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들이 추천해주신 좋은 글들을 따로 모아놓는 공간입니다.
- 추천글은 매주 자문단의 투표로 선정됩니다.
Date 21/06/30 11:25:40수정됨
Name   마카오톡
Subject   왜 작은 어머니를 숙모라고 부를까.
작성자가 본문을 삭제한 글입니다.



24
  • 저의 뻘 질문 하나가 좋은 글로 돌아왔군요. 정말 감사합니다.
  • 대박입니다.
  • 아우.. 글 너무 재미있어요!
  • 오..너무 유익해요!!
이 게시판에 등록된 마카오톡님의 최근 게시물


회색사과
유 - 는 얘가 막내일지 아닐지 어케 알고 붙이는 걸까요??

동생이 태어나면 이름을 넘겨주나요?!
cummings
ㅋㅋㅋ저도 셋째까지 계획하고 계 붙었다가 넷째 생기면 이름 바꾸나? 생각이 먼저 들었네요
마카오톡
이름이 아니라 자는 장성해서 붙히기때문에 우려하시는 일이 잘 없지만
그럼에도 유가 막내가 아닌경우도 물론 있습니다
다만 5형제중에 유는 보통 막내겠죠
2
회색사과
아 저 이름들이 자 군요 또 하나 배워갑니다.
감사합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백중숙계는 한번쯤 설명을 하고 넘어갔어야했는데
강태공의 이름은 무엇인가라는 글에서 너무 길어져서 설명하지 못했습니다.

중손씨가 맹손씨가 되는 것은 노환공의 아들이 첫째 노장공 둘째 경보 셋째 숙아 넷째 계우인데 아버지인 노환공의 군위는 형인 노장공이 이어받았고 형인 노장공 사후둘째인 공자경보가 조카를 상대로 모반을 일으키고 주살당하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노장공의 후손들은 비록 노장공의 형제들때문에 계승전에 휘말렸으나
마무리하고나서는 주범만 주살하고 노장공의 형제의 혈족들에게 봉지를 주어서 지방으로 보내는 것으로 마무리... 더 보기
백중숙계는 한번쯤 설명을 하고 넘어갔어야했는데
강태공의 이름은 무엇인가라는 글에서 너무 길어져서 설명하지 못했습니다.

중손씨가 맹손씨가 되는 것은 노환공의 아들이 첫째 노장공 둘째 경보 셋째 숙아 넷째 계우인데 아버지인 노환공의 군위는 형인 노장공이 이어받았고 형인 노장공 사후둘째인 공자경보가 조카를 상대로 모반을 일으키고 주살당하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노장공의 후손들은 비록 노장공의 형제들때문에 계승전에 휘말렸으나
마무리하고나서는 주범만 주살하고 노장공의 형제의 혈족들에게 봉지를 주어서 지방으로 보내는 것으로 마무리하였습니다.
그들은 지방에서 융성해서 하나의 가문이 창설들이 된것이고요.
그게 초반에는 혈족이라 공실에 도움이 되었을지라도 나중에는 노나라의 근심이 되어 돌아왔고요.
그 와중에 역모자의 후손인 중손씨는 중과 비슷한 뜻으로 쓰이던 맹이라는 글자로 씨를 바꾸었고요.
1
보이차
백숙.. 삼계탕??
1
아, 그러면 숙손통은 노나라 후손이라 유학에 밝았던 건가요?
오 숙손통을 아시군요.
사실 그런 시각에서보면 맹자도 맹손씨의 후예입니다.
다만 출신과 유학이 꼭 관련이 있을지는 ㅎㅎ 맹자때 이미 삼환은 망하고 망한 상태라..
맹자도 노나라에 있지 않았고요 ㅎㅎ
숙손통은 맹자보다도 하아아아안참 뒤 사람이니
1
질문글인줄 알고 보러들어왔는데 띵작 연재 개꿀..
불타는밀밭
[유]라는 이름이 붙었는데 막내가 아니게 되었다면?
이름에는 휘가 있고 자가 있고 호가 있습니다.
휘같은경우 날때부터 받은 것이고 웃어른 (군주나 집안 당주)의 휘의 글자를 일상에서 쓰는것조차도 피하는것을 피휘라고 합니다.
꼭 피휘가 아니어도 휘를 함부로 부르는건 터부시되었죠. (지금 한국에도 남아있는 문화라고 봅니다)
자는 관례후 받는것이며 휘가 터부시 되기때문에 좀 편하게 부를 이름을 받는겁니다.
본문의 이름은 휘가 아니라, 자 입니다.
물론 자 도 휘 대신 쓰다보니깐 터부시 되었습니다. 그래서 나온게 호이지요. 호는 뭐 오피셜한 별명이라고 보시면됩니다.
여러개 보... 더 보기
이름에는 휘가 있고 자가 있고 호가 있습니다.
휘같은경우 날때부터 받은 것이고 웃어른 (군주나 집안 당주)의 휘의 글자를 일상에서 쓰는것조차도 피하는것을 피휘라고 합니다.
꼭 피휘가 아니어도 휘를 함부로 부르는건 터부시되었죠. (지금 한국에도 남아있는 문화라고 봅니다)
자는 관례후 받는것이며 휘가 터부시 되기때문에 좀 편하게 부를 이름을 받는겁니다.
본문의 이름은 휘가 아니라, 자 입니다.
물론 자 도 휘 대신 쓰다보니깐 터부시 되었습니다. 그래서 나온게 호이지요. 호는 뭐 오피셜한 별명이라고 보시면됩니다.
여러개 보유가능하고 바꿀수도있고..

이름을 휘라고 생각하시면 미리 막내를 정해버리면 좀 낭패가 되는데 자라고 생각하시면 아주 큰 문제는 발생하지 않습니다.
1
Regenbogen
이런 건 돈 주고 읽어야 하는디… >ㅁ<
요일3장18절
헐 이런 깊은 뜻이..띠용
바라스비다히
3천년전 중원 기준 저 멀리 북경 너머에서 살던 사람들도 백중숙계 돌림자로 이름 붙이고 당시 기준 생김새도 민족도 달랐다던 오나라 막내 왕자도 계찰이라는 이름이 붙은걸 보면 참 신기할 따름입니다.

한고조 유방도 유계였죠. 유씨네 막내.
마카오톡
오나라는 여러모로 신기하죠
근데 고고학적으로 희성증거가 발견되었다는게 더욱신기
바라스비다히
그러니까요. 그 중원출신 희성 고발씨 씨족들이 그쪽에서 살면서 계속 백중숙계 하면서 살아왔단게ㅋㅋ...
엄마곰도 귀엽다
와 잘 봤어요
술라 펠릭스
와.. 진짜 유익하고 좋은 글 잘 봤습니다.
글 자체도 술술 잘 읽히고, 마치 옆에서 자세히 설명해주시는 느낌입니다.
PSAT 언어논리에서 관련 문제가 나온적 있습니다.
기억에 마속의 자를 묻는 문제였는데요.
삼국지 덕후라면 굳이 본문을 읽지 않아도 넘어가는 시간절약 문제였어요 ㅋㅋ
팬터그래프키보드
정답! 읍참!...?
들리냐
잘 읽었습니다.
와 넘나 신기해요. 잘 읽었습니다
티타임에서 보면 본문이 있는데 추천게시판에서 보면 본문이 삭제되었다고 나오네요?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892 일상/생각하루 삼십 분 지각의 효과 14 소고 19/11/26 6893 25
874 일상/생각 사람이 죽음을 택하는 진짜 이유 / 미뤄주세요 8 Jace.WoM 19/10/14 6570 25
755 일상/생각노가대의 생존영어 이야기 25 CONTAXS2 19/01/06 7011 25
666 체육/스포츠제도/수익모델이 스포츠에 미치는 영향 17 Danial Plainview 18/07/20 7458 25
641 정치/사회나도 노동법 알고 알바해서 인생의 좋은 경험 한번 얻어보자! 9 우주최강귀욤섹시 18/06/02 7538 25
639 일상/생각나의 사춘기에게 6 새벽유성 18/05/30 6959 25
620 일상/생각덜덜 떨리는 손으로 지판을 두드리고 있습니다 26 탐닉 18/04/22 7039 25
540 일상/생각독일 대학원에서의 경험을 정리하며: 1편 19 droysen 17/10/30 9889 25
525 기타나라가 위기인데 연휴가 길어서 큰일이야 26 알료사 17/10/08 7294 25
501 철학/종교정상영웅 vs 비정상영웅 93 기아트윈스 17/08/26 10616 25
428 일상/생각'편 가르기'와 '편 들기' 17 소라게 17/05/12 6919 25
361 꿀팁/강좌사진찍으러 갈까요? 22 사슴도치 17/02/07 8216 25
210 기타아들이 말을 참 잘합니다. 37 Toby 16/05/30 6830 25
1446 일상/생각첫 마라톤 풀코스 도전을 일주일 앞두고 24 GogoGo 25/03/09 1145 24
1442 정치/사회목요일 대학살 - 믿을 수 없이 부패한 트럼프 16 코리몬테아스 25/02/19 2142 24
1437 IT/컴퓨터LLM에 대한 두서없는 잡썰 (3) 23 덜커덩 25/02/05 1533 24
1352 역사정말 소동파가 만들었나? 동파육 이야기. 13 joel 24/01/01 2931 24
1332 일상/생각나의 은전, 한 장. 6 심해냉장고 23/09/30 3180 24
1305 창작서울에 아직도 이런데가 있네? 7 아파 23/06/01 4729 24
1246 과학이번 카카오 사태에 가려진 찐 흑막.jpg 코멘터리 18 그저그런 22/10/25 5484 24
1241 기타대군사 사마의 감상. 나관중에 대한 도전. 10 joel 22/09/30 4306 24
1152 일상/생각헌혈하는 것의 의미 9 샨르우르파 21/12/14 4247 24
1116 정치/사회동북아에서 급증하는 무자녀 현상 (부제: 초저출산이 비혼'만'의 문제인가?) 23 샨르우르파 21/08/13 6384 24
1101 역사왜 작은 어머니를 숙모라고 부를까. 24 마카오톡 21/06/30 5896 24
1098 기타한국 만화의 이름으로. 고우영 수호지. 15 joel 21/06/15 5983 24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