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 19/05/31 15:02:48 |
Name | ![]() |
Subject | 성적 스펙트럼을 나누는 것이 실제로 많이 필요한가요? |
SNS를 하다가 이런 글을 봤는데요. -------------------- 무성애 스펙트럼(Asexual Spectrum): -에이섹슈얼: 무성애자. 성적 끌림을 경험하지 않는다. 로맨틱과는 별개이다. 로맨틱 끌림을 느끼지 않는 경우는 무로맨틱이며, 무성애자는 사람에 따라 연애를 할 수도 안 할 수도 있다. -그레이에이섹슈얼/그레이섹슈얼: 회색성애자/회색무성애자. 무성애와 유성애 사이에 있다고 여겨진다. -콰(이)섹슈얼/WTF섹슈얼: 성적 끌림과 미적 끌림 등의 다른 끌림을 구분하지 못 하거나, 무성애 스펙트럼에 속하지만 기존의 분류로는 구분할 수 없는 경우. -데미섹슈얼: 반성애자. 감정적으로 친밀한 유대를 형성한 뒤에 성적 끌림을 경험한다. -프레이섹슈얼: 잘 알지 못하는 사람에게 성적 끌림을 경험하며, 잘 알게 되면 끌림이 사라진다. -리시프로섹슈얼: 화답성애자. 상대가 자신에 대해 먼저 성적으로 끌린 뒤, 자신도 성적 끌림을 경험한다. -아코이섹슈얼/리쓰섹슈얼 : 돌성애자. 성적 끌림을 경험하지만 그 감정을 직접 주고받고 싶어하지는 않는다. 섹스에 대한 생각은 이것과 관계 없이 사람에 따라 긍정적, 부정적, 무관심, 중립적일 수 있다. 본래 리쓰섹슈얼이라고 불리었으나 레즈비언 문화에서 사용되는 용어를 그대로 가져온다는 것에 대한 논란이 있어 아코이섹슈얼로 대체하기도 한다. -쿠피오섹슈얼: 성적 끌림을 경험하지 않지만 성적인 교감을 주고받길 원한다. -네불라섹슈얼: 성적 끌림의 구별에 어려움을 가진다. -오토코리섹슈얼(Autochorissexual/Aegosexual): 대상에 대해 성적 욕구나 판타지가 있으나 그 생각에서 자신이 주체가 되지 않으며, 행동으로 이어질 수 없다. -오토모노섹슈얼(Automonosexual/Autosexual): 자기 자신에게 성적 끌림을 느낀다. --------------------- 뭐가 참 많구나! 라는 느낌이었습니다. 이성애, 동성애, 양성애, 무성애 정도로 구분해도 보통은 관련 대화를 하는데 선택할 용어로는 충분치 않을까 하는 생각이 있는데요. 필요에 따라 좀 더 구체적인 구분이 필요 할 수 있을 것 같긴한데... 이렇게나 자세히 나눈다고? 저 용어 쓰는 사람들은 서로 안헷갈리고 잘 쓰는걸까? 이런 의문이 들었습니다. 또 이렇게 자세히 나눠놓은 글을 보는 사람들이 오히려 헷갈리게 되는 경우는 없을까 하는 궁금증도 듭니다. 왜... 이렇게 자세하고 학술적인 느낌이 들게 적어놓으면 '아 이게 체계적으로 잘 정리가 되어있구나. 이렇게 정리가 잘 된걸 보니 공신력있게 통용되는 정보겠구나' 라는 생각을 하면서, '그렇다면 나도 이 중에 어떤 하나겠구나. 나에게 맞는 스펙트럼을 알아놓아야지' 하고 하나를 찾은다음 어딜가서 자신을 그런 정체성으로 소개하는거죠. 그러다 보면 자신이 그 용어에 갇혀서 사고하게 된다거나 하는 부작용도 생길 수 있을 것 같기도 한데... 왠지 이런 현상을 설명하는 심리학 용어도 있을 것 같고 그렇지만 저는 아는바가 없습니다. 저의 궁금증 관련하여 가르침을 주실 수 있는 분들이 계시면 한 수 배우도록 하겠습니다. 0
|
이러한 기호들을 쓰면 상세한 설명들을 안 해도 괜찮기 때문입니다.
우리는 카라멜 마끼아또를 달라고 하지, 스팀밀크를 넣고 그 다음 에스프레소를 넣어주시고 바닐라시럽을 두 펌프 넣으신 후에 위에 카라멜 시럽을 뿌려주세요 라고는 하지 않거든요.
그리고 이것보다 중요한 이유는 (그리고 다들 이렇게 생각하지 않지만) 이러한 보기들이 있을때 자신의 정체성을 찾기가 쉬워진다는겁니다.
따뜻한 커피 / 아이스 커피 만 있을때보다, 여러 커피들이 다 있을때 자신의 기호를 더 잘 알수 있듯이, 여러 설명들이 있을 때 자신이 어디에 해당하는지를 더 잘 알수 있죠. 그리고 사실 이런 이야기는 '아는 사람들끼리나' 하는 이야기인지라, 기호를 모르는 사람들에게는 그렇게 안 말하긴 할겁니다...
우리는 카라멜 마끼아또를 달라고 하지, 스팀밀크를 넣고 그 다음 에스프레소를 넣어주시고 바닐라시럽을 두 펌프 넣으신 후에 위에 카라멜 시럽을 뿌려주세요 라고는 하지 않거든요.
그리고 이것보다 중요한 이유는 (그리고 다들 이렇게 생각하지 않지만) 이러한 보기들이 있을때 자신의 정체성을 찾기가 쉬워진다는겁니다.
따뜻한 커피 / 아이스 커피 만 있을때보다, 여러 커피들이 다 있을때 자신의 기호를 더 잘 알수 있듯이, 여러 설명들이 있을 때 자신이 어디에 해당하는지를 더 잘 알수 있죠. 그리고 사실 이런 이야기는 '아는 사람들끼리나' 하는 이야기인지라, 기호를 모르는 사람들에게는 그렇게 안 말하긴 할겁니다...
근데 이런 호명들이 규범화에 있어서 오류를 낳기도 합니다. 어떤 저런 개념들이 도식화 된 상태에선 나의 상태가 개념어에 의해 규정되는데, 그 개념어에 규정되면서 나의 상태 역시 규격화 되는거죠. 그래서 저는 이런 호칭들이 분명 중요하지만, 어떤 사람들에게는 선언적 효과를 부여한다고 생각합니다. 결국 감각과 감정의 영역을 조건들에 의해 경계지은건데.. 개인이 스스로를 이런 호칭에 의존해서 정확하게 판단하기가 어려워요. 그래서 청소년기에 나는 성소수자인가 하는 혼란을 많이 겪는것도 이런 성애에 대한 다양한 정의들이 너무 세분화되고 범람하는것에 대한 효과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