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들이 추천해주신 좋은 글들을 따로 모아놓는 공간입니다.
- 추천글은 매주 자문단의 투표로 선정됩니다.
Date 22/06/01 02:00:34
Name   nothing
Subject   손절의 시대
어떤 키워드들은 당시 시대상을 반영하면서 탄생하거나 유행하는 것 같습니다. 2000년대 언젠가의 기억을 더듬어보면 [웰빙]의 시대가 있었습니다. [그린라이트] 라는 단어가 유행하게 된 맥락 뒤에는 남녀 문제와 성 문제를 공개적인 영역에서 당당하게 논의하게 된 사회적인 변화가 있었습니다. (우습게도 지금은 좀 퇴보한 모양새입니다.) 먹고 살기 퍽퍽해진 시대에는 [헬조선]이라는 신조어가 튀어나오기도 했구요. 헬조선을 견디다 못해 [욜로]라는 새로운 종류의 라이프 스타일이 유행을 타기도 했습니다. 가상화폐와 코로나 유동성이 놓여진 시대에는 [파이어족] 이라던가, [경제적 자유] 같은 단어들이 입에 많이 오르내렸던 것 같습니다.

요즘은 어떨까요. 지금 시대를 대변하는 단어가 있을까요. 저는 어쩐지 [손절]이라는 단어가 떠오릅니다. 손절이라는 단어는 다들 아시겠지만 원래 주식을 매입했는데 주가가 떨어져서 손해를 감수하고 매도하는 손절매라는 단어가 원형입니다. 하지만 어쩐지 요즘에는 사람간의 관계를 끊어내는 의미로써의 신조어가 되어버렸습니다. 용례를 생각해보면 무시무시합니다. [친구를 손절하고, 여자친구를 손절하고, 부모를 손절합니다.]

가끔 인터넷에서 자신의 고민에 대한 조언을 요청하는 글들을 종종 봅니다. 친구에게 돈을 빌려줬는데 못돌려받고 있다, 남자 친구 핸드폰에서 전 여자친구의 사진을 발견했다, 결혼을 앞두고 장인 될 사람이 비상식적인 행동을 했다. 어떻게 해야 되냐. 댓글들은 대부분 손절을 이야기합니다. [손절하세요. 일찍 알게되서 다행이네요. 그런 관계를 굳이 스트레스 받아가면서 유지할 필요가 있나요. 손절하세요.]

바야흐로 그런 시대인 것 같긴 합니다. 각자에게 요구하는 도덕성, 인격, 상식 수준들은 모두 상향 평준화되었고 흠결 사유가 발견되면 가차없이 아웃입니다. 그 대상이 공인이던, 랜선 너머의 익명의 누군가던, 20년 지기 고향친구던 이해의 여지는 없고 우리는 이제 우리의 곁을 내어주는 것을 어색해하기 시작했습니다.

사실 저도 익명성의 힘을 빌어서 인터넷 상에 고민글을 종종 올리곤 했습니다. 대충 10여 년 전 쯤 이었을까요. 당시 여자친구와 다툼이 있었고 그 친구의 행동이 도저히 이해가 안되어 속상하다는 글을 인터넷에 올린 적이 있었습니다. 생각보다 많은 댓글이 달렸고 대부분 저의 속상함에 공감해주시며 이별을 이야기해주셨습니다. 생각해보면 이때부터 이미 손절의 시대가 시작되었는지도 모르겠네요. 헤어지라는 내용의 댓글이 한창 폭발하고 있을 무렵 쪽지가 한 통 날아옵니다. 내용인 즉, "댓글로 올리면 논쟁이 커질 것 같아 쪽지로 보낸다. 나도 예전에 남자친구와 비슷한 종류의 다툼을 겪은 적이 있었다. 당시에는 상황에 매몰되어 본인도 이해할 수 없는 행동을 남자친구에게 했으며, 한 차례 폭풍이 지나간 후에는 많이 후회하고 사과를 했다. 사람이 코너에 몰리면 그 정도 실수는 할 수 있는 것 같다. 당신의 여자친구가 어떤 상황인지는 알 수 없으나 잠깐 만나는 가벼운 관계가 아니라면 그 친구가 처해있는 상황에 대해 조금 이해해보려는 노력을 기울이는 것은 어떻겠냐" 였습니다. 마음 속 무게추가 한창 이별 쪽으로 쏠려있다가 이 쪽지 한 통에 금새 이성을 찾을 수 있었습니다. 우유부단하고 귀가 팔랑거리는 타입이라서 헤어지라는 댓글들을 봤을 때는 정말 이 사건이 용납될 수 없는 비상식적인 종류의 것으로 여겨졌습니다. 하지만 이 쪽지를 읽고 생각해보니 '정말 이건 용납될 수 없는 일인가, 아니면 그럴 수도 있을만한 종류의 일인가' 하는 의문이 들기 시작했고, 이내 여자친구와의 관계를 다시 다질 수 있었습니다.

사람은 완벽하지 않습니다. 나이가, 지식이, 경험이 많고 적음을 떠나서 누구나 실수를 하고 실언을 합니다. 의도와 다르게 상황에 의해 천하의 나쁜 놈이 되어 버리는 오해를 겪기도 합니다. 하지만 충분히 무르익은 관계는 실수와 오해를 초월할 수 있는 것이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해봅니다. 우리에게 용납할 수 없는 일이 정말 그러한지, 혹은 너그럽게 보면 그려려니 할 수 있는 종류의 일들인지 모르겠습니다.

* Cascade님에 의해서 티타임 게시판으로부터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22-06-12 23:48)
* 관리사유 : 추천게시판으로 복사합니다.



52
  • 가즈아ㅏㅏㅏㅏㅏㅏㅏ
  • 예전부터 많이 생각하던 주제였는데 생각해볼만한 글 감사합니다.
  • ㅁㄷ
  • 재밌네요 다시 만난 이후의 이야기도 궁금... 얼마나 더 오래 만났는지, 관련된 트러블은 없었는지 등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282 기타느긋함과 조급함 사이의 어딘가 8 하마소 23/03/08 764 16
1281 일상/생각직장내 차별, 저출산에 대한 고민 24 풀잎 23/03/05 1772 17
1280 일상/생각자격지심이 생겨났다가 해소되어가는 과정 8 골든햄스 23/02/22 1696 40
1279 정치/사회한국인과 세계인들은 현세대와 다음 세대의 삶을 어떻게 보는가 7 카르스 23/02/15 1491 6
1278 정치/사회인생을 망치는 가장 손쉬운 방법 21 아이솔 23/02/13 2508 17
1277 기타참깨, 들깨 생육 개론 19 천하대장군 23/02/08 1030 13
1276 일상/생각내돈내산 뷰티템 리뷰 13 Only 23/02/08 1210 20
1275 일상/생각8년 프리터 수기 14 아이솔 23/02/06 1929 31
1274 정치/사회통계로 본 비수도권 청년 인구유출 추이 7 카르스 23/02/06 1240 9
1273 정치/사회석학의 학술발표가 인터넷 커뮤니티에서 왜곡되어 소비되는 방식 14 카르스 23/02/03 2018 33
1272 일상/생각내 인생 가장 고통스러운 명절연휴 6 당근매니아 23/01/31 1298 33
1271 일상/생각인생에서 가장 평화로웠던 한 때 12 스라블 23/01/27 1517 25
1270 경제인구구조 변화가 세계 경제에 미칠 6가지 영향 14 카르스 23/01/27 1659 9
1269 기타2022 걸그룹 결산 10 헬리제의우울 23/01/23 1194 22
1268 일상/생각니트라이프 - 1. 새로운 땅에 한 발을 내딛다. 4 BitSae 23/01/22 872 17
1267 정치/사회장애학 시리즈 (3) - 지리는 게 매력적인 모습은 아니잖아요?: '어른'이 되기 위해 억제를 배워간다는 것, 그리고 장애와 섹슈얼리티 8 소요 23/01/17 971 12
1266 의료/건강엄밀한 용어의 어려움에 대한 소고 37 Mariage Frères 23/01/12 1702 29
1265 일상/생각같이 게임했던 누나 이야기.. 3 어제내린비 23/01/12 1790 18
1264 역사내가 영화 한산에 비판적인 이유 17 메존일각 23/01/04 1644 16
1263 경제때늦은 2022년의 경제학 (+인접분야) 논문읽기 결산 9 카르스 23/01/04 1060 15
1262 기타2022 걸그룹 6/6 10 헬리제의우울 23/01/03 1128 12
1261 체육/스포츠10의 의지는 이어지리 다시갑시다 22/12/31 1115 6
1260 요리/음식차의 향미를 어떤 체계로 바라볼 수 있을까? 6 나루 22/12/20 1251 13
1259 일상/생각4가지 각도에서 보는 낫적혈구병 4 열한시육분 22/12/18 1196 10
1258 IT/컴퓨터(장문주의) 전공자로서 보는 ChatGPT에서의 몇 가지 인상깊은 문답들 및 분석 9 듣보잡 22/12/17 2034 18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