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 15/11/12 17:28:43 |
Name | kpark |
Subject | 회계에 대한 지식이 얼마나 쓸모있을까요? |
질문 글 대환영이란 글을 보고 생각나서... 저는 회계학이나 경제쪽 지식이 거의 없어요. 고등학교 1학년때 사회 과목에서 경제쪽 배운거랑 경제학개론 들은게 경제 관련 공부의 전부에요. 학점도 별로 안 좋았고 그래서 회계 관련 지식이 전무하다시피합니다. 재무재표는 당연히 볼줄 모르고 주식 많이하는 분들이 기업 분석하는거 보면 신기해서 능력자 보듯이 쳐다봐요. 근데 아마 다들 그런거 하나쯤은 있으실거 깉아요. 그래도 세상 어떻게 돌아가는지는 알아야지, 대충은 알아야 최소한 재테크나 저축하는데, 내집마련할 타이밍 잡는데 도움되지 이런 생각? 아 저만 그런가요? 여하튼 이런 생각이 있다보니 언젠가 경제학 관련 공부를 하면 도움이 되지 않을까 싶기도 한데, 내가 뭘 모르는지도 모르는 상황이라 어떻게 시작해야 할지도 모르겠고. 그래서 처음으로 돌아가서 이런 고민 자체가 쓸데없는건지가 궁금합니다. 질문이 너무 난해한가요? 흐흐 0
이 게시판에 등록된 kpark님의 최근 게시물
|
고등학교 때 경제 좀 배우고, 대학교 때, 경제학 개론(이라지만 고등학교 때가 훨씬 하드코어하게 배운;;) 정도 배우고 아무것도 모르던 쪽인데..
회계라는 게 많이 알수록 투자에 도움이 되는 것도 사실인데, 그렇다고 또 전부도 아니더군요.
회계사가 일반인보다 투자에 더 좋은 조건인 건 맞는데, 그렇다고 모든 회계사가 주식투자를 하면 다 잘하느냐 라면 그것도 아니거든요 흐흐
굳이 비유를 하자면, 스타나 워3같은 게임 한창 인기 끌 때, 막 유닛별 상성을 수치까지 다 외우고 읊어댈 정도로 잘 아는 애들이 있는데,
정... 더 보기
회계라는 게 많이 알수록 투자에 도움이 되는 것도 사실인데, 그렇다고 또 전부도 아니더군요.
회계사가 일반인보다 투자에 더 좋은 조건인 건 맞는데, 그렇다고 모든 회계사가 주식투자를 하면 다 잘하느냐 라면 그것도 아니거든요 흐흐
굳이 비유를 하자면, 스타나 워3같은 게임 한창 인기 끌 때, 막 유닛별 상성을 수치까지 다 외우고 읊어댈 정도로 잘 아는 애들이 있는데,
정... 더 보기
고등학교 때 경제 좀 배우고, 대학교 때, 경제학 개론(이라지만 고등학교 때가 훨씬 하드코어하게 배운;;) 정도 배우고 아무것도 모르던 쪽인데..
회계라는 게 많이 알수록 투자에 도움이 되는 것도 사실인데, 그렇다고 또 전부도 아니더군요.
회계사가 일반인보다 투자에 더 좋은 조건인 건 맞는데, 그렇다고 모든 회계사가 주식투자를 하면 다 잘하느냐 라면 그것도 아니거든요 흐흐
굳이 비유를 하자면, 스타나 워3같은 게임 한창 인기 끌 때, 막 유닛별 상성을 수치까지 다 외우고 읊어댈 정도로 잘 아는 애들이 있는데,
정작 게임은 잘 못하는 경우가 수두룩하죠;; 물론, 고수들은 당연히 상성을 알고 그에 따르는 유닛 구성을 바꾸지만, 위에 언급한 애들처럼 막 세세하게 까진 몰라도
잘 하는 사람들은 잘 하거든요.
물론, 가치 투자하시는 분들 중에는 고수분들은 정말 회계사 이상의 지식과 인맥을 가지고 엄청난 노력과 투자를 하시더군요
회계라는 게 많이 알수록 투자에 도움이 되는 것도 사실인데, 그렇다고 또 전부도 아니더군요.
회계사가 일반인보다 투자에 더 좋은 조건인 건 맞는데, 그렇다고 모든 회계사가 주식투자를 하면 다 잘하느냐 라면 그것도 아니거든요 흐흐
굳이 비유를 하자면, 스타나 워3같은 게임 한창 인기 끌 때, 막 유닛별 상성을 수치까지 다 외우고 읊어댈 정도로 잘 아는 애들이 있는데,
정작 게임은 잘 못하는 경우가 수두룩하죠;; 물론, 고수들은 당연히 상성을 알고 그에 따르는 유닛 구성을 바꾸지만, 위에 언급한 애들처럼 막 세세하게 까진 몰라도
잘 하는 사람들은 잘 하거든요.
물론, 가치 투자하시는 분들 중에는 고수분들은 정말 회계사 이상의 지식과 인맥을 가지고 엄청난 노력과 투자를 하시더군요
재테크 하는 데(즉 개인이 투자해서 자산 불리는데) 쓸모 있냐고 물어보시면...
회계학이든 경제학이든 그냥 일반적으로는 쓸모 없다고 봐야 됩니다.
회계학은 진짜 극단적으로 간단하게 말하면, 수익과 비용, 자산을 계산하는 법입니다. 수많은 회계 기법들도 다 수익을 얼마나 내고, 자산이 얼마나 늘었는지 딱 이거 계산하는 기법이에요.
그리고 일반적으로 저 내용은 회계사들이 다 계산해서 올려 주죠 -0-... 뭐 직접 사업체를 경영하시는 분이라면 필요할지도 모르겠습니다만 그런 것도 아니실테고.
절름발이이리님 말대로 교양서... 더 보기
회계학이든 경제학이든 그냥 일반적으로는 쓸모 없다고 봐야 됩니다.
회계학은 진짜 극단적으로 간단하게 말하면, 수익과 비용, 자산을 계산하는 법입니다. 수많은 회계 기법들도 다 수익을 얼마나 내고, 자산이 얼마나 늘었는지 딱 이거 계산하는 기법이에요.
그리고 일반적으로 저 내용은 회계사들이 다 계산해서 올려 주죠 -0-... 뭐 직접 사업체를 경영하시는 분이라면 필요할지도 모르겠습니다만 그런 것도 아니실테고.
절름발이이리님 말대로 교양서... 더 보기
재테크 하는 데(즉 개인이 투자해서 자산 불리는데) 쓸모 있냐고 물어보시면...
회계학이든 경제학이든 그냥 일반적으로는 쓸모 없다고 봐야 됩니다.
회계학은 진짜 극단적으로 간단하게 말하면, 수익과 비용, 자산을 계산하는 법입니다. 수많은 회계 기법들도 다 수익을 얼마나 내고, 자산이 얼마나 늘었는지 딱 이거 계산하는 기법이에요.
그리고 일반적으로 저 내용은 회계사들이 다 계산해서 올려 주죠 -0-... 뭐 직접 사업체를 경영하시는 분이라면 필요할지도 모르겠습니다만 그런 것도 아니실테고.
절름발이이리님 말대로 교양서 수준으로 뭐 서점에 있는 거 보시면 저도 괜찮다고 생각하구요. 이제 여기서 좀 더 전문적으로 해 보고 싶다면 회계원리, 중급회계, 재무관리 같은 전공서적을 보셔야겠죠.(근데 회계원리는 좀 완전 비추인데, 경제학 원론은 재미로 읽기에도 꽤나 괜찮다고 봅니다. 맨큐나, 이준구 저나) 사실 근데 회계는 더 하고 싶은 생각 안 드실 겁니다 -0-;;;;; 재테크라 하시면 간단한 현재가치 계산, 미래가치 계산, 연금 계산법 정도는 알아두시면 괜찮을 것 같기도 하네요.
아 근데 이 건 확실히 있습니다.
진짜 간략하게만 알고 계셔도, 지인, 가족 등의 영업맨들한테 낚여서 눈탱이 맞는 일은 없을 겁니다.
왜냐하면 영업하는 사람 대부분이 그 간략한 지식조차 없거든요.
회계학이든 경제학이든 그냥 일반적으로는 쓸모 없다고 봐야 됩니다.
회계학은 진짜 극단적으로 간단하게 말하면, 수익과 비용, 자산을 계산하는 법입니다. 수많은 회계 기법들도 다 수익을 얼마나 내고, 자산이 얼마나 늘었는지 딱 이거 계산하는 기법이에요.
그리고 일반적으로 저 내용은 회계사들이 다 계산해서 올려 주죠 -0-... 뭐 직접 사업체를 경영하시는 분이라면 필요할지도 모르겠습니다만 그런 것도 아니실테고.
절름발이이리님 말대로 교양서 수준으로 뭐 서점에 있는 거 보시면 저도 괜찮다고 생각하구요. 이제 여기서 좀 더 전문적으로 해 보고 싶다면 회계원리, 중급회계, 재무관리 같은 전공서적을 보셔야겠죠.(근데 회계원리는 좀 완전 비추인데, 경제학 원론은 재미로 읽기에도 꽤나 괜찮다고 봅니다. 맨큐나, 이준구 저나) 사실 근데 회계는 더 하고 싶은 생각 안 드실 겁니다 -0-;;;;; 재테크라 하시면 간단한 현재가치 계산, 미래가치 계산, 연금 계산법 정도는 알아두시면 괜찮을 것 같기도 하네요.
아 근데 이 건 확실히 있습니다.
진짜 간략하게만 알고 계셔도, 지인, 가족 등의 영업맨들한테 낚여서 눈탱이 맞는 일은 없을 겁니다.
왜냐하면 영업하는 사람 대부분이 그 간략한 지식조차 없거든요.
<재무재표>가 아니라 <재무제표>가 정확한 용어입니다.
이론적으로 기업가치(주식가치)를 평가하는 가장 우월한 방법은 DCF법(현금흐름할인법)으로
특정기업의 장래 현금흐름을 추정하고 이를 할인율(자본비용)로 할인하는 방법으로 기업가치를 산출합니다.
특정기업의 장래 현금흐름을 추정하는데 가장 기초적인 작업은 그 기업의 과거 현금흐름 실적을 보는 것입니다.
재무제표는 기업 과거 실적을 복식부기 원리에 따라 기록한 것으로 이러한 재무제표를 이해하기 위해서 회계지식이 필요하게 됩니다.
회계지식을 익... 더 보기
이론적으로 기업가치(주식가치)를 평가하는 가장 우월한 방법은 DCF법(현금흐름할인법)으로
특정기업의 장래 현금흐름을 추정하고 이를 할인율(자본비용)로 할인하는 방법으로 기업가치를 산출합니다.
특정기업의 장래 현금흐름을 추정하는데 가장 기초적인 작업은 그 기업의 과거 현금흐름 실적을 보는 것입니다.
재무제표는 기업 과거 실적을 복식부기 원리에 따라 기록한 것으로 이러한 재무제표를 이해하기 위해서 회계지식이 필요하게 됩니다.
회계지식을 익... 더 보기
<재무재표>가 아니라 <재무제표>가 정확한 용어입니다.
이론적으로 기업가치(주식가치)를 평가하는 가장 우월한 방법은 DCF법(현금흐름할인법)으로
특정기업의 장래 현금흐름을 추정하고 이를 할인율(자본비용)로 할인하는 방법으로 기업가치를 산출합니다.
특정기업의 장래 현금흐름을 추정하는데 가장 기초적인 작업은 그 기업의 과거 현금흐름 실적을 보는 것입니다.
재무제표는 기업 과거 실적을 복식부기 원리에 따라 기록한 것으로 이러한 재무제표를 이해하기 위해서 회계지식이 필요하게 됩니다.
회계지식을 익히는 것은 개인적으로 생각하기에 외국어를 익히는 것과 매우 유사하다고 생각합니다.
회계 자체가 기업이 이해관계자들에게 기업의 재무정보를 전달하는 수단입니다.
이론적으로 기업가치(주식가치)를 평가하는 가장 우월한 방법은 DCF법(현금흐름할인법)으로
특정기업의 장래 현금흐름을 추정하고 이를 할인율(자본비용)로 할인하는 방법으로 기업가치를 산출합니다.
특정기업의 장래 현금흐름을 추정하는데 가장 기초적인 작업은 그 기업의 과거 현금흐름 실적을 보는 것입니다.
재무제표는 기업 과거 실적을 복식부기 원리에 따라 기록한 것으로 이러한 재무제표를 이해하기 위해서 회계지식이 필요하게 됩니다.
회계지식을 익히는 것은 개인적으로 생각하기에 외국어를 익히는 것과 매우 유사하다고 생각합니다.
회계 자체가 기업이 이해관계자들에게 기업의 재무정보를 전달하는 수단입니다.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