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 18/05/12 11:13:00 |
Name | 다람쥐 |
Subject | 예전에 급식 없고 야자있던 시절엔 여름엔 도시락 안 상했나요? |
저는 급식 과도기에 학교를 다녀 초딩땐 급식->중딩때 도시락->다시 고딩때 급식이었는데요 문득 생각이 나는게, 예전에 고딩때 야자까지 있던 시절엔 도시락 두개씩 싸 다니지 않았나요? 그땐 여름엔 밥은 안상했나요? 가장 더울때 여름방학이라 괜찮은가 싶다가도 방학때도 보충학습 있었던거같은데???? 대체 그때 밥은 어떻게 했지???? 라는 물음이 생겼어요 겨울엔 난로근처에 놓는다 쳐도 여름엔 어떻게했나요? 그 당시 학교다니신 분들이 많아서(....) 정확한 대답을 들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미리 감사합니다 ㅋㅋ 0
이 게시판에 등록된 다람쥐님의 최근 게시물
|
늦었지만 그래도..
전 고2, 고3때 도시락 두개 싸가지고 다니던 세대인데
여름에 밥이 쉴까봐 어머니가 신경을 많이 쓰셨습니다.
1. 도시락에 막 한 밥을 담아서 다 열어 두고 선풍기로 식힙니다.
2. 빨리 쉴만한 반찬은 점심에 먹도록 배치하고, 저녁에는 볶거나 졸인 음식으로 주로 해 주셨던 것 같습니다.
3. 반대로 국물은 보온통에 넣을 때 뜨거운 걸 넣어서 최대한 오랫동안 뜨겁게 놔 두고
그 상태로 밀봉된 채 있으면 저녁까지 온기가 좀 있으며 안 쉽니다. 물론 숟가락으로 뒤적거리지 않고
끓는 솥에서 통... 더 보기
전 고2, 고3때 도시락 두개 싸가지고 다니던 세대인데
여름에 밥이 쉴까봐 어머니가 신경을 많이 쓰셨습니다.
1. 도시락에 막 한 밥을 담아서 다 열어 두고 선풍기로 식힙니다.
2. 빨리 쉴만한 반찬은 점심에 먹도록 배치하고, 저녁에는 볶거나 졸인 음식으로 주로 해 주셨던 것 같습니다.
3. 반대로 국물은 보온통에 넣을 때 뜨거운 걸 넣어서 최대한 오랫동안 뜨겁게 놔 두고
그 상태로 밀봉된 채 있으면 저녁까지 온기가 좀 있으며 안 쉽니다. 물론 숟가락으로 뒤적거리지 않고
끓는 솥에서 통... 더 보기
늦었지만 그래도..
전 고2, 고3때 도시락 두개 싸가지고 다니던 세대인데
여름에 밥이 쉴까봐 어머니가 신경을 많이 쓰셨습니다.
1. 도시락에 막 한 밥을 담아서 다 열어 두고 선풍기로 식힙니다.
2. 빨리 쉴만한 반찬은 점심에 먹도록 배치하고, 저녁에는 볶거나 졸인 음식으로 주로 해 주셨던 것 같습니다.
3. 반대로 국물은 보온통에 넣을 때 뜨거운 걸 넣어서 최대한 오랫동안 뜨겁게 놔 두고
그 상태로 밀봉된 채 있으면 저녁까지 온기가 좀 있으며 안 쉽니다. 물론 숟가락으로 뒤적거리지 않고
끓는 솥에서 통으로 바로 가야 하지요.
당시 동생이랑 아버지까지 하루에 다섯 개의 도시락을 싸셨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전 고2, 고3때 도시락 두개 싸가지고 다니던 세대인데
여름에 밥이 쉴까봐 어머니가 신경을 많이 쓰셨습니다.
1. 도시락에 막 한 밥을 담아서 다 열어 두고 선풍기로 식힙니다.
2. 빨리 쉴만한 반찬은 점심에 먹도록 배치하고, 저녁에는 볶거나 졸인 음식으로 주로 해 주셨던 것 같습니다.
3. 반대로 국물은 보온통에 넣을 때 뜨거운 걸 넣어서 최대한 오랫동안 뜨겁게 놔 두고
그 상태로 밀봉된 채 있으면 저녁까지 온기가 좀 있으며 안 쉽니다. 물론 숟가락으로 뒤적거리지 않고
끓는 솥에서 통으로 바로 가야 하지요.
당시 동생이랑 아버지까지 하루에 다섯 개의 도시락을 싸셨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