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19/12/26 11:10:13수정됨
Name   열한시육분
Subject   지방국립대 의대편입 vs. 모 의전원
지방국립대 지역에 연고는 없습니다.

건국대 의전원이 의대에 비해 등록금이 2배 이상(4년 1억)인데 부담이 되긴 합니다.

목표는 일단 봉직의 후 적절한 개원자리 확보입니다.

서울권은 아무래도 포화되었다는 인상을 강하게 받아서

지방에 기회가 더 있지 않을까 하는 마음으로 연고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등록금이 싸서) 지방행 생각을 하는데요

한편으로는 학벌이 주는 효과(서울 경기권에 개원시, 종합대학으로서의 위치) 남네요.

단 서울에서의 풍부한 문화생활이나 놀거리에 대한 미련은 현재는 1도 없습니다.

어떤 선택이 더 나을까요?



0


맥주만땅
둘다 합격한 상태인가요?

합격한 상태가 아니라면 무슨 의미가 있는지요.

학사편입은 올해가 마지막인 학교가 대부분인데, 내년에 도전하시는 것인가요?

학벌은 개업할 때 서울대 아니면 의미없습니다.
6
열한시육분
예. 둘다 합격 하고 최대 보름 가량 고민할 시간이 남았습니다. 향후 수십년을 결정한다는 생각이라 고민이 되네요.
1
공부만 하실거면 지방도 나쁘진 않은데.. 연애 기회는 좀 적은 듯..
학벌은 나중에 대학원으로 세탁도 가능은 합니다..
열한시육분
직장인 3년차 나이대이긴 합니다 ㅋㅋ 그래서 의대편입으로 들어갈 경우 추가로 대학원은 현실적으로 못갈것 같습니다. 연애 측면은 생각 못 해봤네요 ㅋㅋㅋ
대학원은 개업이나 봉직의하면서도 다닐 수 있어요. 아니면 전공의하면서도 같이 하구요.
지방대는 CC 아니면 이성 만날 기회 자체가 적어요.
천사의미소
대학원은 대학병원에서 레지던트하면 해당 대학에서 하는겁니다 어차피.
세란마구리
학벌은 의미 없다고 단언합니다.
전공의 to도 큰 차이 없을 것 같고, 지방이라고 개원이 쉬운 것도 아니니(특히 광역시는요)
결국 서울생활과 금액 비교해서 결정하셔야
열한시육분수정됨
말씀 대로 광역시는 서울 뺨치더라구요. 전공의 자리 자체는 건대병원이 재학생대비 100% 초과로 훨씬 많은 편입니다. 반면에 지방국립은 아무리 재학생들이 성적 좋은 순으로 서울로 빠진다고 해도 재학생수에 비해선 현저히 적습니다.
세란마구리
to라는게 인기과쪽을 말하는 거긴 한데 건대쪽이 더 낫네요.(지거국 너무 한데...)
천사의미소
지거국인데 120명 졸업해서 정작 모교인턴을 40여명이 하니 인턴 원내턴 돌고나면 큰 차이없이 고르실 수 있습니다(?)
열한시육분
혹시 쪽지드려도 될까요?
천사의미소
아 예 주셔도 됩니다;
학벌보다는 수련 어디서 어떻게 받으시는지가 더 크고 -봉직의 할거면 더더욱-
건대의 경우 예과 복귀랑 충주 복귀에 대해 썰이 계속 나오니까 잘 알아보시는게 좋을 듯 합니다 (물론 그렇다고 해도 고학년 병원 실습때 되면 다시 서울 올라오겠읍니다만)

그리고 지방이 어디를 이야기하시는 건지 모르겠는데 막연하게 서울 바깥이면 다 똑같겠지 이런 생각은 특히 개원하실 때는 좋지 않읍니다. 광역시랑 중소도시랑 읍면은 환경이 매우 다르거든요
열한시육분
봉직의 생활은 광역시에서 할수 있지만 개원은 아무래도 그 권역 위성도시에서 할수밖에 없지 않을까 하고 막연히 생각하고 있습니다. 지금이야 사는 곳은 어디든 관계없다는 생각인데, 자녀 교육 등의 문제에 부딪혔을 때 생각이 달라질까요?
아 저는 생활 말고 개원 환경을 이야기했읍니다...
말씀대로 뭐 사시면서 통근하는거야 흔한 패턴이지요
사나남편
경북대나 부산대면 지방 아입니까?
열한시육분
네. 전남대 전북대 충남대 충북대 경북대 부산대 등이 있지요.
사나남편
아 그말이 아니라 위에 선택지에서 경북대나 부산대면 지방국립대가 낫지 않냐는 말씀이지요.
열한시육분
그뜻이셨군요. 그 두 대학은 아닙니다 ㅜㅜ
시지프스
개원이라는 목표를 생각하면 서울/지방보다 과선택이 더 중요한 factor 같은데...여러모로 의구심이 드는 질문이네요
열한시육분수정됨
그러니까 건대쪽이 명백히 우위인데 고민거리가 아니란 말씀이시죠? 의대크기나 의전원여부 관계 없이, 과선택은 건대병원이 유리합니다.
시지프스
건대 상황을 잘 아시나보죠?
열한시육분
현직 레지던트가 아닌 이상 잘 안다고 할 수는 없지요. 다만 수치적으로, 그리고 소위 말하는 자교보호란 측면에서 유리할 거라고 짐작하고 그런 얘기도 들려옵니다. 어떤 점에서 질문에서 의구심이 드시는지요?
시지프스
잘 아시는 것처럼 이야기 하셔서 의구심이 들었습니다.
자교보호 해줄지 아닐지는 같은 병원 내에서도 과 by 과로 다릅니다
그리고 의대 지망생들은 흔히 자교 출신만 생각하는데, 원내턴 보호도 있읍니다. (물론 이것도 과마다 다릅니다)
1
맥주만땅
건대가 자교 보호라..... 과마다 많이 다를겁니다.
저는 저 두군데에 해당이 안되는 경우라서 (지방사립대출신) 원론적으로 말씀드려 볼까 합니다. 본인의 상황을 최대한 고려하신 것이겠지만, 현재 목표를 직장의 형태에 한정하실 필요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제말은 돈이 인생의 전부가 아니다같은 진부한 말을 하려는 것이 아닙니다. 전문의 자격의 유무가 돈을 보장하는 시대가 아니고, 특정과를 하면 돈을 많이 벌 수 있다 라는 말도 이제는 옛말이 되었습니다. 돈을 버는 것이 잘못된 것이 아니라, 돈을 버는 방식이 이제는 과거와 다르게 의사의 백그라운드(학벌, 전공, 지역) 보다는 의사의 개인기(... 더 보기
저는 저 두군데에 해당이 안되는 경우라서 (지방사립대출신) 원론적으로 말씀드려 볼까 합니다. 본인의 상황을 최대한 고려하신 것이겠지만, 현재 목표를 직장의 형태에 한정하실 필요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제말은 돈이 인생의 전부가 아니다같은 진부한 말을 하려는 것이 아닙니다. 전문의 자격의 유무가 돈을 보장하는 시대가 아니고, 특정과를 하면 돈을 많이 벌 수 있다 라는 말도 이제는 옛말이 되었습니다. 돈을 버는 것이 잘못된 것이 아니라, 돈을 버는 방식이 이제는 과거와 다르게 의사의 백그라운드(학벌, 전공, 지역) 보다는 의사의 개인기(?)에 더 많이 좌지우지 하는 시대입니다. 그런 의미에서 봉직을 하다가 개원을 해야하는데 서울은 포화다 라는 명제에 본인을 끼워맞추실 필요는 없습니다. 수천가지 형태의 성공으로 도달하는 방법은 수만가지가 있을것입니다. 일반의가 테헤란로에서 피부미용으로 성공하는 경우도, 봉직 수년 거치고 개원한 정형외과 전문의가 지방에서 실패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그런 의미에서 제가 권해 드리고 싶은 것은 수련 가능성 여부등도 중요하지만 본인이 성장하는 동안 롤모델로 삼을 만한 사람과 연을 맺을 수 있는 곳을 선택하는 것입니다. 의사가 되는 것은 학교나 병원에서 교육받는 걸로 끝나지 않는다고 생각합니다. 지속적인 주변의 선후배, 동료들과 피드백을 받으면서 스스로를 성장시키는 과정이 너무나 중요합니다. "끈끈한 동문의 정" 이런걸 느끼라는 것이 아니라, 주변을 보면서 반면교사를 삼기도 하고, 참 훌룡해서 흉내라도 내고 싶다 하는 사람을 찾아다니면서 성장하는 교과외과정도 고려해보시길 바랍니다.
7
아니오
글쓴 분의 진로 선택을 앞둔 상황 뿐만이 아니라, 다양한 사람들이 다양한 상황에서 만나게 되는 선택의 순간에 다 통할 수 있는 보편적이면서도 중요한 지점을 짚어주신것 같아요. 이직을 해야 하나 말아야 하나를 앞두고 고민하고 있는 저에게도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1
열한시육분
뜻깊은 말씀 감사합니다. 그런 측면은 깊이 생각하지 못하고 있었네요.
진검승부사
경북대 부산대 전남대가 아니면 그 지역에서 매리트가 크다고 보기는 어렵지 않을까요? 다만 봉직의 자리 구할 때 선배가 많으면 좋긴 하더라구요, 군의관 동기들 취직하는거 보면...
그리고 서울경기권에 개원해도 지거국 의대와 건대 의전원의 차이는 없다고 봐도 좋으실듯.
건대도 의전원에서 의대로 돌아가는게 거의 확정이라는 소문이 있더군요
열한시육분
현업에 계신 분들도 학교 타이틀이 중요하다는 분들도 계시고, 중요성 없다는 분들도 계시고, 의견이 갈리더라구요 ㅠㅠ.
말씀대로 건대도 의전원 제도에서 빠져나와 2022부터 고등학생들 뽑을 예정입니다.
천사의미소수정됨
연고지가 어디신지요? 서울이시면 건국대가세요. 저는 비슷한 상황에서 인서울 사립 vs 지거국 중에 의대는 집가까운 국립대가 최고 라는 명언을 받들어 지거국에 왔지만 '집가까운' 과'국립대' 중에 고르라면 '집가까운'을 골라야겠더라고요.

솔직히 건국대와 지방국립대면 지나가는 의사아닌 일반인이 보기에는 군인아니면 아무도 모르는 1사단과 3사단 차이 같은 느낌이기 때문에 학벌로 고민은 의미없습니다.
열한시육분
연고는 서울입니다. 저도 말씀처럼 "집가까운 국립대"면 고민이 덜어질 듯 한데 그나마 "집가까운"과 "국립대"가 떨어져서 고민이 많이 되네요.

그 학벌에 대해선, 의학계만의 서열을 모르는 분들이 건국대를 일단 수의대나 우유(ㅋㅋㅋ) 때문에라도 알고계시긴 합니다. 반면 지방국립대는 갸우뚱 하세요. 작은 질병들을 주로 본다면 관계가 없겠지만 수술을 하는 질병에서는 아무래도 출신이 어딘지 보고 가겠다는 의견이 우세하더라구요 ㅠㅠ
천사의미소
의사가 봐도 물론 군필이보는 1사단과 3사단 차이와 같습니다. '힘들겠다...' '불쌍하다...' 뭐 이런 생각 들...
열한시육분
그렇군요. 건국대가 의전원이라는 점에서는 차이가 없을까요?
천사의미소
노상관입니다.
싱글벙글
안녕하세요.
인터넷 검색을 하다보니 글을 발견해 읽게 되었습니다.
혹시 실례가 안된다면 어떤 선택을 하셨는지 여쭤봐도 괜찮을까요?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8557 진로연구주제를 찾는데에 어려움이 있습니다. 6 대왕소 19/12/29 3930 1
8536 진로지방국립대 의대편입 vs. 모 의전원 37 열한시육분 19/12/26 7749 0
8502 진로제가 지금 알바를 해야 할까요? 6 [익명] 19/12/18 2700 0
8481 진로입사할 회사를 고민하고 있습니다. 17 [익명] 19/12/15 2855 0
8460 진로취업 조언부탁드려요 14 [익명] 19/12/13 3030 0
8432 진로영어 시험 1 [익명] 19/12/07 3078 0
8415 진로저녁있는 삶을 살고싶은데요... 5 활활태워라 19/12/05 4305 0
8395 진로세상 모든 나라에서 일해보고 싶네요 ㅋㅋ 12 오늘로도 19/12/02 3649 0
8369 진로회사선택) 통근시간 얼마나 되시나요? 31 [익명] 19/11/28 3509 0
8328 진로군생활이후 트라우마 이겨내신분들 계신가요? 6 [익명] 19/11/23 3453 0
8233 진로오답노트나 일상메모장이 공부에 중요한 포인트가 되나요?;; 12 크리스토퍼 19/11/11 3827 0
8232 진로기획업무 초심자에게 책 추천부탁드립니다 1 [익명] 19/11/11 2577 0
8186 진로인생 터진 사람 진로 질문 하나 할게요오 32 크리스토퍼 19/11/04 4796 0
8161 진로퇴사 후에도 여전한 무기력증/ 우울감이 있습니다. 7 [익명] 19/10/31 4414 0
8160 진로시험 또 봐야 하나요? [익명] 19/10/31 2556 0
8128 진로서비스기획, 이라는 직무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3 [익명] 19/10/28 3539 0
8124 진로이런 경우 전 회사에서 이상하게 생각할까요? 5 [익명] 19/10/27 2988 0
8119 진로서른넷 웹개발자 신입의 공부 방향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4 개백정 19/10/27 4138 0
8072 진로회계사...해도 될까요? 19 덕후나이트 19/10/20 5064 0
8059 진로35세 인생 갈 길을 잃었습니다 8 [익명] 19/10/17 3898 0
8050 진로기혼여성분들 면접때 기혼이라고 밝히시나요...? 6 [익명] 19/10/15 4482 0
8031 진로박사수료 후 진로 상담 부탁드려요 (본문 삭제) 12 별다섯그랑호텔 19/10/13 3724 0
8012 진로벌과 파리가 빠져죽은 고깃국물을 먹어도 될까요? 22 바나나코우 19/10/11 8616 0
7987 진로선사에서는 무엇을 하나요? [익명] 19/10/05 2775 0
7941 진로이직에 관하여 4 듀공 19/09/28 3004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