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들이 추천해주신 좋은 글들을 따로 모아놓는 공간입니다.
- 추천글은 매주 자문단의 투표로 선정됩니다.
Date 15/08/06 15:27:55
Name   눈부심
Subject   젊은 피를 수혈받으면 젊어질까.
http://www.theguardian.com/science/2015/aug/04/can-we-reverse-ageing-process-young-blood-older-people

수 년 전에 박사과정에 있던 학생인 사울(Saul Villeda)이 쥐를 가지고 다음과 같은 실험을 했어요. 젊은 쥐에게는 늙은 쥐의 혈장을, 늙은 쥐에게는 젊은 쥐의 혈장을 투여했어요. 늙은 쥐는 인지능력에서 더 건강해지고 젊은 쥐는 노쇠해 버렸죠.

그 후 7년이 지난 2014년 스탠포드 대학 생명연장연구소의 부원장인 신경학자 위스 코리(Wyss-Coray) 교수가 드디어 젊은 피 수혈실험을 인간에 적용하기 시작합니다. 오는 10월이면 결과가 나올 것이라고 하는군요. 혈장은 혈액 속에 있는 것인데 이걸 추출하면 약간 노란색을 띠어요. 젊은 사람들에게서 추출한 혈장을 알츠하이머를 앓는 나이 많은 환자들에게 투여하는 실험을 현재 진행하고 있습니다.

암은 DNA변형으로 인해 생기고, 심장병은 혈관이 막혀 생기고, 치매는 뇌세포가 손상되면 생기는 질병인데요. 어찌 보면 이게 다 노령화로 인해 생기는 병들이기도 해요. 그래서 노령화를 거스르는 특이단백질이 젊은 인간의 핏 속에 들어 있어서 그게 무엇인지 밝혀낸다면 노령화를 저지하는 것은 물론 역행하게도 만들지도 모를 일이고 따라서 각종 질병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을 지도 모를 획기적인 발견이 되겠죠. 우리도 뱀파이어처럼 다른 사람의 피를 쫍쫍 빨아먹고 살면 수백 년까지 살 수 있는지도. 부헐.

이 실험이 발전하게 된 계기는 이래요. 쥐실험과 인간의 뇌를 연구하는 것으로는 알츠하이머의 원인을 밝혀내는 데 한계를 느낀 코리 박사는 혹시 알츠하이머라는 질병이 생기는 원인이 피와 관련된 것이 아닐까 의심을 하게 됩니다. 200명의 알츠하이머환자들에게서 혈장을 추출해 건강한 사람들의 혈장과 비교해 봤더니 특정 단백질들이 나이에 따라 다르게 측정됨을 발견했어요. 보통 이미 20세가 되면 그 단백질들이 급격하게 저하된 상태라고 하는군요. 그러다가 더 나이가 든 사람들에게서는 어떤 단백질들이 두 배, 세 배로 불어나 있는 걸 알게 되었다고 합니다. 이 변화가 의미하는 것이 무엇인지 누구도 모른대요.

한편 다른 과학자들은 줄기세포와 노화의 관계에 관심이 많았죠. 인간의 신체조직이 건강하게 유지되려면 줄기세포가 필요한데요. 이상하게 젊은 사람들의 몸에 있는 줄기 세포는 열심히 생산적인 역할을 잘 하는데 나이 든 사람의 줄기 세포는 아무 작동을 하지 않아요. 과학자들은 아마 이 줄기세포들이 나이 든 사람들의 몸 속에서 삘을 받아 작동을 해야하는데 그 신호작용에 문제가 있는 것이 아닌가란 생각을 했어요. 피는 쉼없이 인간 몸 속 구석구석을 돌아다니는데 그 여정 중 어떤 시그널을 받아 몸을 건강하게 유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 아닐까, 즉 시그널의 비밀은 피가 아닐까란 생각에 도달하게 된 거예요.

위스 코리를 위시한 과학자들이 서로의 발견물을 대조해 보고 나서, 혹시 인간의 핏 속에 조직을 재생성하고 뇌기능을 개선시키는 비밀이 있을지도 모른다는 합리적인 의심을 키우고 연구에 박차를 가했죠. 코리가 실험을 해 볼 것을 부탁한 사람이 바로 박사과정에 있던 사울이었고요.

사울은 처음에 쥐 두 마리의 몸을 연결시키는 수술을 해서 서로 피가 돌게 만든 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젊은 쥐와 늙은 쥐의 몸상태를 연구했었는데(conjoined mice라고 검색하시면 한 몸이 된 쥐들을 보실 수 있다는) 이 실험으로는 수혈 후 인과관계분석에 애로점이 많아서 그냥 수술시키지 않고 젊은 쥐 50마리에게서 추출한 혈장을 늙은 쥐 10마리에 투여하는 방법으로 선회를 했어요. 그리고 나서 젊은 쥐의 혈장을 수혈받은 늙은 쥐의 뇌 속에 있는 뇌세포(뉴런)을 들여다 보니 뉴런들 사이의 커넥션이 아주 활발해졌다고 합니다. 반면에 늙은 쥐의 혈장을 수혈받은 젊은 쥐들의 뇌세포는 미약해졌어요. 뇌가 튼튼해진 늙은 쥐들은 인지력테스트에서 미로찾기도 더 잘 하고 전기충격이 있는 위험한 공간도 잘 피해 다녔어요. 이 팀은 핏 속의 어떤 특정 단백질이 그런 결과를 초래하는지에 더 집중을 했죠.

이런 실험내용을 2014년에 Nature Medicine에 발표하고 나서 위스 코리박사에게 엄청난 이멜연락이 쏟아져 들어옵니다. 알츠하이머환자들이 젊은 피를 수혈받고 싶어서 박사에게 엄청난 구애를 보냈죠. 억만장자들도 마구 연락을 해 왔어요. 어떤 부자는 어린애들을 원하는대로 지원해 줄테니 수혈 좀 받게 해달라고 애원하기도 했어요. 물론 코리박사는 이에 응하지 않았고요.

어떤 과학자들의 실험결과에 의하면 수혈 결과 스태미너가 좋아진 쥐도 있고(트레드밀에서 더 오래 달림 크크) 옥시토신이라는 일명 사랑의 호르몬이 근육재생에 도움이 된다는 말도 있는 등 수혈로 인한 노화역행의 실험결과들은 더러 있긴 합니다.

위스 코리박사의 궁극목표는 인식퇴화방지를 꾀하는 핏 속의 특정 단백질의 정체를 밝혀내는 것이겠지만 현재로선 단순히 어쩌면 혈장수혈로 인해 노화를 거스를 수 있을지도 모른다는 수준에만 머물러 있어요. 말만 들어도 섬짓한 희소식이다보니 박사 자신도 실험에 대한 위험성을 느낀다고 하지만 이미 사회사도 설립하고 할 것 다 했더라는..

사실 젊은 혈장이 좋다고 해도 많은 혈장을 구하는 건 매우 힘듭니다. 전세계 지구인들의 혈장을 다 모아도 세계 1500만 알츠하이머환자들 중 50만 환자들에게 투여가능한 양밖에 모으지 못한대요. 게다가 세계인구는 점점 고령화되고 있어서 젊은 혈장은 더더욱 귀해지겠죠. 코리박사의 민간회사 팀이 알츠하이머를 앓던 중국의 한 노쇠한 백만장자에게 혈장을 투여한 적이 있는데 그 아들에 의하면 가족들을 못알아 보던 아버지가 돌아가시기 전 놀라우리만치 정신이 말짱하셨다고 합니다.

무엇보다 알츠하이머랑 아무 상관없는 나이 많은 부자들이 무슨 짓을 할지 상상만 해도 후덜덜하군요. 과학자들의 목표는 몸에 좋은 특정 단백질을 찾는 것이지만 만약 젊은 혈장이 일단 좋더라는 단계에 너무 오래 머물러 있을 거라면 상당히 위험한 내용이 아닌가 싶어요.

* Toby님에 의해서 자유 게시판으로부터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15-08-14 13:08)
* 관리사유 : 추천게시판으로 복사합니다.



1


    피, 피주머니?
    눈부심
    젊으십니까? 내 꺼 =3
    솔지은
    어릴때 정주영회장이 젊은 피를 주기적으로 수혈 받는다는 얘기를 들은 것 같은데..크크
    눈부심
    불로장생 하면 중국 진시황제가 생각나지만 현재 서구권의 노화방지(anti-aging)에 관한 관심은 굉장한 것 같더라고요.
    Beer Inside
    한국에서는 오래된 괴담이지요.

    김일성, 박태선 등 교주급 인물이면 젊은 피를 수혈받는 다는 괴담에 연류되지 않은 이가 없을 정도 였지요.

    연구와 관련해서는 특정 단백질을 찾는 것이 아닌 혈장을 수혈받는 다는 것은 솔직히 위험이 크지요.
    눈부심
    무시무시한 내용인 것 같은데 곧 10월 되면 어떤 기사가 나오나 눈 땡그랗게 뜨고 지켜보는 백만장자들 엄청 많을 것 같아요.
    세츠나
    기사 나오기 전에 먼저 알겠죠.
    시부야린
    다나카 요시키 작품 중에 창룡전에서 피를 수혈 받으면서 젊음을 끝까지 추구하던 회장이 기억나네요
    눈부심
    오래 살고자 하는 인간의 욕심이란.. 근데 기사에 의하면 남의 혈장을 단기간에 수혈받으면 잘못하다간 암이 생길 수도 있대요.
    Vinnydaddy
    연구결과가 신기하다기보다는 앞으로 벌어질 일들에 먼저 씁쓸함을 느끼는 내 자신이 나이들었음을 느끼네요.
    눈부심
    기사가 대놓고 이야기는 않지만 30세만 돼도 혈장이 그리 젊은 건 아니고 어린 사람의 혈장일수록 더 낫다는 뉘앙스를 저는 느꼈는데 섬짓합니다.
    난커피가더좋아
    역시 최고의 미래학자는 SF소설가와 영화감독들인듯....이런 디스토피아 영화의 기시감이라니...흐흐
    눈부심
    SF소설 하시니 뜬금없이 생각났는데 어떤 SF소설가의 스토리가 어떤 거냐면요, 인간이 진화를 거듭하다가 결국 어떤 고도의 생명체가 되는데요. 무지하게 작은 존재, 원자같이 엄청나게 작은 미시적인 존재로 진화한 생명체가 등장한다더라고요. 덩치가 크면 자원도 빨리 고갈되고 그만큼 빨리 멸망하니까 작은 입자로 진화를 했다라고 하는. 스토리가 뭔진 모르겠지만 재미있는 상상인 것 같아요.
    난커피가더좋아
    약간...뭐랄까.거추장스러운 육체를 버리고 정신만 남는 것과 비슷한 것인가요? 흐흐...재밌네요..
    오... 흥미로운 기사 잘 읽었습니다.
    눈부심
    대충 옮겨봤는데 1500만명을 150만이라고 써 놔서 고치고, 생물학, 의학 이쪽으론 아는 것이 없다 보니 제대로 옮긴 건지 잘 모르겠네요. 누가 고쳐주시면 넘넘 고마울 거예요~.
    구밀복검
    데어 윌 비 블러드로군요. 역시 사람은 피를 빨아야...
    눈부심
    오래 살리라.. 쫍쫍
    아케르나르
    피로 목욕했다는 서양의 모 여성도 생각나고 그러네요. 하... 이런 연구는 참 미래가 참혹할 수 있다는 점 때문인지 기대도 안 되고 찝찝하고 그러네요.
    눈부심
    저도 생각하면 생각할수록 무서운 기사내용인 것 같아요.
    파란아게하
    가진 건 젊은 뿐인 젊은이는
    앞으론 그 젊음도 빼앗기게 되겠네요..
    눈부심
    이것 저것 검색하다가 보니까 킴 카다시안 있잖아요. 그 여자가 얼굴노화방지를 위해 다른 부위의 피를 뽑아다가 피를 어찌어찌 해서 그 피를 얼굴에 투입해요. 주사바늘로 얼굴을 사방 찔러서 얼굴이 피범벅이 됐던데 그 피가 얼굴에서 콜라겐을 생성해 내서 젊어진다 그러더라고요. Vampire Facial이라는 시술인데 이 댓글은 요 위에 더 어울리네요. 한 박자 늦게 떠올랐어요 크크.
    파란아게하
    토스! ! !
    레지엔
    관련 연구랑 저런 개념에서 출발한 다른 신약 연구도 몇 개 있는데, 고무적이지 못합니다. 사실 알츠하이머의 경우 특정 변성 단백질이 연관된 것은 틀림없는데, 이걸 양적으로 줄인다고 해서 정말로 뇌변성이 줄어드느냐 자체가 논란의 여지가 있어서... 아마도 이 방식으로는 충분한 성과를 거두기 어렵지 않을까 싶습니다. 뭐 성과가 약하다고 결론나기 전까지(그리고 심지어 결론난 후에도) 어떤 돈 많은 변태들은 자기 몸에 저런 실험을 할 거라서 좀 무섭긴 하네요.
    눈부심
    위스박사의 회사주식은 안 사는 걸로.
    여호와의 증인들은 수혈도 거부한다는데 이유가 수혈을 섭취로 보더군요.
    이해가 안됐는데 혈관영양주사로 식도와 위장의 사용없이 사람이 사는걸보고 이게 사상적으로 복잡하겠구나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눈부심
    아. 네~.
    무슨 말씀인지 잘은 모르겠습니다 으크.
    (정확히 찾아보지는 않았는데 기억에 의존해 댓글을 달면) 이 연구를 처음 내놓은 게 하버드입니다. 젊은 피를 수혈하면 인지 능력 등이 좋아진다는 주장을 했고, 그 원인으로 GDF11이라는 단백질을 꼽았습니다. 실제로 이 단백질은 어린 쥐일수록 농도가 높았구요. 그러나 이어진 연구에서 문제점이 드러나기 시작합니다.

    가장 큰 문제는 GDF11이, 근육의 한 종류인 마이오스테인과 구조가 아주 비슷하다는 겁니다. 하버드 연구팀이 단백질 농도를 측정한 방식(웨스턴블롯)으로 하면 마이오스테인과 GDF11을 구분할 수 없다는 지적이 나온... 더 보기
    (정확히 찾아보지는 않았는데 기억에 의존해 댓글을 달면) 이 연구를 처음 내놓은 게 하버드입니다. 젊은 피를 수혈하면 인지 능력 등이 좋아진다는 주장을 했고, 그 원인으로 GDF11이라는 단백질을 꼽았습니다. 실제로 이 단백질은 어린 쥐일수록 농도가 높았구요. 그러나 이어진 연구에서 문제점이 드러나기 시작합니다.

    가장 큰 문제는 GDF11이, 근육의 한 종류인 마이오스테인과 구조가 아주 비슷하다는 겁니다. 하버드 연구팀이 단백질 농도를 측정한 방식(웨스턴블롯)으로 하면 마이오스테인과 GDF11을 구분할 수 없다는 지적이 나온거죠.

    또 이 연구 결과와 대비되게 노바티스사가 근육을 복원하는 약을 개발중인데, 이 약의 주요 기작이 GDF11을 억제하는 것이라는 게 알려지면서 논란이 가속화됐죠. 처음 연구를 이끈 하버드 연구팀은 GDF11이 여러 종류가 있고, 대부분은 나이가 들수록 증가하지만 오직 한 종류만이 감소한다. 이렇게 감소하는 것이 노화를 막는 것이라고 반박했는데 아직은 오리무중입니다.
    눈부심
    자세한 내용 고맙습니다. 기사에 나오는 회사주식은 절대로 안 사는 걸로. 퓌뤼어드.
    새의선물
    resveratrol같은 놈은 하버드의 데이비드 싱클레어가 엄청나게 논문을 때려내면서 정말로 효과가 있나 싶었던거중에 하나였죠. 데이비드 싱클레어는 Sirtris라는 회사를 만들어서 resveratrol과 관련된거를 묶어서 GSK에 무려 7억불(칠천억원인가요?)을 받고는 회사를 팔아치웠어요. 몇 년 후 GSK는 resveratrol과 관련된거 다 포기하고는 치워버렸죠. 이 무렵 데이비드 싱클레어가 하는 세미나를 듣는데, 학생이 낙천적이고 희망을 가지고 실험하고 어쩌고 하는 이야기를 5분마다 한 번씩 하더군요. 흐흐...

    그냥 주어진대로 살면 될텐데, 왜 그리고 얶매이는지 잘 이해가 안가기도 하고 그래요.
    Azurespace
    안티에이징이라는게... 단순히 수명만을 늘리는만이라면 부질없겠지만 삶의 질 또한 늘리는 것이 목표거라서 그렇습니다. 수명이 그대로 백살이라도 병상에서 골골대다 가는 것과, 젊은이들처럼 활기넘치고 건강하게 살다 죽는 것이 같을 수는 없겠지요. 그런데 쥐 실험의 결과는 어쩌면 두가지 모두가 가능할지도 모른다는 걸 시사하는 것이고요...
    새의선물
    네. 그야 글쵸. 저는 어지간한 데이타들은 잘 안믿다보니... 흐흐...
    뷰코크
    이걸로 지금 모 병원장이 사기죄로 재판중이죠..(혈장수혈을 통한 특정 질병 줄기세포치료..)
    물론 이 연구가 사기라는 건 아닙니다.
    눈부심
    그 의사분 참 성질도 급하신.. 아직 딱히 뭐라고 결론이 난 건 아닌데 말예요.
    얼그레이
    아.. 젊게 60살까지만 살다 죽고 싶은 저로서는..이해가..
    그냥 영원히 젊으면 모를까 늙어서 오래 살고 싶지 않아요..
    눈부심
    아이고 무지 젊으신갑다!
    프흐흐흐흐. 전 되도록이면 건강하고 오래~ 오래~ 살고 싶어요!
    얼그레이
    건강하게 사는건 저두 좋아요!
    다만 어느날 갑자기 고통없이 꿱 하고싶지..
    천천히 고통받다 죽고싶진 않아서..
    죽을때 아프면 무섭지만요..아픈거 너무 싫어요..(징징)
    Alba Chiara
    이미 반년이나 지났는데 결과는 어떻게 되었을 지 궁금하네요!
    눈부심
    그동안 이쪽으로 귀막고 살았어서 어찌 됐는지 ㅎㅎ..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451 기타[서평] 행복에 걸려 비틀거리다 - 대니얼 길버트, 2006 1 化神 25/03/24 565 10
    1450 여행그간 다녀본 리조트 간단 정리 : 푸켓, 나트랑, 안탈리아 9 당근매니아 25/03/21 1101 23
    1449 꿀팁/강좌스피커를 만들어보자 - 4. 재질과 가공 (완) 10 Beemo 25/03/17 675 11
    1448 기타남의 인생 멋대로 판단하는 이야기 11 바닷가의 제로스 25/03/13 1892 51
    1447 꿀팁/강좌1. 만화란 뭘까? 인스타툰은 어떻게 시작해야할까? 11 흑마법사 25/03/12 1008 26
    1446 일상/생각첫 마라톤 풀코스 도전을 일주일 앞두고 24 GogoGo 25/03/09 1055 24
    1445 일상/생각포스트-트라우마와 사회기능성과 흙수저-학대가정 탈출 로직 6 골든햄스 25/03/06 1025 21
    1444 정치/사회 2월 28일, 미국 우크라이나 정상회담 파토와 내용 정리. 11 코리몬테아스 25/03/01 1915 29
    1443 문화/예술2025 걸그룹 1/6 18 헬리제의우울 25/03/03 1053 16
    1442 정치/사회목요일 대학살 - 믿을 수 없이 부패한 트럼프 16 코리몬테아스 25/02/19 2061 24
    1441 정치/사회화교는 상속세를 내지 않는다는 말 18 당근매니아 25/02/11 3360 17
    1440 정치/사회무엇이 한국을 분열시킬 수 있는가? 5 meson 25/02/09 1285 7
    1439 기타애착을 부탁해 - 커플을 위한 보론 (2) 5 소요 25/02/09 825 7
    1438 기타애착을 부탁해 - 커플을 위한 보론 (1) 소요 25/02/07 1080 11
    1437 IT/컴퓨터LLM에 대한 두서없는 잡썰 (3) 23 덜커덩 25/02/05 1476 24
    1436 일상/생각여행을 나서면 집에 가고 싶다. 4 풀잎 25/01/30 1152 10
    1435 꿀팁/강좌스피커를 만들어보자 - 3. 인클로저 설계 Beemo 25/01/29 1185 4
    1434 체육/스포츠해리 케인의 무관에 대하여. 12 joel 25/01/27 1334 12
    1433 체육/스포츠볼링 이야기 20 거소 25/01/19 1068 5
    1432 일상/생각저에게는 원칙이 있습니다. 13 whenyouinRome... 25/01/19 1926 49
    1431 일상/생각집사 7년차에 써보는 고양이 키우기 전 고려할 점 13 Velma Kelly 25/01/18 1310 20
    1430 일상/생각입시에 대해 과외하면서 느꼈던 것들, 최근 입시에 대한 생각 12 Daniel Plainview 25/01/17 1909 16
    1429 정치/사회민주당을 칭찬한다 13 명동의밤 25/01/15 2433 34
    1428 꿀팁/강좌전자렌지로 탕후루 만들기 레시피 수퍼스플랫 25/01/11 1127 7
    1427 정치/사회탄핵심판의 범위 및 본건 탄핵심판의 쟁점 6 김비버 25/01/06 1212 14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