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들이 추천해주신 좋은 글들을 따로 모아놓는 공간입니다.
- 추천글은 매주 자문단의 투표로 선정됩니다.
Date 22/02/27 01:13:50
Name   아침커피
Link #1   https://crmn.tistory.com/140
Subject   이어령 선생님의 부고를 듣고
1.
인터넷에 접속하자 이어령 선생님의 저서에 관한 기사가 떴다. 눌러서 읽는데 뭔가가 이상했다. "고 이어령 선생은…"

뭐라고?

허겁지겁 다른 기사를 찾아봤다. 아니기를 바랐지만 맞았다. 돌아가셨구나. 속보 기사가 뜬 게 불과 몇 시간 전이었다.

2.
이어령이라는 이름을 처음 알게 된 것은 아마도 초등학생 고학년 때였던 것 같다. 당시 매달 사 보던 하우PC라는 컴퓨터 잡지에 이어령 선생님의 인터뷰가 실린 적이 있었다. 당시 어린이였던 나에겐 어렵고 관심도 가지 않는 내용이어서 대충 읽고 넘겼다. 하지만 기억에 남은 것이 있었다. '아, 잘은 모르지만 엄청 유명한 분인가 보다. 축소지향의 일본인이라는 책도 엄청 대단한 책인가 보네.'

3.
이어령 선생님의 이름을 다시 보게 된 것은 대학생이 되어서였다. 어느 날 서점에 갔는데 '디지로그(Digilog)'라는 책이 전시되어 있었고, 다음에 갔을 때에는 '지성에서 영성으로'라는 책이 전시되어 있었다. '아, 그 유명한 분 책이구나.' 그런데 책을 좋아하는 체질인데도 희한하게 그 책들이 읽히지가 않았다. 몇 년 후, 이십 대 중반이 되었을 때 다니던 교회 목사님께서 '지성에서 영성으로'를 꼭 읽어보라고 추천해 주셨지만 그래도 읽지 않았다. 왜인지 모르게, 꼭 자석의 같은 극끼리 밀어내듯이 나는 이어령 선생님의 책에 가까이 갈 수가 없었다.

4.
어떻게 될 지 모르는 게 사람 일이고, 그래서 나는 생각지도 못했던 홍콩에 와서 살게 되었다. 간만에 짧게 한국에 갔다가 홍콩으로 돌아오던 30대 초반 어느 날이었다. 습관처럼 들어간 인천공항 서점에서 '읽고 싶은 이어령'이라는 책을 보게 되었다. 그 날은 선생님의 책과 내가 서로를 밀어내지 않았던 것인지, 아니면 그 때까지 실은 서로를 밀어냈던 게 아니라 서로를 등 뒤에서 당기고 있었던 것인지 그 날 나는 그 책을 집어들고 계산을 할 수 있었다. 비행기에 앉아서 책을 폈다. 그래, 그 유명한 분 책을 한 번 읽어보자.

바로 그 순간부터 비행기가 홍콩 첵랍콕 공항에 내리는 그 순간까지 나는 책에서 눈과 손을 떼지 못했다. 말과 기호를 통해 나라와 사회와 문명과 문화를 분석하는 그 방식에 반했던 것이다. 그 때까지 그런 글은 본 적이 없었다.

5.
그 후 나는 이어령 선생님의 책을 닥치는대로 구해서 읽었다. 절판된 책은 중고서점을 뒤져서라도 찾아냈다. 어림잡아도 선생님의 책을 20권은 넘게 읽은 것 같다. 지금도 우리 집 책꽂이의 한 칸은 이어령 선생님의 책만으로 가득 차 있다.

다 너무나도 인상적인 책들이었지만 특히 기억에 남는 책을 꼽자면 '축소지향의 일본인', '지성에서 영성으로', '빵만으로는 살 수 없다' (개정판 '의문은 지성을 낳고 믿음은 영성을 낳는다') 세 권을 꼽고 싶고, 그 중에서도 딱 한 권을 골라야 한다면 주저없이 '축소지향의 일본인'을 선택하고 싶다. 기원전부터 지금까지 이어지는 한 나라의 역사와 문화와 사회를 하나의 단어로 관통해서 설명하는 책은 흔치 않을 것이요, 그 나라 사람이 아니라 외국인이 그 나라 말로 그 작업을 해냈다는 것은 더욱 있을 수 없는 일일 것이다 ('축소지향의 일본인'은 원래 일본어로 먼저 나오고 일본에서 베스트셀러가 된 후 한국어로 번역된 책이다). 이 책에 대해 많고 많은 평이 있지만 내가 가장 좋아하는 평은 동경대 하가 도루 교수의 평이다. "이것을 읽지 않고는 일본인의 자기 인식의 혁신은 있을 수 없다. 그건 그렇다 치고 일본인이 한국에서 한국말로 이처럼 능란하게 한국 문화를 논할 날은 대체 언제쯤이면 올 것인가."

6.
그러던 중 선생님께서 암에 걸리셨다는 소식을 들었다. 슬펐다. 슬픈 마음에 홍콩에서 어디로 보낼지도 모르는 손편지를 몇 장에 걸쳐서 썼다. 편지 마지막 인사말은 이랬다. "선생님과 동시대에 살고 있는 것이 제게 복입니다." 편지를 다 쓰고 나니 어떻게든 해야 할 것 같아서 신문 기사와 인터넷을 샅샅이 뒤져 유일하게 발견한 주소인 평창동의 영인문학관이라는 곳으로 국제우편을 보냈다. 그 해 말, 연말연시를 맞아 한국에 잠시 들어가려고 준비를 하고 있었는데 이메일이 왔다. "보내주신 글, 잘 받았습니다. 몸이 불편하여 긴 글 보낼 수 없지만 귀경 하시면 직접 이야기를 나누려 합니다. 신간이 나오면 증정본도 보낼 예정 입니다. 이어령 드림"

7.
메일을 받은 때로부터 10일 후 나는 난을 사 들고 평창동의 영인문학관으로 갔다. 비서님께서 나와서 맞아주셨다. 선생님께로 하루에도 수많은 연락이 오며 대부분은 비서님께서 거르시는데, 내 편지는 너무 구구절절해서 선생님께 전달해 드리셨다며, 편지를 영인문학관으로 보낸 것이 참 잘 한 선택이었다고 말씀하시며 웃으셨다. 선생님께서 신간 작업으로 바쁘신데 딱 30분 시간을 내셨다고 하셨다. 이윽고 방문을 두드렸고 문이 열렸다. 순간, 뭐랄까, 어렸을 때 자주 봤던 'TV는 사랑을 싣고' 느낌이 났고 시간이 갑자기 느리게 흐르는 것 같았다. 그 후 30분간 선생님께서는 수많은 이야기를 해 주셨다. 받아적을 시간도, 질문을 할 시간도 없었다. 마치 수압이 센 수도꼭지에서 물이 터져나오는 것 같았다. 나중에 집에 가서 기억하고 있던 내용을 정리해보니 A4 용지로 3장이 나왔다. 30분은 금방 흘렀고, 내가 처음 읽었던 선생님의 책인 '읽고 싶은 이어령'에 친필 서명을 받고 선생님과 사진을 찍은 뒤 인사를 드리고 영인문학관을 나왔다. 그 후 한두 달쯤 지나 선생님께서는 나를 만나주셨을 때 마무리 작업중이셨던 신간 '한국인 이야기'에 서명을 해서 우편으로 보내주셨다.

8.
그 후 선생님과 더 연락이 닿은 일은 없었다. 홍콩으로 돌아온 후에도 인터넷으로 선생님 소식을 종종 보고 강연 영상도 많이 찾아서 보았다. 치료를 할 시간에 글을 쓰겠다며 암 치료를 안 하신다는 이야기를 들을 때마다 제발 치료를 하셔서 더 오래 건강히 사셨으면 좋겠다는 안타까운 마음이 들었다. 작년쯤이었을까, 신문과 뉴스에서 뵌 선생님은 내가 찾아뵈었을 때에 비해 눈에 띄게 수척해져 계셨다.

그리고 오늘 선생님은 고 이어령 선생님이 되셨다.

참 슬프다. 당신 스스로 죽음을 준비하고 계신다는 말씀을 많이 하셨지만 그래도 실제로 선생님의 부고를 들으니 슬프고 정신이 없다. 선생님을 만나는 계기가 되었던 손편지의 마지막 문구를 살짝 고쳐야 할 것 같다. 선생님과 동시대에 살았던 것이 제게 복입니다. 지난 번에 못 여쭤봤던 것은 나중에 천국에서 뵙고 많이 여쭙겠습니다.


* Cascade님에 의해서 티타임 게시판으로부터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22-03-15 09:35)
* 관리사유 : 추천게시판으로 복사합니다.



53
  • 축소지향의 일본인 읽어봐야겠네요..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486 일상/생각여친 이야기 28 알료사 17/08/03 8568 28
474 문학저 면접 못갑니다. 편의점 알바 때문에요. 20 알료사 17/07/19 8407 18
455 일상/생각여사님을 소개합니다 (스압, 일기장류 징징글. 영양가X 뒤로가기 추천) 31 알료사 17/06/19 6265 20
384 일상/생각(변태주의) 성에 눈뜨던 시기 12 알료사 17/03/10 8569 21
360 일상/생각고3 때 15 알료사 17/02/06 4932 40
342 기타알료사 6 알료사 17/01/10 5824 13
873 문학홍차넷 유저들의 도서 추천 22 안유진 19/10/07 7324 26
1305 창작서울에 아직도 이런데가 있네? 7 아파 23/06/01 3883 24
1257 여행너, 히스패닉의 친구가 돼라 5 아침커피 22/12/17 2511 15
1254 여행세상이 굴러가게 하는 비용 5.5 달러 16 아침커피 22/11/26 3501 25
1232 역사홍콩의 기묘한 도로명의 유래 11 아침커피 22/08/27 4012 37
1202 여행캘리포니아 2022 - 1. 과거라는 외국 2 아침커피 22/05/16 3019 13
1171 기타이어령 선생님의 부고를 듣고 7 아침커피 22/02/27 3624 53
1160 일상/생각리을 이야기 23 아침커피 22/01/10 4250 68
1076 역사왜 멕시코는 북아메리카에 속하는가? 19 아침커피 21/03/31 5266 11
1066 일상/생각소설 - 우렁각시 18 아침커피 21/03/07 4180 13
1046 정치/사회만국의 척척석사여 기운내라 15 아침커피 20/12/29 5482 35
1032 일상/생각이어령 선생님과의 대화 7 아침커피 20/11/19 4958 21
1028 일상/생각팬레터 썼다가 자택으로 초대받은 이야기 19 아침커피 20/11/06 5744 34
1020 창작그러면 너 때문에 내가 못 죽은 거네 (1) 8 아침커피 20/10/19 4295 12
1016 창작사귀지도 않고 헤어진 제 친구의 연애 아닌 연애 이야기 33 아침커피 20/10/12 6326 17
1011 문화/예술여백이 없는 나라 13 아침커피 20/09/29 5686 36
1009 문화/예술초가집과 모찌떡과 랩실 7 아침커피 20/09/24 4062 17
998 문화/예술술도 차도 아닌 것의 맛 7 아침커피 20/08/17 4118 19
994 철학/종교최소한 시신은 없었다 6 아침커피 20/08/10 4860 17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