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들이 추천해주신 좋은 글들을 따로 모아놓는 공간입니다.
- 추천글은 매주 자문단의 투표로 선정됩니다.
Date 16/03/30 18:40:40
Name   블랙자몽
Subject   최초의 웹브라우저 Mosaic 이야기
인터넷의 초창기에 웹은 많이 사용되고 있지 않았습니다.

'무슨소리야? 인터넷이랑 웹이랑 똑같은 말 아냐?'라고 생각하실 수도 있을텐데요.

원래 인터넷은 컴퓨터들간의 연결이란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그래서 인터넷의 역사를 따지면 1960~70 년대부터 시작하지요.
반면에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www(World wide web)은 팀 버너스리에 의해 90년대 초반에 만들어졌습니다.

초창기에는 웹은 사람들에게 주목받는 기술은 아니었습니다.
당시에는 웹서핑도 키보드를 이용해서 했고, 웹은 텍스트 사이에 하이퍼링크가 걸린 것에 불과했지요.

하지만 미국 NCSA에서 계약직으로 근무하던 마크 앤드리슨이 Mosaic(모자익)이라는 프로그램을 만들면서 대중화되기 시작했습니다.
모자익은 최초의 웹 브라우저입니다.
모자익의 등장을 통해 웹은 대중화되기 시작했습니다.
하지만 NCSA는 모자익의 개발에 대해 간섭하기 시작했고, 이에 깊은 빡침을 느낀 마크 앤드리슨은 NCSA를 떠납니다.

다시는 웹브라우저를 만들지 않겠다고 다짐했던 마크에게 찾아온 짐 클라크라는 성공한 사업가의 권유로 마크는 NCSA의 모자익팀 전체를 데리고 실리콘밸리로 향합니다.

모자익을 없애버릴 새 브라우저를 만들겠다는 다짐으로 시작했던 프로젝트의 이름은 Mozilla였는데요.
Mozaic Killer라는 뜻을 담은 Mozaic과 Godzilla의 합성어입니다.

그렇게해서 새롭게 탄생한 브라우저가 넷스케이프입니다.
넷스케이프와 함께 웹은 더욱 성장하여 성숙기를 맞았으나 상업용 브라우저로 포지셔닝하던 넷스케이프 앞에 MS의 무료 번들 프로그램인 Internet Explorer가 나타나면서 넷스케이프의 시대는 저물고 맙니다.

2003년 넷스케이프를 인수했던 AOL이 개발팀을 해체하는 것을 계기로 해당 인력들 중심의 모질라 재단이 설립되었으며, 모질라 재단은 Firefox를 만들게 됩니다.

반면, 웹의 발전을 도모하고 MS를 견제하기 위해 비영리 재단이었던 모질라를 꾸준하게 지원하던 구글은 2008년에 자체 개발한 Chrome을 깜짝 공개합니다.
크롬은 Apple이 개발한 오픈소스 브라우저 엔진인 Webkit을 탑재하여 개발 되었습니다.

그리고 현재는 구글의 크롬이 세계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브라우저가 되었지요.

* 수박이두통에게보린님에 의해서 티타임 게시판으로부터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16-04-10 16:36)
* 관리사유 : 추천 게시판으로 복사합니다.



4
    이 게시판에 등록된 블랙자몽님의 최근 게시물


    April_fool
    팀 버너스 리 경에 의해 WWW 서비스가 공개된 게 1993년이고, 그 이듬해에 국내에 그 존재가 처음 알려졌지요.
    요즘은 고퍼니 유즈넷이니 하는 존재는 컴퓨터 관련 자격증 시험에서나 전문용어로 잠깐 등장하는 것이 되었습니다. 최근에는 바로 이곳처럼 URI 앞에 www를 붙이지 않는 웹사이트도 늘었고요. 등장한 지 한 20년 좀 지났을 뿐인데, 너무나도 많은 것이 바뀌었습니다.
    기쁨평안
    gopher라니!! 이 얼마만에 들어보는 말인가요?

    앗;; 고퍼 알면 아잰가요?
    April_fool
    써보셨으면 역사의 산 증인 정도 됩니다.
    저는 공부하느라 들어본 수준이라…
    步いても步いても
    고퍼 써봤습니다. 크크크
    LYNX라는 텍스트 기반 브라우저도 써봤습니다.
    야후 사이트를 LYNX로 처음 시작했었죠 크크크
    April_fool
    저는 텍스트 기반 브라우저는 w3m밖에…
    damianhwang
    90년대 중후반에 모 국립대 전산원에서 봉사장학생(이라고 쓰고 전산원 직원 하는 일 대행)으로 윈도 NT 서버 갖고 놀면서 이거저거 다 해봤죠;
    학교엔 광케이블 깔려 있었으니;;;;
    저도 학교 수업시간에 뉴스그룹이니 유즈넷 같은 얘기를 처음 들었더랬지요.
    이건 무슨 화석같은 얘긴가... 아니면 내가 잘 모르는 정보의 보고인가? 싶었습니다.
    April_fool
    옛날에는 대륙간 광통신망이 잘 깔려있지 않아서, 대륙 너머로 유즈넷 데이터를 보내기 위해 우편으로 자기 테이프를 배송시켰다고 하는군요.
    ㅎㅎ 그렇군요.
    인터넷이 느려서 하드디스크를 택배로 보내는것과 비슷한 느낌이네요.
    Beer Inside
    유즈넷에 대륙 너머로 보낼 유용한 데이터가 있었을리가........
    damianhwang
    그 시절 야한 사진 유통지였죠 ;-)
    April_fool
    믿기 어려운 이야기지만, 그 시절에 그걸로 대륙간에 토론도 이루어졌다고 합니다.
    Beer Inside
    유즈넷이 당연히 토론하는 플렛폼이니 당연한데.....

    매달 또는 매분기 백업장치로 유즈넷을 백업해서 보낼 만한 자료가 있었을까 해서요.

    학술잡지보다 느리니....

    당시 medline, embase같은 유료 데이터베이스도 분기 또는 월에 한번 정도 CD나 자기테이프같은 녀석으로 업데이트 했는데, 유료가 아닌 녀석이 그렇게 자주 업데이트 했을리도 없고....
    Beer Inside
    lynx, archie 같은 것은 뭐하는 것 입니까?
    damianhwang
    lynx 는 웹브라우저이긴 헌데, 텍스트로만 나오는....
    archie는 아카이브 저장소 검색? 그러니까 anonymous FTP 다 훑어서 필요한 파일 찾아주는 서비스였죠;
    damianhwang
    그때 읽어둔 Internetworking with TCP/IP 시리즈 때문에 약사 면허 따기전까지 IT일하면서 학비랑 용돈 잘 벌었습니다...
    그때 유즈넷에서 ???.jpg 찾아다녔으면 그냥 덕후로\"만\" 남았을 듯...;;;
    damianhwang
    군대가기전에 학교에서 친구랑 후배들이랑 같이 만든 웹싸이트 제작 동호회 이름이 Mosaic였죠.
    ..였는데....
    창립멤버인 저와 제 친구가 각각 군대, 병특으로 빠지고, 학교 전산원의 봉사장학생이 공익근무요원으로 대체되면서..
    깡그리 와해;;;;;
    지금 돌이켜보면 아쉽네요!
    그때 한탕 했으면 ....ㅋ;
    Beer Inside
    그때 한탕한 홍익인터넷 노상범씨도 별 볼일 없더군요.
    노상범씨가 홍익인터넷 출신이었군요.
    지금은 개발자 커뮤니티인 okjsp를 이어받은 okky라는 커뮤니티를 운영하고 계시죠.
    Beer Inside
    홍익인터넷 사장이였지요.

    천리안 네트워크 동호회 시샵을 하다가 창업을........
    gopher로 사이트 접속하면 아무것도 안해도 뭔가 주루룩 나오면 뿌듯하고 했죠.
    웹이라는 것을 미국에 거주하던 시절 맥 system 7에서 넷스케이프 1.0으로 처음 시작했을 때가 기억나네요
    (웹 말고 써본거라고는 고퍼, 유즈넷, ftp 정도가 다라서) 아무래도 넷스케이프 진영에 애착이 가게 되고 그래서 지금도 파폭을...

    그나저나 ie가 처음 등장했을 때 지금 크롬의 포지션이었죠
    3.0까지는 신선함도 있고 정말 좋았다고 생각합니다. 모든 것이 어그러진 건 4.0부터 Active Desktop이니 뭐니 해서 윈도에 녹여버린 이후부터라...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236 IT/컴퓨터어느 게임 회사 이야기 (1) 26 NULLPointer 16/07/19 22453 29
    179 IT/컴퓨터100점짜리 단어를 찾아서. 30 April_fool 16/04/05 12027 15
    176 IT/컴퓨터최초의 웹브라우저 Mosaic 이야기 22 블랙자몽 16/03/30 7901 4
    173 IT/컴퓨터최근 국내 PC 웹브라우저 점유율의 변화 43 Toby 16/03/24 10422 5
    169 IT/컴퓨터알파고가 이겼군요. 35 Azurespace 16/03/11 10308 11
    115 IT/컴퓨터웹 프론트엔드(front-end)란? 24 Toby 15/11/17 14049 8
    109 IT/컴퓨터엥? 딥러닝 그거 바보 아니냐? 41 Azurespace 15/11/05 13296 8
    88 IT/컴퓨터간략하게 살펴보는 웹디자인의 역사 24 Toby 15/10/16 11373 17
    79 IT/컴퓨터사실 구글은 스카이넷을 만들고 있습니다 16 Azurespace 15/09/30 10228 4
    71 IT/컴퓨터스타트랙 신경망 8 Azurespace 15/09/16 8797 5
    69 IT/컴퓨터거장의 그림을 30초만에 만들다: DeepStyle 33 Azurespace 15/09/08 32281 10
    67 IT/컴퓨터[약혐?] 안드로이드는 전자 양의 꿈을 꾼다 10 Azurespace 15/09/07 11618 9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