 알수가 없지요. 그래서 MR찍으면 금속파편이 움직이는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습니다. 제가 경험한걸로는 아주 옛날에 골반수술한 금속재료가 몸 밖으로 튀어 나온 끔찍한 사고.. 그리고 전공의때 산소통을 가지고 들어갔다가 기계에 붙어서 결국 전원내린 사고가 기억나네요.
MR의 위험성은 MR 자체가 큰 초전도체 전자석이고 자연계에서 없는 강한 자성이 걸려 있습니다. 보통 의료용으로 쓰는 금속 재질들은 자성영향이 덜받거나 확인된 재료로 쓰지만 저런 금속은 그런 걸 알수가 없지요. 그래서 MR찍으면 금속파편이 움직이는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습니다. 제가 경험한걸로는 아주 옛날에 골반수술한 금속재료가 몸 밖으로 튀어 나온 끔찍한 사고.. 그리고 전공의때 산소통을 가지고 들어갔다가 기계에 붙어서 결국 전원내린 사고가 기억나네요.
1. 자성이 없으면 찍을 수 있습니다. 치과 치료를 받거나 인공관절같은 걸 삽입한 경우가 대표적인데 어떤 상품을 썼냐에 따라 갈리고... 보통 모르겠으면 안 찍는게 일반적인데 상황에 따라서는 직접 자석을 대보거나 아니면 고정이 잘 되어있는지 같은 걸 보고 찍기도 합니다.
2. 프로그래밍하기에 따라 다릅니다. 지금 영상에서 보이는 패턴은 굉장히 일반적인 상황이고 크기가 크기 때문에 혼동의 여지가 별로 없습니다. 저 정도 신호 감쇠와 아티팩트가 발생하면 스캔 전체 혹은 포함 부위를 전부 null처리해버리면 됩니다. 딴 거보다 경계선이 잘 나오는 아티팩트라서 코딩 난이도도 높지 않은 편이고...
2. 프로그래밍하기에 따라 다릅니다. 지금 영상에서 보이는 패턴은 굉장히 일반적인 상황이고 크기가 크기 때문에 혼동의 여지가 별로 없습니다. 저 정도 신호 감쇠와 아티팩트가 발생하면 스캔 전체 혹은 포함 부위를 전부 null처리해버리면 됩니다. 딴 거보다 경계선이 잘 나오는 아티팩트라서 코딩 난이도도 높지 않은 편이고...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