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 18/11/08 17:58:33수정됨 |
Name | 원스 |
Subject | 결혼식 때 사회나 축가해 주는 친구들 따로 챙겨줘야 하나요?? |
작성자가 본문을 삭제한 글입니다. 0
이 게시판에 등록된 원스님의 최근 게시물
|
받기도 하고 안 받기도 하고 관계 따라 애매합니다. 그냥 저냥 동창 정도의 사이에 불러준거면 10~20 정도 받기도 했고, 20년 전부터 '니 결혼식 축가 내가 부르고 망가뜨려줌ㅋㅋㅋ' 선언한 친구끼리는 주면 이 색히가 왜 이래가 되고 그렇죠. 걍 주고 돌려주면 고맙다고 하고 돌려받고 아니면 그냥 사례금 줬다고 생각하시는게 좀 더 요새의 스탠더드에 맞지 않나 싶긴 합니다.
그냥 고마움의 표시죠. 케바케인데 주변 결혼식을 보면 평균적으로 20~30 사례 하는 경우가 많은 것 같습니다.
저는 결혼할때 사회자에서 30 줬는데 그 친구가 축의금으로 20 줘서 실제론 10? 축가의 경우 그냥 워낙 친한 사이라 그 분이 먼저 나 축의금 안할께 축가로 쌤쌤 치자고 해서 그렇게 했고 그분 결혼식때는 축의금 20정도 드렸던것 같습니다.
안줘도 서운해 하지 않을 수도 있지만 그건 모르는 거고 친한 사이라 주는게 아깝지도 않아서 그냥 주는 걸 선택하는 경우가 많죠. 안친한 사이면 더 챙겨줘야 할거 같고... 친구가 안받는 경우도 있는데 결국 대부분 못이기면서 받고 줘서 싫다고는 안하니까요.
저는 결혼할때 사회자에서 30 줬는데 그 친구가 축의금으로 20 줘서 실제론 10? 축가의 경우 그냥 워낙 친한 사이라 그 분이 먼저 나 축의금 안할께 축가로 쌤쌤 치자고 해서 그렇게 했고 그분 결혼식때는 축의금 20정도 드렸던것 같습니다.
안줘도 서운해 하지 않을 수도 있지만 그건 모르는 거고 친한 사이라 주는게 아깝지도 않아서 그냥 주는 걸 선택하는 경우가 많죠. 안친한 사이면 더 챙겨줘야 할거 같고... 친구가 안받는 경우도 있는데 결국 대부분 못이기면서 받고 줘서 싫다고는 안하니까요.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