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들이 추천해주신 좋은 글들을 따로 모아놓는 공간입니다.
- 추천글은 매주 자문단의 투표로 선정됩니다.
Date 23/02/03 16:54:55
Name   카르스
File #1   20230202_144119_1675403267_resized.jpg (79.3 KB), Download : 6
Subject   석학의 학술발표가 인터넷 커뮤니티에서 왜곡되어 소비되는 방식


어쩌다가 혐오정서로 악명높은 펨코에 올라간 문제의 글을 보게 되었습니다.
https://www.fmkorea.com/best/5459790417

무려 "인구절벽 회의론자 급증, "인구절벽은 이론일 뿐..두려워만 말라""라는 자극적인 제목으로
이종화 교수와 홍춘욱 박사의 주장이 언급됩니다.
"실제로 인구절벽이론은 미국에서 헨리덴트에 의해 만들어지고 이론만 있고 단 한번도 적용된 적 없음."
이라는 말미 문구와 함께 글이 종료됩니다.

그리고 댓글란은 한국 인구구조 망한거 확실하지 않냐, 이종화 교수 말대로 절대 안된다, 윗세대가 문제라는 식의 냉소와 혐오정서로 가득합니다.
댓글란의 위 주장들이 옳으냐 그르냐에 대해선 답하지 않겠습니다.
냉소, 혐오정서와 비속어 표현이 그릇됨은 분명하지만.

참고로 저는 위 글에 나오는 홍춘욱의 논평에는 동의하지 않습니다.
인구와 경제 간의 관계에 대한 이해 없이, 지나하게 낙관적인 건 아닌가 생각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종화 교수의 발표내용을 본문과 댓글란에서 이런 식으로 소비하는 건 명백한 왜곡, 오독, 인신공격입니다.


이걸 단언할 수 있는 게,
저는 어제 윗 링크 첫번째 짤방에 언급된 학술대회 현장에서 저 강의를 직접 보았기 때문입니다.
글 맨 윗부분에 인증사진이 있습니다.

이종화 교수님은 인증사진에서 보다시피 한국에서 극심한 인구감소, 저출산 고령화로 경제성장률이 떨어지는 건 부정하지 않습니다. 다른 게 변하지 않는다는 전제 하에서, 2050-60년대에 한국 경제성장률이 0.9%, 1인당 gdp가 2.3%까지 떨어진다는 게 긍정적인 예측이라 보기는 힘들죠.
심지어 물적자본 투자율이 더 하락하여 평균성장률이 0.7%p나 더 떨어지는 비관적인 시나리오도 산입했습니다. 실제로 이 부분에 집중해서 제목을 작성한 기사도 있습니다. (https://www.asiae.co.kr/article/2023020216192057785 참고)

그러면 기사에 나오는 "인구 감소 두려워만 말라"는 교수님의 장담 내용은 과연 무엇일까요?
실마리는 "인구가 한 나라 경제의 운명을 결정할 것이란 생각은 역사적으로 자본과 기술이 발전하지 않았을 때 이야기"라는 교수님의 발언에 있습니다.

정답은 물적자본, 인적자본 향상 및 기술적 진보를 꾸준히 높게 유지한다는 전제 하에,
경제성장률이 0.6%p 더 올라가서 한국 경제성장률이 1.5%, 1인당 gdp 성장률 2.9%가 되는 낙관적인 시나리오입니다.

분명히 낙관적인 시나리오에는 물적 자본, 인적 자본, 기술적 진보를 꾸준히 하라는 조건이 들어갑니다.
기사엔 안 나왔지만, 이종화 교수 경제예측의 바탕이 된 인구예측은 통계청 2021년 인구추계의 저위(비관적 예측) 기준이라서, 저것보다 더 좋을 가능성도 제법 있습니다. 사견입니다만 이민자 추가유입이 없다는 전제 하에서 실제 인구추이는 저위-중위 사이로 가지 않을까 추측도 해보고요. 이민자 유입이 더해지면 또 다르고요.

그런데 이걸 가지고 댓글창에는 저출산 고령화가 심해져서 상관없다, 아무것도 안 해도 괜찮다는 식으로 내용을 자의적으로 왜곡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댓글창은 석학 발표에 대한 인신공격으로 가득하죠.

사실 이종화 교수가 국내외에서 인정받는 거시경제, 경제발전, 인적자본 석학(저도 작년 티타임에 올린 인구구조 관련 글에 교수님의 논문을 인용한 적 있습니다), 인구구조의 급격한 변화가 한국사회에 미칠 충격을 여러번 경고해온 건 일반인이 알 일이 없을테니 그렇다 칩시다.
하지만 학자들의 주장을 인터넷 냉소, 혐오정서의 연장선에서 함부로 조롱하고 비하하는 건 별개의 문제입니다. 이건 굳이 저 분이 저명한 학자임을 몰라도 지켜야 하는 윤리입니다. 

이런 씁쓸한 해프닝은 현대 한국 인터넷 커뮤니티의 여러 문화적 문제 때문에 가능했다고 봅니다.

딱 두 명의 존재로 인구절벽 회의론자 "급증"을 논하는 자극적인 커뮤 공유글 헤드라인,
모 아니면 도라는 흑백논리,
글을 중간에 자르는 악마의 편집으로 원글의 논지를 왜곡하는 짤방문화,
남의 의견을 함부로 조롱하고 비하하는 인터넷 커뮤니티 특유의 정서

참고로 커뮤에서 연구결과나 통계가 왜곡되는 일은 이번이 처음은 아닙니다.
개인적으로도 통계자료를 자기들 혐오를 정당화하기 위해 왜곡, 날조한 경우를 꽤나 발견했습니다.  
언젠가는 말할 생각입니다.

커뮤니티를 넘어 사회과학 통계나 연구결과를 언론, 정치권, 일반인들이 멋대로 오독, 왜곡, 악용하는 일이야 국내외 막론하고 비일비재한데, 제 주변에도 비슷한 일이 생겨나는군요. 스트레스도 비일비재한 게 참 씁쓸합니다.

* Cascade님에 의해서 티타임 게시판으로부터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23-02-13 18:30)
* 관리사유 : 추천게시판으로 복사합니다.



33
  • 동의합니다 자극적인 부분만 부추겨 자기 입맛대로 쓰려고 하는 사람들이 너무 온라인에 많지요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199 꿀팁/강좌전자제품에 참 좋은 BW-100 11 자몽에이드 22/05/09 3551 13
1167 일상/생각내 고향 서울엔 11 사이시옷 22/02/14 3552 22
1254 여행세상이 굴러가게 하는 비용 5.5 달러 16 아침커피 22/11/26 3553 25
1117 게임한국 게임방송사의 흥망성쇠. 첫 번째. 7 joel 21/08/15 3564 7
1273 정치/사회석학의 학술발표가 인터넷 커뮤니티에서 왜곡되어 소비되는 방식 14 카르스 23/02/03 3565 33
1119 일상/생각족보 4 私律 21/08/20 3578 35
1194 문화/예술2022 걸그룹 1/3 17 헬리제의우울 22/05/01 3590 19
1031 체육/스포츠손기정평화마라톤 첫풀코스 도전기 12 오디너리안 20/11/17 3591 22
1216 일상/생각기록하는 도구에 대한 욕망... (1) 25 *alchemist* 22/06/22 3591 18
1303 일상/생각난임로그 part1 49 요미 23/05/21 3610 69
1131 여행[스압/사진多]추석 제주 여행기 20 나단 21/09/27 3631 25
1074 여행[사진多]한나절 벚꽃 여행기 8 나단 21/03/27 3633 18
1215 여행[베트남 붕따우 여행] 중장년 분들에게 추천하는 여행지. 긴글주의 18 사이공 독거 노총각 22/06/19 3636 15
1150 일상/생각벨기에 맥주 오프모임에 참석하지 못해서 하는 벨기에 맥주 셀프시음회(어?) 10 세리엔즈 21/12/08 3648 22
1171 기타이어령 선생님의 부고를 듣고 7 아침커피 22/02/27 3662 53
1197 기타입시 이야기 16 풀잎 22/05/05 3665 25
1258 IT/컴퓨터(장문주의) 전공자로서 보는 ChatGPT에서의 몇 가지 인상깊은 문답들 및 분석 9 듣보잡 22/12/17 3667 19
1354 기타저의 향수 방랑기 31 Mandarin 24/01/08 3667 2
1270 경제인구구조 변화가 세계 경제에 미칠 6가지 영향 14 카르스 23/01/27 3677 10
1039 요리/음식고구마 스프를 만들어봅시다~! 13 whenyouinRome... 20/12/13 3694 14
1165 정치/사회한국 아동·청소년 정신건강의 역설 - 행복해졌는데 자살, 자해가 증가? 7 카르스 22/02/03 3696 8
1206 정치/사회연장근로 거부에 대한 업무방해죄 건 헌법재판소 결정 설명 4 당근매니아 22/05/26 3703 15
983 여행나무를 만나러 가는 여행 3 하얀 20/07/14 3729 11
1385 정치/사회이준석이 동탄에서 어떤 과정으로 역전을 했나 57 Leeka 24/04/11 3734 6
1163 일상/생각그 식탁은 널 위한 것이라고 이야기 했다. 2 Erzenico 22/01/22 3747 29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