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들이 추천해주신 좋은 글들을 따로 모아놓는 공간입니다.
- 추천글은 매주 자문단의 투표로 선정됩니다.
Date 16/01/06 05:03:40
Name   눈부심
Subject   젠더와 명칭
오늘 기사를 하나 읽다가 기사작성자의 프로필을 읽는데 이랬어요.



actor의 여성형이 actress인데 그냥 actor라고 소개되어 있었어요. 요즘 제가 회사에서 이멜을 작성할 때 everyone을 받는 소유대명사로 his만 쓰는 경우는 없고 his/her 이렇게 항상 중복사용하는 것이 무의식적으로 당연하게 일어나고 있는 일이긴 한데 actor도 젠더구분 없이 사용하는 줄은 몰랐어요.

곰곰 생각해 보면 옛날에는 policeman, fireman이란 단어가 흔했지만 이런 말은 정말 구닥다리 영어표현들이에요. 불필요한 남녀구분을 없애기 위해 police officer, fire fighter란 말을 사용하고 stewardess란 말 대신에 flight attendant란 말을 사용하고 있어요. 최근에 읽은 기사에 의하면 밀레니얼들로 통하는 요즘 세대들 사이에서는 인터넷에서 they가 단수형 대명사용법으로 쓰인다고도 하더군요. 요즘 세대들은 '정치적 올바름'에 가장 민감한 세대라고들 하거든요. 그래서 위키 찾아봤더니

"Everyone returned to their seats."
"Somebody left their umbrella in the office. Would they please collect it?"

이런 식으로 they/their가 단수형으로 사용되는 예가 나왔어요. 이게 구어체에서는 흔히 듣는 말인데 문어체에서는 저는 아직 써 본 적이 없어요. 그리고 얼마나 용납이 되고 있는지도 모르겠어요. 회사에서 소통할 때 항상 his/her 두 가지 표현을 동시에 사용했지 their를 사용할 생각은 안 해 봤어요.

미국이라 공적인 자리에서는 이제 크리스마스가 되면 '메리 크리스마스'란 말 대신 'Happy Holidays'란 말을 당연히 쓰고 있고요. 서류 다룰 때 젠더가 중요한 경우가 있는데 성인이 되어 바뀌어진 성이 아닌 태어났을 당시의 성을 젠더 디폴트값으로 정하는 게 새로이 추가되었어요. 그런 다음 바뀐 성을 주장하기 위해 서류를 추가로 제출하는 형식인 거죠. 그러니까 트렌스젠더가 있을 경우의 수를 고려하기 시작한 거예요. 그리고 업무 상 통화를 할 때 '배우자'라는 언급이 꼭 이성을 뜻하는 건 아닐 수도 있겠단 걸 자연스럽게 생각하게 됐어요.

* 수박이두통에게보린님에 의해서 티타임 게시판으로부터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16-01-17 17:15)
* 관리사유 : 추천 게시판으로 복사합니다.



4
  • 제가 민감한 게 아니었군요. 지당하신 말씀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26 문화/예술북유럽 신화 한토막 - 블랙기업 아스갈드 편 12 제로스 18/05/04 7094 10
759 IT/컴퓨터컴퓨터는 메일을 어떻게 주고 받을까? 13 ikuk 19/01/18 7085 17
785 의료/건강AI와 영상의학의 미래는? 33 Zel 19/03/27 7084 28
674 과학지구 온난화와 원전. 56 키시야스 18/08/01 7079 17
742 철학/종교인생은 아름다워 22 기아트윈스 18/12/08 7077 50
707 꿀팁/강좌[엑셀월드] #3. 함수만으로 데이터 추출하기 11 Iwanna 18/10/06 7077 8
696 역사고대 전투와 전쟁 이야기 (2) 3 기쁨평안 18/09/13 7074 9
156 과학알파고vs이세돌 대국을 기대하며.... 34 커피최고 16/02/16 7074 4
345 일상/생각타임라인과 속마음 나누기 36 Toby 17/01/13 7067 34
765 일상/생각돈이 없는 것보다 더 부끄러운 것 10 The xian 19/01/31 7065 24
120 정치/사회들여다보자 - ISIS (2) 11 눈부심 15/11/27 7057 4
395 정치/사회화장실을 엿본 그는 왜 무죄판결을 받았나 13 烏鳳 17/03/24 7047 29
980 일상/생각40대 부부의 9급 공무원 도전기 36 4월이야기 20/07/08 7038 51
494 문학제가 하는 일에 대한 이야기를 조금 해 보려 합니다. 33 그리부예 17/08/16 7038 12
413 꿀팁/강좌국립중앙박물관에 가 보세요! 34 열대어 17/04/16 7027 15
743 정치/사회한 전직 논술강사의 숙대 총학의 선언문 감상 40 烏鳳 18/12/11 7022 35
336 정치/사회대리모 문제 37 烏鳳 17/01/03 7021 12
518 일상/생각평등 31 알료사 17/09/26 7004 27
939 정치/사회가속주의: 전세계의 백인 지상주의자들을 고무하는 모호한 사상 - 기술자본주의적 철학은 어떻게 살인에 대한 정당화로 변형되었는가. 18 구밀복검 20/03/24 6994 23
564 일상/생각이상하게도 슬리퍼를 살 수가 없다 21 소라게 17/12/21 6994 22
1021 경제내집 마련을 위하는 초년생들을 위한 짧은 팁들 24 Leeka 20/10/21 6992 19
836 역사고려청자의 위상은 어느 정도였을까? 17 메존일각 19/07/24 6990 31
138 기타젠더와 명칭 39 눈부심 16/01/06 6990 4
240 문학히틀러 <나의 투쟁>을 읽고 7 DrCuddy 16/07/28 6980 13
197 역사유게에 올라온 유재흥 글에 대해 67 눈시 16/04/29 6979 34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