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19/11/13 11:59:59
Name   호미밭의 파스꾼
Subject   녹아웃 마우스 실험에서 궁금한 부분이 있습니다.

A. 췌장효소(소화 효소)를 만드는 유전자를 제거한 녹아웃 마우스 ->
B. 영양실조나 당뇨병 등에 걸리지 않고 건강하게 성장 ->
C. 신체의 다른 기관이 제 기능을 못하는 췌장의 역할을 대신 수행하는 동적 평형 상태를 이룬 것

제가 궁금한 부분은 B -> C 로 넘어가는 부분입니다. 구체적으로 신체의 어떤 부분이 어떤 역할을 해서 소화효소가 없는 문제를 해결한 것인지는 제 능력으론 검색해도 나오질 않네요. 애들 이거 읽다가 분명 저한테 물어볼 삘인데..



0


맥주만땅
아마도 특수한 사료를 먹일 겁니다.

NO mouse는 경험이 없으면 잘 죽어서 전문 사육실 아니면 키우기 어렵다고 하더군요.
1
호미밭의 파스꾼
췌장효소 역할을 대신할 대체기관이 생겼다는 실험 결과는 아무래도 없나보네요. 감사합니다.
맥주만땅
뭐 췌장세포를 이식하면 되지만
음. 어떤 맥락에서 나온 이야기인지를 자세히 알려주실 수 있을까요. 이거만 봐서는 확실히 답변드리기가 어려울 것 같습니다.
호미밭의 파스꾼
녹아웃, 녹인 마우스의 사례를 대조하며 '동적 평형'을 설명하는 아이들 책입니다.

전자의 특정 유전자를 제거한 쥐는 신체가 유전자 차원의 문제가 생긴 것을 자각하고 이를 다른 조직에 알려, 없어진 조직에 대한 대체조직을 만들어 건강한 상태를 유지하는 반면,
변형된 유전자를 삽입한 후자의 쥐의 경우엔, 신체가 유전자의 결점을 발견하지 못해 동적 평형이 깨져 질병에 걸리고 죽게 된다고 설명하더라고요.

그런데 자세히 살펴보니 녹아웃 쥐의 신체가 췌장이나 소화효소의 기능을 어떻게 대체했는지에 대한 설명은 이 책 뿐 아니라 검... 더 보기
녹아웃, 녹인 마우스의 사례를 대조하며 '동적 평형'을 설명하는 아이들 책입니다.

전자의 특정 유전자를 제거한 쥐는 신체가 유전자 차원의 문제가 생긴 것을 자각하고 이를 다른 조직에 알려, 없어진 조직에 대한 대체조직을 만들어 건강한 상태를 유지하는 반면,
변형된 유전자를 삽입한 후자의 쥐의 경우엔, 신체가 유전자의 결점을 발견하지 못해 동적 평형이 깨져 질병에 걸리고 죽게 된다고 설명하더라고요.

그런데 자세히 살펴보니 녹아웃 쥐의 신체가 췌장이나 소화효소의 기능을 어떻게 대체했는지에 대한 설명은 이 책 뿐 아니라 검색을 통해서도 나오질 않아서요. 게다가 맥주만땅님 이야기처럼 보통의 녹아웃 마우스는 특수사료를 주지 않거나 무균상태로 통제된 환경이 아니면 잘 살지도 못하는 거라면 좀 억지스런 연결이 아닌가 싶네요.
아. 생물과 무생물 사이라는 책이군요. 대충 무슨 내용인지 이해했습니다. 제가 이따가 설명 드리는 댓글을 달게요.
1
BibGourmand
그쪽 밥 먹고 사람으로서 도저히 받아들일 수 없는 내용인데요...

특정한 경우에 한해 knock-out은 compensation이 일어나고, knock-in은 그렇지 않을 수 있습니다. DNA의 어느 부분을 날리고 어느 부분에 뭘 끼워넣는가가 결과를 바꾸는 경우가 가끔 존재하긴 합니다. 그런데 저런 식으로 일반화를 할 수 있는 건 절대로 아닙니다.

그리고 대체조직이라는 건 대체 뭔지 모르겠네요. 설마 췌장의 소화효소를 날리면 췌장이나 췌장을 구성하던 어느 조직이 아예 없어진다고 쓰여있는 건가요? 대중서에서 개념을 전달하기 위해 엄밀성을 양보할 수는 있는데, 정말 그런 식으로 쓰여있다면 도를 넘어도 한참 넘은 게 아닌가 싶습니다.
아마 pathway 에서 하나의 gene 을 block 했을 때 bypass 가 일어나는 경우였던 모양입니다. (논문 찾아보니 gp2 gene 인 것으로 보입니다.)
너무 뭉뚱그려서 써놨네요. 일본에서 특히나 저런 식의 서술을 너무 좋아해서 저도 별로라고 생각합니다.
BibGourmand
B를 가지고 C를 주장할 수는 있겠지만, 증명하지 않았다면 그저 가설일 뿐입니다.

세포 단위에서야 비슷한 일을 하는 다른 단백질이 대신 때워서 일하는 경우가 종종 있긴 합니다. 비슷한 메커니즘으로 위나 장에서 나오는 소화액이 더 많이 분비되면서 어찌저찌 때웠다는 썰을 풀어 볼 수는 있겠습니다. 실제로 가능한지는 모르겠습니다만.
1
호미밭의 파스꾼
네, 아무래도 아이들에게 약육강식이나 인간중심주의적 생태 관점보다 공존과 상호 부조의 생태관을 가르치려는 책이다보니.. 뜯어보면 헛점이 좀 있는 듯 합니다. 동적평형.. 제 사라져가는 모발의 대체기관도 생겨나주면 참 좋겠는데...
방법이 아주 없는건 아닙니다.

킹론상으로는 두피에 아주 자잘하게 바늘로 상처를 얕게 내면, 그 상처가 수복되는 과정에서 wnt beta-catenin 회로가 활성화 되고, 그 활성화된 회로가 모낭세포를 자라게 한다는 연구결과가 있습니다. 다만 그 회로의 작동을 지속적으로 유지시켜서 모낭세포가 충분히 성숙되도록 하는데는 더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보입니다. 요즘 탈모치료제 연구는 이쪽으로 주목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아마.. 제 예상으로는 10년 내에 탈모도 정복될 것으로 보입니다.
호미밭의 파스꾼

선생님.. 이건 완전 디 오리진 오브 핀헤드 인데요??!!!
1
초기 prototype 테스트할 때 피험자의 머리가 피투성이가 되었다는 도시 전설이 있읍니다..
맥주만땅
제가 몇번 해 봤는데 ;ㅁ;
1
어..... 거기에 뭔가 약을 더 치시진 않았나요 (V로 시작하는 물질명..) ㅋㅋㅋ 그거 치면 더 잘 자라긴 하는데
맥주만땅
서로 막 해주고 했지만, 딱히 진전이 없고 민망해서 그만 두었습니다. ㅋㅋㅋ
v 모시기 약를 치면 잘 자라긴 할겁니다 ㅋㅋ 유지를 위해서 또 다른걸 쳐야 하긴 하지만.....

관련해서 저자의 책을 확인해보니 그런거 같습니다.

일단 배경지식을 설명드리면
1. 생명체는 복잡한 회로(pathway)에 의해서 조절됩니다. 기본적으로 설계도를 가지고 있는 DNA 와 그 설계도를 복제해서 단백질을 만들 때 쓰는 청사진으로 활용되는 mRNA 가 있고, 이를 기반으로 어떤 역할을 하는 단백질이 만들어지고 이 단백질이 또 다른 단백질이나 특정한 산물을 만드는데, 그 산물의 있고 없음을 파악해서 mRNA 양을 늘리거나 줄이는 식으로 조절하는 회로가 있습니다.
2. (책 외에 저자의 다른 연구저작물 들을 살펴보니... 더 보기
관련해서 저자의 책을 확인해보니 그런거 같습니다.

일단 배경지식을 설명드리면
1. 생명체는 복잡한 회로(pathway)에 의해서 조절됩니다. 기본적으로 설계도를 가지고 있는 DNA 와 그 설계도를 복제해서 단백질을 만들 때 쓰는 청사진으로 활용되는 mRNA 가 있고, 이를 기반으로 어떤 역할을 하는 단백질이 만들어지고 이 단백질이 또 다른 단백질이나 특정한 산물을 만드는데, 그 산물의 있고 없음을 파악해서 mRNA 양을 늘리거나 줄이는 식으로 조절하는 회로가 있습니다.
2. (책 외에 저자의 다른 연구저작물 들을 살펴보니 ) 글쓴이는 췌장 기능과 관련해서 하나의 특정 유전자에 주목을 했습니다. 그리고 그 유전자를 knock out 하면 당연히 그 기능은 스위치 꺼지듯 꺼질거고 거기에 따라 질환이 발생할거라는 가설을 가지고 실험을 했지만 그러한 일은 벌어지지 않았습니다. 왜냐하면 생명체는 복잡한 회로를 가지고 있고, 거기에는 우회 회로와 대체 회로가 여러 가지 존재합니다. 물론 특정 유전자는 매우 치명적이어서 그 유전자를 건드리면 아예 생명체가 발생 조차 하지 못하는 유전자도 있지만, 글쓴이가 건드린 유전자로 인해 인슐린 분비량이 줄어들자, 조절인자가 이를 대체할 수 있는 다른 우회 회로를 활성화 시켜서 인슐린 분비를 늘린 것으로 보입니다. 항상 그러한 경우는 아니지만, 이런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그리고 knock in 으로 불량 인슐린을 만들어 냈을 때, 조절인자가 그걸 정상 인슐린으로 착각하면 오히려 인슐린 부족으로 질병이 발생할 수 있을 겁니다.

3. 다만 책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늘’ 그러는 것도 아닙니다. 그 시절에는 이러한 복잡 다단한 회로들이 밝혀지지 않았기 때문에 하나만 있는 스위치 정도로 이해하고 있던 시절이라서 그랬던 것으로 보이고, 생물이 동적 평형에 의해서 모든걸 다 원상복구 하고 그러는건 아닙니다. 그러니까 글쓴이의 설명은 일반화 시켜서 적용하기 어렵습니다. 그렇지만 많은 경우에 있어서 하나의 단백질을 끈다고 모든 생체 기능이 꺼지진 않고 우회해서 작동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설명을 하나 드리면, 제가 전에 있던 연구소에서는 미생물이 특정 산물만을 생산하도록 유전자를 조작하는 연구를 해왔습니다. 이론상으로는 몇몇 단백질의 발현을 늘리고, 몇몇 단백질의 발현을 막으면 될 것으로 보였지만 실제로는 전혀 그렇게 작동하지 않았습니다. 하찮은 미생물 조차도 수많은 우회 경로를 가지고 있었고, 계대배양 (대를 이어 배양) 하면 할 수록 우리가 수정하거나 새롭게 집어넣은 유전자들을 복구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돌연변이에 돌연변이가 일어나서 정상으로 돌아가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원래의 목적 달성이 전혀 불가능 한 것은 아니었고, 수 많은 실험을 통해 (즉 어디를 건드리면 어떻게 된다는 결과 등) 이러한 회로를 점점 더 목적에 맞게 변형시켜서 원래 자연계에서는 A 라는 산물이 10프로 만들어지고 그 외 다른 것들이 90% 만들어지는 미생물이라면, 몇년간의 과정을 거쳐서 A라는 산물을 80% 만들고 나머지를 20% 만들 수 있도록 가능하긴 합니다. 다만 고등한 생물일 수록 이러한 - 의도에 맞추어 생물을 변형시키는 - 과정이 어렵겠지요.

책에 기재된 내용은 단편적인 경험을 일반화 해서 단순하게 기재한 내용이어서 잘못 이해하기 좀 쉬운 것 같습니다.
2
호미밭의 파스꾼
세포 및 유전자 단위에서 특정 유전자의 결손이나 고장에 자체적으로 대응했던 '일부' 사례가 있다. 하지만 그 구체적 방법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하지만 세포 및 그 집합체인 유기체는 이런 변화와 적응을 통해 생명활동의 건강함을 유지하는 동적 평형 상태를 유지한다.

일단 이 정도로 이해했습니다. 신기하네요ㅋㅋ 나중에 또 읽어봐야 할 듯. 자세한 설명 감사드립니다!!
생명체는 몇몇 경우에는 유전자 단위에서 일어나는 이상을 감지하고 이를 우회하거나 대체할 수 있는 회로를 가지고 있는 경우가 있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글쓴이의 발견 이후로 많은 부분들이 밝혀지고 있다. 이러한 결과에 비추어 볼 때 세포 및 그 집합인 유기체는 변화와 적응을 위해서 유전자적 단위에서 어느 정도 탄력있는 대응 체계를 갖추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글쓴이가 설명한 동적 평형 상태의 유지라는 개념은 포괄적으로 생명활동을 설명할 수 있는 개념은 아니다.

정도가 좀 더 정확한 설명이 아닐까 싶습니다.

일반적... 더 보기
생명체는 몇몇 경우에는 유전자 단위에서 일어나는 이상을 감지하고 이를 우회하거나 대체할 수 있는 회로를 가지고 있는 경우가 있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글쓴이의 발견 이후로 많은 부분들이 밝혀지고 있다. 이러한 결과에 비추어 볼 때 세포 및 그 집합인 유기체는 변화와 적응을 위해서 유전자적 단위에서 어느 정도 탄력있는 대응 체계를 갖추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글쓴이가 설명한 동적 평형 상태의 유지라는 개념은 포괄적으로 생명활동을 설명할 수 있는 개념은 아니다.

정도가 좀 더 정확한 설명이 아닐까 싶습니다.

일반적으로 동적 평형이라는건 화학에서 쓰이는 용어이고... 생물에서는 항상성의 유지로 이야기를 많이 합니다. 그게 유전자 단위 수준까지도 적용할 수 있는 단어인지는 가방끈이 짧아서 잘 모르겠지만..

저자가 ‘생명의 신비’ 라고 생각한 부분에 대해서는 저는 ‘진화와 적응의 역사서’ 정도로 설명하고 싶네요.
1
집에가고파요
솔직히 무슨 이야기 인지 잘 모르겠는데요.. 췌장효소가 워낙 많고 소화 효소라도 이야기 하신게 췌도에서 위에서 소화될 때 필요한 효소인지 아니면 소화관련 대사에 관련되 효소 인지에 대한것도 잘 모르겠그요. 영양실조 및 당뇨병 언급하신거 보면 인슐린에 당대사 관련한 효소를 이야기 하신것 같은데 이것도 의문스러운게 단순히 당대사 부분을 이야기 하시는 건지 대식세포로 인해 췌장을 공격해서 자가면역에 의한 당대사 저하인지 이것도 모르겠고 췌장에 인슐린 분비가 문제가 있을지라도 자연적으로 인슐린 분비체가 췌도관에 생길수도 있어서 너무 이야기 할게 많습니다. 만약에 NO-계열에 knock out으로 자가면역에 대한걸 감소하거나 glucose transporter에 대한 복부 지방세포나 근육세포의 간수성을 adipokines쪽으로 (adiponetine) 증가시킨다라면 뭔가 되긴하겠지만 상당히 명확하지 않습니다.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8575 과학대우증명과 관련하여 질문드립니다. 6 별바라기 20/01/02 3243 0
8539 과학블랙홀 관련 영상 뭐가 있나요? 10 엄마곰도 귀엽다 19/12/26 5144 0
8535 과학물리학 사고실험 ㅡ 나무 판때기를 연장한다면 4 호타루 19/12/26 4348 0
8250 과학녹아웃 마우스 실험에서 궁금한 부분이 있습니다. 21 호미밭의 파스꾼 19/11/13 4251 0
7746 과학플라스틱 그릇에 음식물을 담으면 얼룩이 생기는 이유는 뭘까요. 4 Marlin Gamjar 19/08/27 4545 0
7719 과학성이 2개가 아닌 여러개로 나뉜 생물이 있나요? 2 흥차넷 19/08/23 4585 0
7705 과학전면 자율주행 시대에 운전면허증이 필요할까요? 7 상성무상성 19/08/21 4618 0
7317 과학모터테스트 ->신호처리? fft? 토크리플? 질문입니다 3 쿠바왕 19/06/15 5404 0
7212 과학화학 고수님 계신가요?! 4 식지 19/05/30 4483 0
7135 과학화학 고수분 계신가요?? 6 [익명] 19/05/16 2839 0
7063 과학베르누이 방정식 질문입니다 Eneloop 19/05/05 3807 0
6947 과학[생존주의] 백두산이 분화한다면? 6 CONTAXS2 19/04/14 4784 2
6920 과학천문or물리 바보 질문 26 우주견공 19/04/09 4948 1
6814 과학진화론에 대해서 생각해보다가 궁금한점이 생겼습니다 7 장자 19/03/22 4363 0
6471 과학3일동안 골똘히 생각하면 정말 몰입상태에 이르나요? 7 [익명] 19/02/05 4825 0
6405 과학일상 생활의 숫자 흐름에 패턴이 없는 것을 증명할 수 있나요? 10 흥차넷 19/01/28 4442 0
6386 과학다이슨 vs 삼성 vs 엘지 26 CONTAXS2 19/01/24 5140 0
6320 과학내재동기와 외재동기는 뚜렷하게 구분 가능한가요? 9 [익명] 19/01/16 4735 0
6031 과학타원의 둘레길이 4 OshiN 18/12/05 6766 0
6002 과학칼집에서 칼을 뽑는 순간이 더 빠른가요? 12 덕후나이트 18/12/01 4737 0
5934 과학아이들 과학이나 교양잡지 영어 추천 부탁드려요. 2 moqq 18/11/21 3975 0
5866 과학홀로그램은 어떻게 바닥에 반사되는가 6 풉키풉키 18/11/10 4395 0
5643 과학화요 마셔본 적이 없어서 21 지금여기 18/10/12 5318 0
5608 과학자연에서 자살을 하는 생명체는 오직 인간 뿐인가요? 8 [익명] 18/10/07 2954 0
5596 과학좌뇌 우뇌, 서번트 증후군에 대해서 질문 윰히 18/10/05 3660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