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 19/09/27 18:05:09 |
Name | 보리건빵 |
Subject | 자연언어처리 대학원 진학 고민 |
졸업까지 11개월 가량 남은 4학년 학생입니다. 저의 관심사는 전산 심리치료라는 분야입니다. 전산 심리분야는 컴퓨터가 심리상담을 해주는 것을 목표로 하는 분야입니다. 대학교 1학년때 상담을 받고 많은 도움을 받은 뒤로 이런 목표를 세웠습니다. 아무래도 자연어처리 분야다보니 최소 석사를 해야 직장을 잡기 수월해집니다. 이런 사실을 3학년말때 알게 되어 뒤늦게 대학원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저의 조건들이 제약사항으로 묶이고 있습니다. 3.5로 낮은 학점 객관적으로 엄청 똑똑한 편은 아님 잠이 많아서 하루에 9~10시간 자는 편 그렇다고 엄청 성실하진 않고 좀 들쭉날쭉한 성실함 인공지능 관련 스펙이 전무(지금 여러 활동으로 쌓고 있는 중입니다.) 이렇게 5가지가 대학원에 진학하기에 망설여지는 / 발목을 잡는 요소입니다. 최근 인공지능 관련 기사에서 저랑 같은 분야를 연구하시는 박사과정생 분이 카이스트에 계셔서 카이스트로 진학하고 싶은데 학점이 4.0이 되어야 진학할 수 있다고 하네요... 이럴 줄 알았으면 열심히 학점을 챙길 껄 하는 후회도 생기지만 일단 일어난 일이니 앞으로의 일을 생각해보려 합니다. 1. 저는 대학원에 진학해도 될까요? 들쭉날쭉한 성실함이 제일 걸리는 부분입니다. 2. 과학기술대학교가 좋을까요 종합대학이 좋을까요? 저는 심리학과랑 연계해야해서 종합대학을 생각하고 있었는데 최근에 카이스트에서도 관련 연구를 한다고 하니 과학기술대학교로 마음이 기울고 있습니다. 3. 저에게 조언해주실 말씀 있으시면 아무거나 좋습니다. 지금은 제가 생각하는 진로에 대해서 다른 사람들의 의견이 궁금합니다. 0
이 게시판에 등록된 보리건빵님의 최근 게시물
|
몇년 뒤에 domain knowledge가 중요해질까를 예측하기가 어려워요. 한국어 자연어처리가 더 많이 나아져야 합니다. 번역에서 거두는 성과가 대화 구현에까지 이어질까요.. 지금이라면 당연히 CS 같이하는 언어학 대학원 또는 과학기술대 AI 대학원 선택해야 할 것 같아요.
외람되지만 자연어 처리를 연구하는 많은 곳이 컴퓨터 공학의 기본적인 지식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자연어 처리는 현재 수많은 기업에서 해당 연구실 대학원생들을 상대로 기업소개 행사를 하는 등
인기가 굉장히 많기 때문에 경쟁률이 제법 높은 편입니다.
마지막 1년, 학점과 관련준비를 열심히 하셔서 지원하시길 바랍니다.
여담으로 심리학과 연계되는 연구는 제법 academic할 걸로 유추됩니다만...
보통 A의 전문가와 B의 전문가가 합을 맞추어 공동 연구를 하기 때문에 한 방향의 전문가가 되시길 권합니다.
자연어 처리는 현재 수많은 기업에서 해당 연구실 대학원생들을 상대로 기업소개 행사를 하는 등
인기가 굉장히 많기 때문에 경쟁률이 제법 높은 편입니다.
마지막 1년, 학점과 관련준비를 열심히 하셔서 지원하시길 바랍니다.
여담으로 심리학과 연계되는 연구는 제법 academic할 걸로 유추됩니다만...
보통 A의 전문가와 B의 전문가가 합을 맞추어 공동 연구를 하기 때문에 한 방향의 전문가가 되시길 권합니다.
우선 저는 2010년에 일-영 특허문서 SMT 논문으로 석사만 따고 지금은 게임회사 다닙니다.
NLP나 ML 쪽 현황은 전혀 모르고 그냥 예전 제 경험만 말씀 드립니다.
1.
특별히 뛰어난 사람이 아닌 이상 성실함을 쥐어 짜내지 못하면 졸업을 못합니다.
전 졸업 논문 준비해서 학회 발표할 때 까지 5개월 정도 걸렸던 거 같습니다.
나머지 기간은 열심히 게임을 했습니다;;
2.
종합대학을 안다녀봐서 모르겠습니다;
저자 소속, 이름 봐서는 경우에 따라 서로 다른 대학의 연구실에서 협업 해서 논문 쓰는 경우도 있더군요.
3.
박사까지 보고 계신건지 석사만 하실 건지 부터 마... 더 보기
NLP나 ML 쪽 현황은 전혀 모르고 그냥 예전 제 경험만 말씀 드립니다.
1.
특별히 뛰어난 사람이 아닌 이상 성실함을 쥐어 짜내지 못하면 졸업을 못합니다.
전 졸업 논문 준비해서 학회 발표할 때 까지 5개월 정도 걸렸던 거 같습니다.
나머지 기간은 열심히 게임을 했습니다;;
2.
종합대학을 안다녀봐서 모르겠습니다;
저자 소속, 이름 봐서는 경우에 따라 서로 다른 대학의 연구실에서 협업 해서 논문 쓰는 경우도 있더군요.
3.
박사까지 보고 계신건지 석사만 하실 건지 부터 마... 더 보기
우선 저는 2010년에 일-영 특허문서 SMT 논문으로 석사만 따고 지금은 게임회사 다닙니다.
NLP나 ML 쪽 현황은 전혀 모르고 그냥 예전 제 경험만 말씀 드립니다.
1.
특별히 뛰어난 사람이 아닌 이상 성실함을 쥐어 짜내지 못하면 졸업을 못합니다.
전 졸업 논문 준비해서 학회 발표할 때 까지 5개월 정도 걸렸던 거 같습니다.
나머지 기간은 열심히 게임을 했습니다;;
2.
종합대학을 안다녀봐서 모르겠습니다;
저자 소속, 이름 봐서는 경우에 따라 서로 다른 대학의 연구실에서 협업 해서 논문 쓰는 경우도 있더군요.
3.
박사까지 보고 계신건지 석사만 하실 건지 부터 마음을 정하시는 게 우선일 듯 합니다.
연구실에 사전에 연락해서 알아 보신다 해도 그거 부터 물어볼 거 같네요.
덤으로 학교마다 약간 옆문으로 입학 하는 방법이 있는 곳도 있습니다.
일반 대학원 말고 기업이나 군 위탁생 받아서 학위 따는 대학원을 별도로 운영하기도 하거든요.
KAIST는 모르겠고 http://gsit.postech.ac.kr/ 이런 곳이 있어요.
저는 학부생때 연구참여 하던 연구실에 가고 싶었는데 학부 졸업 평점이 2.6으로 일반 대학원 전형은 지원도 못해봤고,
정보통신대학원은 당시에는 평점 제한이 없던가 해서 결국 옆길로 연구실 들어갔습니다.
그래서 학위증명서나 대학원 성적증명서 때면 컴퓨터공학과가 아니라 정보통신학과로 나오지요;
NLP나 ML 쪽 현황은 전혀 모르고 그냥 예전 제 경험만 말씀 드립니다.
1.
특별히 뛰어난 사람이 아닌 이상 성실함을 쥐어 짜내지 못하면 졸업을 못합니다.
전 졸업 논문 준비해서 학회 발표할 때 까지 5개월 정도 걸렸던 거 같습니다.
나머지 기간은 열심히 게임을 했습니다;;
2.
종합대학을 안다녀봐서 모르겠습니다;
저자 소속, 이름 봐서는 경우에 따라 서로 다른 대학의 연구실에서 협업 해서 논문 쓰는 경우도 있더군요.
3.
박사까지 보고 계신건지 석사만 하실 건지 부터 마음을 정하시는 게 우선일 듯 합니다.
연구실에 사전에 연락해서 알아 보신다 해도 그거 부터 물어볼 거 같네요.
덤으로 학교마다 약간 옆문으로 입학 하는 방법이 있는 곳도 있습니다.
일반 대학원 말고 기업이나 군 위탁생 받아서 학위 따는 대학원을 별도로 운영하기도 하거든요.
KAIST는 모르겠고 http://gsit.postech.ac.kr/ 이런 곳이 있어요.
저는 학부생때 연구참여 하던 연구실에 가고 싶었는데 학부 졸업 평점이 2.6으로 일반 대학원 전형은 지원도 못해봤고,
정보통신대학원은 당시에는 평점 제한이 없던가 해서 결국 옆길로 연구실 들어갔습니다.
그래서 학위증명서나 대학원 성적증명서 때면 컴퓨터공학과가 아니라 정보통신학과로 나오지요;
이수영 교수님 연구실인가요...
교수님께 메일 보내서 면담해보시고
원하시는 대학원 입시에 뭘 준비해야하는지 알아보세요
정말 나랑 맞나 먼저 알아보고 싶으면 연구실 인턴같은것도 있습니다
교수님께 메일 보내서 면담해보시고
원하시는 대학원 입시에 뭘 준비해야하는지 알아보세요
정말 나랑 맞나 먼저 알아보고 싶으면 연구실 인턴같은것도 있습니다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